• 제목/요약/키워드: 용매 분획

검색결과 865건 처리시간 0.023초

해삼의 생리활성물질 추출 용매분획에 따른 연구 (A Study on the Solvent Fraction for Extraction of Bioactive Substances in Sea Cucumber)

  • 김용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92-29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해삼속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용매분획의 수율을 확인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미 보고된 사례에서 50%에탄올 추출 용매분획은 해삼 항산화 물질의 높은 수율 결과로 확인되었다. 해삼의 항산화물질 추출량을 결정짓는 것은 추출에 적용된 추출 용매분획의 결과로 확인되었다. 또한 '추출용매에 따라 해삼생리활성 항산화물질 추출함량이 크게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를 통해 용매분획추출에 관한 필요성의 결과를 얻었다. 50%에탄올 추출 용매분획의 해삼추출물에 포함된 페놀물질의 높은 항산화성분 추출 결과가 증명되었다. 추출용매분획 연구사례에서 수율이 가장 저조한 아세트산에틸 용매분획은 다른 용매분획에 비해 높은 페놀함량을 수확하여 항산화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에, 추출 용매분획물의 적용에 따른 수율변화를 통해 항산화추출물의 높은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50%에탄올 용매의 최적화된 해삼생리활성물질 추출 용매분획으로 검증되었다.

국화류 추출물의 항산화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 (Anti-oxidant Proper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Various Extracts from plants in Compositae plants)

  • 강정란;이미경;강상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4호
    • /
    • pp.321-328
    • /
    • 2008
  •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국화류 6종을 대상으로 MeOH 80% 추출물 및 추출물로부터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분획을 이용한 항미생물,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활성효과를 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항균활성의 경우 MeOH 80% 추출물에서는 우방자와 용매분획 중에서는 포공영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우방자의 클로로포름 분획을 중심으로 비극성용매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의 경우 MeOH 80% 추출물에서는 인진호가 93%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용매분획에서는 국화류 6종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분획에서 약 90%에 가까운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의 용매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던 용매보다는 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활성의 경우 MeOH 80% 추출물에서는 우방자만이 40%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용매별 분획에서는 감국의 부탄올 분획에서 48%, 인진 호의 에틸아세테이트, 물분획에서 각각 39%와 37%로, 대조군인 알부틴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용매 역시 항균활성보다는 극성이 높은 용매에서 활성을 나타내었다. 국화류 6종의 MeOH 80% 추출물 중 우방자만이 항균, 항산화, tyrosinase 저해활성에 고른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용매분획 중에서는 3가지에 고른 활성을 나타내는 공통적 용매분획은 없었다.

북극식물 Ranunculus hyperboreus의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Capacity of Crude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f Arctic Terrestrial Plant Ranunculus heperporeus)

  • 이정임;김호준;서효원;공창숙;서영완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8권3호
    • /
    • pp.185-19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북극 육상식물인 R. hyperboreus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세포내 ROS와 peroxynitrite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유의적인 소거활성을 확인한 후에 구성성분의 극성에 따른 소거효과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n-hexane, 85% aq.MeOH, n-BuOH, water 분획물을 얻었다. 각 용매분획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n-hexane, water, 85% aq.MeOH, n-BuOH 분획의 순서대로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다. 각 용매분획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검색한 결과 n-hexane 분획의 경우에는 세포생존율에 기인한 어느 정도의 활성변화는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소거 활성은 폴리페놀 함량에 비례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은 n-BuOH 분획물이 가장 좋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 번째로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85% aq.MeOH 분획물이 두 번째로 좋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 용매 분획에 따른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Ethanol Extract According to Serial Solvent Fractionation)

  • 정하열;윤수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92-1096
    • /
    • 2002
  •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 용매 분획물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을 분획물의 총 카테킨 함량은 각각 35.7 mg/g, 20.2 mg/g이었으나 두 용매 분획물을 첨가한 시료의 POV 증가 경향은 유사하여 카테킨의 함량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두 용매 분획물에 함유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이루고 있는 카테킨의 중합도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 용매 분획물을 Cl8 카트리지로 소분획하여 카테킨의 단량체-이량체 분획 (FI)과 올리고량체 분획(FII) 및 다량체 분획 (FIII) 등의 세가지 그룹으로 분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는 E-FI(26.0 mg/g) > F-FII(18.6 mg/g) > E-FIII(13.7 mgtg)의 순서로 카테킨 할량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을 1,000 ppm 농도로 첨가한 시료의 POV 증가 경향은 유사하였다. 또한 부탄을 분획 물에서도 B-FI(33.3 mg/g) > B-FI(30.8 mg/g) > B-FIII(22.7 mg/g)의 순서로 카테킨 함량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항산화 효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으로 카테킨의 항산화력은 첨 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각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에서 차이가 없었던 것은 포도종실 에탄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총 카테킨의 함량 뿐만 아니라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이루고 있는 카테킨의 중합도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 제조되는 포도종실 추출물의 품질 관리에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동결건조 커피의 순차용매 분획별 특성과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tioxidant Fractions Extracted from Freeze-Dried Coffee by Various Solvents)

