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도별 토양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omparative Analysis by Soil Loss and Sediment Yield Analysis Calculation Method of River using RUSLE and GRID (RUSLE와 GRID를 이용한 하천의 토양유실량 및 유사유출량 산정방법별 비교분석)

  • Park, Eui-Jung;Kim, Chu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2
    • /
    • pp.112-121
    • /
    • 2007
  • In occasion of soil loss happened in a basin, soil in the near of a stream may flow into the stream easily, but in case that soil is far away from the stream, sediment yield transferred to rivers by rainfall diminishes. To forecast sediment yield of a stream is an essential item for management of basins and streams. Therefore, sediment yield of soil loss produced from a basin is needed to be calculated as accurate as possibl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calculate soil erosion amount in a basin and to forecast sediment yield flowed into a stream by rainfall and analyze sediment yield in the stream. There are various methods that analyze sediment yield of rivers. In the present study, the soil erosion amount was calculated using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RUSLE) and GRID, and sediment yield was calculated using sediment delivery ratio and empirical methods. DEM data, slope of basin, soil map and landuse constructed by GIS were used for input data of RUSLE. The upstream area of the Yeongsan river basi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as selected for the study area. Three methods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of LS factor were applied to estimate the soil erosion amount. Two sediment delivery ratio methods for the respective methods were applied and, correspondingly, six occasions in sediment yield were calculated. In addition, the above results were compared by relative amount with estimation by the empirical method of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Sediment yield calculated in the present study may be utilized for the plan, design and management of dams and channels, and evaluation of disaster impact.

  • PDF

Improvement of Integrated Water Resources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통합수자원평가계획 모형 개선)

  • Choi, Si Jung;Kang, Seong Kyu;Lee, Dong 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85-485
    • /
    • 2017
  •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물 부족을 전망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안을 제시하는 수자원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국가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들 수 있으며 목표연도에 대한 사회 경제적 요인의 변화를 전망함으로써 용도별 수요량을 산정하고 공급가능량을 함께 고려하여 물 수급 전망을 수행하고 있다. 이 때 주요공급원으로는 하천유출량과 함께 건설되어 운영 중이거나 계획 중인 댐과 광역 및 공업용수도를 고려하고 있으며 산정된 수요량과 공급량을 통해 물수지 분석을 수행한 후 지역공급원으로 지하수 및 농업용저수지를 추가로 고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 지하수에 대한 고려는 최근 이용하였던 암반지하수량을 미래에도 동일하게 이용가능하다는 가정 하에 분석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후변화, 물이용패턴, 하천수질변화 등으로 인해 지하수량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어 현재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지하수 관련 가정은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래에 대한 물 수급 전망에 있어 지하수를 중요한 공급원으로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평가하고 분석할 모형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수자원평가계획 모형인 K-WEAP모형과 지하수 모의 모형인 MODFLOW를 연계하여 지표수-지하수를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K-WEAPccia ver 2.0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에서는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을 모의하기 위해 4가지 옵션을 개발하였으며 하천 또는 하도구간에 대한 지하수 유입량과 유출량을 직접 입력하는 방법, 모형 자체적으로 직접분석할 수 방법(토양수분방법 또는 하천과 지하수간의 관계 규명 방법) 및 MODFLOW와의 연결을 통해 지하수를 모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통해 향후 물 수급 전망에 있어 주요한 공급원인 지하수를 함께 모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수자원계획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Uti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Analyzing Land Use Suitability in a Urban Area - A Case Study of Kumi City -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적지분석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이용 - 구미시를 중심으로 -)

  • Lee, Jin-Duk;Lee, Hyun-Hwa;Kim, Sung-Gi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4 no.4
    • /
    • pp.29-38
    • /
    • 2001
  • This study addresses the topic of suitability analysis for helping with land use planning, which is one of important decision-making in urban planning, uti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overing the Kumi City before integrating with neighbor county, the site suitabilities for land uses, which are categorized into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and green, were analyzed using the overlay method based upon the database constructed for this study. In the process, assessment criteria which include environmental factors and relative weights were determined and also the land use/cover map and NDVI map which were generated through satellite image processing were included in the database. The suitability maps by four function space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grade and compared with the present land use state and the land use concept map of urban master plan. For more accurate analysis, practical developing plan, land price data, soil data should be included. Also if the demand estimation data by each land use had been added, the reliability of location allocation could have been raised.

  • PDF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in a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Landfill Leachate using a Carbon Substrate Utilization Assay (탄소원 이용도 평가를 활용한 매립지 침출수로 오염된 지하수의 미생물 군집 특성 해석)

  • Koo, So-Yeon;Kim, Ji-Young;Kim, Jai-Soo;Go, Kyung-Seok;Lee, Sang-Don;Cho, Kyung-Suk;Go, Dong-Chan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2 no.2
    • /
    • pp.20-26
    • /
    • 2007
  • The microbial community properties of groundwater samples contaminated with landfill leachates were examined using Ecoplate including 31 sole carbon sources. The samples were KSG1-12 (leachate), KSG1-16 (treated leachate), KSG1-07 (contaminated groundwater), KSG1-08 (contaminated groundwater), and KSG1-13 (uncontaminated groundwater). Among the carbon sources used as substrates, 2-hydroxy benzoic acid, D,L-$\alpha$-glycerol phosphate, and D-malic acid were not utilized in any sample, while D-xylose, D-galacturonic acid, L-aspargine, tween 80, and L-serine were utilized in all 5 samples. The rest of substrates showed very different patterns among the samples. Average well color development (AWCD)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potential activity on 31 substrates was in the order of KSG1-16 > KSG1-12 > KSG1-07 > KSG-08 > KSG1-13, which generally agrees with the degree of pollution, except KSG1-16.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n similarity between samples showed two groups (KSG1-12, -07 and -08 vs KSG1-16 and -13), coinciding with contaminated and uncontaminated groups. Shannon index showed that the microbial diversities were similar among the samples.

鐵鋼 溶接部의 균열發生과 그 試驗方法

  • 김영식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4 no.3
    • /
    • pp.13-25
    • /
    • 1986
  • 철강 구조물의 용접기술에 있어 용접부의 신속성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용접균열에 관한 문제와 용접본드부의 취화에 관한 문제로 요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접부 및 그 근방의 금속은 국부적으로 매우 높은 온도까지 급열된 후 급냉되므로, 용접부에서 각종균열의 발성 위험성이 높아지고 용접본드부를 취화하여 파양인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 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선택이나 설계, 시공, 검사의 각 단계에서 충분한 검토가 필 요하다. 특히 최근 들어 이전보다 높은 강도의 고장력강재가 널리 사용되고 구조물의 대형화에 따라 구속조건이 증대되며 구조물의 사용 조건은 더욱 가혹 화함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철강 용접부에 발생하는 균열은 용접시공시 발생되는 균열과 용접완료후 구 조물 사용중에 발생되는 균열로 대별될 수 있다. 용접시공중 발생되는 균열은 용접열싸이클로 인해 생성되는 조직, 석출물등의 치금학적 요인과 잔유응력 또는 구속응력등의 역학적 요인이 중첩됨으로서 발생된다. 또한 사용중 발생되는 균열은 상기의 두 가지 요인이외에 환경적 요인이 첨가되어 발생된다고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용접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 구조물 용접 조립시의 각종 조건을 재현한 시험법을 통해 용접균열 발생의 한계조건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균열 시험의 결과, 적정한 용접 시공 조건이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지금까지 다수의 용접균열 시험법에 관한 연구가 행하여져 왔고 그 중에는 각 국가의 협회나 학회의 규격으로 확립된 것도 많으며 국제규격으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본 고에서는 각종균열들에 대한 지금까지 밝혀진 기구들에 대해 해설하고, 그 각각에 적용되고 있는 시험법들에 대해 소개하고저 한다.C1지구의 공업.생활용수는 103units, 33units로 배분되고, 하류지구에 304units로 배분되었다. 따라서 용도별로 물배분하므로서 금호강 하루지역에 더욱 많은 물을 배분할 수 있음을 알았다.통해서 수위-유량관계(rating curve)를 규명하였다. 시험지구의 관개효율 및 용수손실 규명 등에 관한 기본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계측시스템의 운영은 장기간으로 지속 되어야 한다며, 전기전도도와 토양수 농도, 전기전도도와 함수량의 관계를 이용한 천이상태의 오염원 농도 측정방법을 개발하였다. 특히 제안식에서는 한계함수량의 개념을 도입하여 전기전도도와 함수량관계를 추정하므로 추정식의 실험값 반영 정도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식을 이용하여 추정된 전기전도도와 함수량관계는 다른 제안식에 비하여 개선된 결과를 보여 주었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오염원 농도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함수량이 0.15이하에서는 측정오차가 크지만 함수량이 0.15이상일 경우 매우 좋은 결과를 보였는데 질량평형을 검토한 결과 약 5-10%의 오차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개발된 천이상태의 오염원 농도측정법은 용존 오염물질의 이송에 관한 정확한 실험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펄스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박박은 강유전성 이력을 나타내었다.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비교하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식습관에 대한 교육을 위한 교재, 교구의 개발과 영양, 식습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가정과 학교에서 부모와 교사가 자녀의 식생활 지도 관리를 돕고 가정과 교육기관이 연계한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 나가야 할 것이며, 이에 따른