  • 이주원;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9-116
    • /
    • 1996
  • 동결건조 커피의 순차용매 분획물별 항산화력과 이화학적 성질을 대비하여 그 유효 분획물의 항산화특성을 고찰하였다. 동결건조 커피를 극성도의 크기에 따라 9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각 분획물을 식용유지에 첨가하여 Rancimat과 oven test로 항산화 효과를 시험하였다. 용매별 추출 수율은 분획물의 극성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획물의 항산화력은 acetone>ethanol>ethyl acetate>methanol>50% methanol>water 분획물의 순이였으며, 대두유보다 돈지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각 분획물의 항산화력은 갈색도와 환원력의 강도 및 유기산 함량과는 관련이 없었으나 총phenol, 산도 및 caffeine을 포함한 총질소함량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또한, 각 분획물의 UV-visible spectra는 $200{\sim}220\;nm$, $260{\sim}280\;nm$$320{\sim}340\;nm$ 범위의 봉우리로 구분되었으며, 이중 $320{\sim}340\;nm$ 부근이 각 분획물의 항산화력의 크기와 일치하였다.

  • PDF

신서란(Phormium tenax) 잎 조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염증 및 항아토피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Atopic Effects of Crude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of Phormium tenax leaf)

  • 양권민;송상목;이도승;윤원종;김찬식;김창숙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33-441
    • /
    • 2019
  • 본 연구는 하라케케(Harakeke)로 불리는 신서란(Phormium tenax)를 화장품 및 의약품산업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서란 잎을 대상으로 70%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을 제조하여, 이것들의 항염증 및 항아토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신서란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한 결과, methylene chloride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NO와 $PGE_2$ 생성 억제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NO와 $PGE_2$ 생성 억제 활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 분획물에서는 iNOS 및 COX-2 발현 억제 활성을 보였다. 신서란 잎 조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에 의한 NO, $PGE_2$ 생성 억제 활성이 NOS 및 COX-2 발현 억제에 의한 것임을 제시한다. 더불어, $hIFN-{\gamma}$로 자극된 HaCaT 세포에 용매 분획물을 처리하여 MDC 및 TRAC 생성억제 효과를 조사한 바, methylene chloride 분획물은 MDC 및 TATC의 생성을 각각 65%, 52% 생성억제 시켰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MDC 및 TATC의 생성을 각각93%, 84%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신서란 잎 조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을 이용한 항염증 및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유효성분 분리 및 활용화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기능성 화장품, 의약외품 및 의약품 소재 개발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채소의 용매분획 추출물들이 Saccharomyces cerevisiae의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by Solvent Separation on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강배광;정순택;김선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44-248
    • /
    • 2002
  • 용매분획에 의한 콩나물, 미나리, 무의 추출물들이 Saccharomyces cerevisiae의 A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에서 조사하였다. 이 추출물들은 알코올로 추출한 것을 용매분획에 의해 수용성 분획물과 유기성인 염기성, 산성, 중성, 페놀성 분획물들을 얻었다. 수용성 분획물들은 유기성 분획물들 보다 ADH 활성을 훨씬 높게 촉진시켰다. 수용성 분획물인 콩나물, 미나리, 무의 촉진율은 각각 125.75%, 104.94%, 87.63%를 나타냈다. 염기성, 산성, 중성의 분획물들에서 염기성 분획물이 약 40%로 가장 높았고 다른 분획물들은 25% 이하로 나타났으며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페놀성 분획물들 역시 ADH 활성에 큰 영향을 나타내지 못했다. 따라서, 이 분획물들을 ADH 활성 촉진에 이용할 때는 무기물, 아미노산 등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용성 분획물들을 이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도라지 분획성분이 인지질막 Liposome의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embrane Fluidity of Bellflower(Platycodon grandiflorum A.) Fractions on Liposomal Phospholipid Membranes)