  • PDF

Commercialization of Patented Technology on Turfgrass Production in Korea (잔디 생산 특허기술의 현황 및 산업화)

  • Youn, Jeong-Ho;Lee, Jae-Pil;Kim, Doo-Hwan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20 no.1
    • /
    • pp.107-118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troduce a couple of commercialized patented technologies in the area of turfgrass production. All sod production related patents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Dec. 20, 1948 to Dec. 30, 2005 were reviewed. Details of two patents (patent No. 0434389 and 0478194) were includ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ne of the domestic patents on sod production was the technique using natural and plastic films. Information on topsoil mixtures was also reviewed form foreign patents. 2. Patented multi-purpose sowing equipment can evenly mix soil, sand, fertilizer and other soil conditioners with seed, stolen and rhizome of turfgrass. 3. Patent on cool-season turfgrass sod production provide topsoil mixture combination and mixing ratio for sports field, landscape area and roof garden.

Studies on Resource Plants of the Mireukbong and Manduksan in Jeollabuk-do (전라북도 만덕산과 미륵봉 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

  • Kim, Young-Ha;Beon, Mu-Sup;Oh, Hyun-Kyu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9 no.4
    • /
    • pp.447-458
    • /
    • 2006
  • The resource plants at the Manduksan and Mireukbong was listed 550 taxa: 107 families, 339 genera, 481 species, 1 subspecies, 65 varieties and 3 forms. Among 550 taxa listed was confirmed 323 taxa of edible plants (58.7%), 384 taxa of medicinal plants (69.8%), 267 taxa of ornamental plants (48.5%) and 268 taxa of the others (48.7%).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4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Lilium distichum (Preservation priority order: No. 159), Tricyrtis dilatata (No. 97), Aristolochia contorta (No. 151), Prunus yedoensis (No. 110)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11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Carex okamotoi, Lilium amabile, Populus tomentiglandulosa, Salix purpurea var. japonica, Pseudostellaria multiflora, Prunus yedoensis, Forsythia koreana, Paulownia coreana, Weigela subsessilis, Aster koraiensis.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30 taxa; Prunus yedoensis in class V, Wistaria floribunda in class IV, 3 taxa (Spiraea salicifolia, Acer palmatum, Asperula lasiantha) in class III, 3 taxa (Potentilla dickinsii,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Caryopteris incana) in class II, 22 taxa (Pinus koraiensis, Hosta capitata, Chloranthus japonicus, Salix glandulosa, Juglans mandshurica, etc.) in class I. This site needs urgent countermeasures, because there have increased many man-made damages like planting exotic plants, picking wild plants and soil compaction induced by human trampling.

Difference in Shoreline Flora According to the Usage of Reservoirs in Korea (우리나라 저수지의 용도에 따른 호안 식물상 차이)

  • Cho, Hyunsuk;Cho, Kang-Hy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7 no.4
    • /
    • pp.339-347
    • /
    • 2015
  •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flora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geomorphology, hydrology, water quality and soil were investigated in the shoreline of total 35 reservoirs according to their usages of waterpower generation, agricultural water supply, residential and industrial water supply and flood control in Korea. The number of plant species, flor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pecies traits in the shoreline of reservoi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usage. From the results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total number of vascular plant species was increased at the environment of the higher flood frequency at the median water level and the longer exposure duration of the shoreline. The results of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shoreline flora was classified as the 3 types of 1) flood control and residential and industrial water supply, 2)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3) waterpower generation reservoirs. The water level fluctuation, flood frequency at the median water level, lake water quality index and exposure duration of the shoreline were selected as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affect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horeline flora. The species richness of total flora and hydrophytes, especially submerged macrophytes, were much higher in the reservoirs for the purpose of the waterpower generation in which mesotrophic water quality and stable water levels were maintained. Annual or biennial ruderals were established on the ephemeral drawdown zone of flood control, residential and industrial water supply reservoirs which have oligotrophic or mesotrophic water quality and wide range of water level fluctuation. The floating hydrophytes were differentially dominated in the littoral zones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reservoirs with a mesotrophic or eutrophic water quality and a medium water level fluctuation. In conclusion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water level fluctuation and water quality were different and then the floral characteristics of shoreline were distinguishable according to usage of Korean reservoirs.

Flora changes on Pasture in forest composition and analysis of Useful Plant Resources (임간초지 조성에 관한 식물상 변화와 자원식물의 유용도 분석)

  • Han, Gyu-Il;Kim, Se-Chang;Son, Yong-Hwan;Park, Seong-Ho;Seo, Han-Na;Park, Wan-Ge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60-60
    • /
    • 2019
  • 지속가능한 개발이 주목받고 남북 평화의 시대를 맞이하여 임업분야와 농업 축산분야가 결합된 혼농임업(Agroforestry)이 주목받고 있다. 혼농임업(Agroforestry)은 식량, 과실, 풀사료, 땔감, 목재 등을 생산하고 토양보전을 실천하여 지속농업을 가능케 하는 복합영농의 한 형태이며, 북한 산지의 경우 황폐화된 산지가 많아 경제성과 산림녹화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강원도 하늘목장을 시범목장으로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조사지의 총 면적은 2.4ha로 백두대간과 오대산국립공원이 인접한 지역으로 다양한 식물상을 파악할 수 있는 지역이다. 그러므로 외래종침입에 따른 생태적 교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지대를 설정하고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조사지내의 대표 수종으로 선정된 모수만 남기고 벌채를 실시하여 변화양상을 모니터링 하였다. 2014년~2017년 총 3개년 계절별 조사를 통해 임간초지의 식물상 정보를 파악하였고 임간초지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92과 250속 323종 4아종 43변종 6품종으로 총 37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자원식물의 유용도 분석한 결과 식용자원(E)이 160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약용(M) 141분류군, 관상용(O) 45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용도미상(U) 식물도 73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대상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조성된 초지 내에서 조사료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 종을 파악하였다. 나아가 미비한 임간초지 식생의 DB를 구축하고, 지속가능한 녹색성장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 PDF

Frequency Runoff Analysis by Storm Type using GIS and NRCS Method (GIS와 NRCS방법을 이용한 호우형태에 따른 빈도별 유출 분석)

  • Yeon, Gyu-Bang;Jung, Seung-Kwon;Kim, Joo-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1
    • /
    • pp.119-131
    • /
    • 2003
  • Rainfall-runoff process is under the control of hydrologic parameters having temporal and spatial variety.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deal them since many parameters and various information are required to perform hydrologic simulation. So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unoff volume by frequency using GIS techniques and NRCS method. The analysis of frequency rainfall is analyzed using FARD 2002 program and the result of goodness of fit test show that Log-pearson type III is suitable distribute type for the applied area. TOPAZ program used for the analysis of DEM data examining into geological characteristic. NRCS curve numbers estimated using landuse map and soil map for the estimation of effective rain fall in the basin. The storm Type II and Type III were used as the type for the application of NRCS. The result of application show that the runoff volumes above 80 years frequency in return period have similar patterns regardless of Type II and Type III. In addition, the results of comparison with runoff volumes by frequency in the report of river improvement master plan show that it have similar volumes as the relative errors for them of 80, 100 years frequency are each 7.65%, 5.3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