  • 배송자;강보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1-128
    • /
    • 2002
  • 세포막 유동성은 생체의 항상성 유지의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기능으로서, 도라지의 용매별 분획물의 첨가로 세포막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열시차 열량분석법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으로 측정하였다. DPPC liposome에 도라지의 용매별 분획물 첨가시 첨가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서서히 상전이 온도가 저하되었고 thermogram도 넓어졌으며 이에 따라 협동 단위($\Delta$ $H_{vH}$ /$\Delta$ $H_{cal}$)수도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도라지 분획물의 첨가로 DPPC liposome의 유동성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생각 되어진다. 시료의 각 용매별 분획물의 유동성 효과는 ethyl-ether 분획층인 PGMEE의 경우 상전이온도 Tm이 시료첨가 최고농도에서 DPPC liposome 만의 경우보다 4.3$^{\circ}C$가 저하되어 다른 분획물보다 그 정도가 두드러졌으며 그 순서는 hexane 분획층 PGMH, ethylacetate 분획층인 PGMEA 및 methanol 분획층 PGMM의 순이었으며 butanol 층인 PGMB는 그 효과가 미미하여 앞서의 열역학적 요소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PGMB를 제외한 시료의 각 분획물 성분 중 분자내 hydrophobicity가 큰 물질들이 DPPC liposome 이중층의 소수성부분에 더 깊숙히 침투됨으로써 인지질 liposome의 유동성을 증가시킨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도라지의 용매별 분획물의 막유동성 증가는 이온, 약물, 영양물의 흡수, 수송 및 교환등 생체막의 주요기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막유동성을 증가시키는 도라지 분획물들의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연구가 기대되어 진다.

치즈 및 된장에서의 쓴 맛 펩타이드 특성 (Characteristics of Bitter Peptides from a Cheese and a Soybean Paste)

  • 김수호;이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6-282
    • /
    • 1985
  • 단백발효식품에서의 쓴맛 펩타이드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 시료로부터 소수성 펩타이드를 2 1(v/v) chloroform-methanol로 추출하였다 이 중 모짜렐라치즈와 된장으로부터 얻은 쓴맛 텝타이드 추출물을 다시 Sephadex C-25 겔 크로마토그라피한 결과 분획 I II, III을 얻었는데 이들 시료 자체와 각각의 크로마토그라피 분획을 구성하고 있는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여 평균소수도를 계산하였다. 시료들 자체는 쓴 맛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용매로 추출된 소수성 펩타이드 분획은 강한 쓴 맛을 나타내었다. 시료의 용매추출 수율은 총 질소 함량의 0.08내지 62.50%의 범위로 나타났다. 모짜렐라치즈 질소물의 평균 소수도는 1.376cal/mole, 용매추출 분획은 1.623cal/mole. 젤 크로마토그라피 분획 I은 1,797cal/mole, 분적 II 는 2,454cal/mole, 분획 III은 1,559cal/mole 이었다. 된장의 경우 된장 자체, 용매추출 분획, 겔 크로마토그라피 분획 I, II, III의 평균소수도는 각각 1,229. 1,654, 1900, 2016, 998cal/mole 이었다. 쓴맛 펩타이드에서 중요한 아미노산을 leucine, Phenylal anine. p-roline, valine으로 나타났다.

  • PDF

Chrysanthemum속(屬) 식물의 항균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Some Chrysanthemum spp.)

  • 남상해;최상욱;양민석;장대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4호
    • /
    • pp.315-319
    • /
    • 1996
  • Chrysanthemum속(屬) 식물(5종, 9부위)의 methanol추출물 및 각 용매분획물의 수율을 조사한 결과 methanol 추출물의 수율은 $31.5%{\sim}16.9%$의 비교적 다양한 범위를 보였으며 전초보다 꽃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Methanol 추출물에 대한 각 분획물의 비율을 살펴보면, 전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물 분획물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꽃보다 전초에서 더 높고,유기용매 분획물은 모두 전초보다 꽃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Chrysanthemum속(屬) 식물의 methanol 추출물과 용매분획물들에 대한 항균실험 결과, 구절초의 꽃이 전반적으로 강한 항균력을 보였고 산국의 꽃과 구절초의 전초 그리고 쑥갓의 꽃이 비교적 수하였다. 용매 분획물에 대한 항균력 비교에서는 각 식물체의 chloroform 분획물이 Bacillus subtilis와 vibrio parahaemolyticus를 비롯한 4종의 공시균주 모두에 대해 전반적으로 가장 강한 활성을 보였다. 산국 전초의 chloroform 분획물은 산국 꽃의 chloroform 분획물보다 4가지 균주 모두에서 더 강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산국과 구절초의 꽃과 전초, 그리고 쑥갓의 꽃의 chloroform 분획물들은 서로 유사한 TLC pattern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