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요부(妖婦)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4초

요통환자에 있어서 요부굴곡운동과 요부신전 운동의 치료효과 비교연구 (The Treatment Effects of Back Flexion and Extension Exercises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권혁수;박지환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13
    • /
    • 1996
  • To compare the treatment effects of back exercise on functional status, spinal mobility, SLR, pain severity, and treatment results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spinal exercises during the low back pain reduces recurrent episodes of back pain. 1. Flexion and extension exercise groups did not differ in any outcome over 4weeks. After 1 week. both exercise groups had reduced disability score, a higher proportion returning to work, and fewer subjects with a positive SLR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2.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groups regarding recurrence of low back pain after $6{\sim}12$ months. 3. There was no difference for any outcomes between the flexion or extension groups. However, either exercise was slightly more effective than no exercise whe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ere treated.

  • PDF

오타고 운동에 따른 뇌졸중환자의 신체기능 및 장애물 보행의 변화 (The Change of Physical Function and Obstacle Gait on Otago Exercise in Patients with Stroke)

  • 고대식;정대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3-224
    • /
    • 2013
  • 이 연구는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낙상예방을 위하여 오타고운동과 요부안정화운동을 실시하고 신체기능 및 장애물 보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뇌졸중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신체기능은 근력, 균형능력을 측정하였고, 장애물 보행은 장애물 극복속도와 최대수직여유를 측정하여 운동 전과 운동 후, 각 운동군 간을 비교분석하였다. 근력은 30초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나기, 균형은 FRT와 TUG 검사, 그리고 장애물 보행은 장애물 극복속도와 최대수직여유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운동 후 ?고운동군은 요부안정화운동군에 비해 FRT와 장애물 극복속도는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TUG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오타고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신체기능 및 장애물 보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PDF

초음파 영상에서 다열근 측정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lumbar multifidus using ultrasound imaging)

  • 김준우;이해정;신상호;김광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413-41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요부 영상에서 근육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초음파 영상에서 왜곡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측정 할 근육 영역을 설정한 후, 초기 초음파 영상에서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고 Ends-in Search Stretching 기법을 적용하여 근육 영역의 명암 대비를 강조한다. 그리고 형태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등뼈 영역과 피하지방을 분리한 후, 4 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피하지방의 하단 부분을 추출한다. 또한 최대 및 최소 명암도를 조정하여 얻어진 등뼈의 후보 영역에서 형태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등뼈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등뼈 영역에 대해 피하지방층과 등뼈 사이를 근육의 두께로 측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을 요부의 초음파 영상에 적용하여 근육 영역을 추출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초음파 영상에서 근육 영역들의 두께를 측정하는데 기존의 근육 측정 방법보다 효과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요통환자에 있어서 요부굴곡운동과 요부신전 운동의 치료효과 비교연구 (The Treatment Effects of Back Flexion and Extension Exercises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권혁수;박지환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1-32
    • /
    • 1996
  • To compare the treatment effects of back exercise on functional status, spinal mobility, SLR, pain severity, and treatment results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spinal exercises during the low back pain reduces recurrent episodes of back pain. 1. Flexion and extension exercise groups did not differ in any outcome over 4weeks. After 1week, both exercise groups had reduced disability score, a higher proportion returning to work, and fewer subjects with a positive SLR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2.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groups regarding recurrence of low back pain after 6~12 months. 3. There was no difference for any outcomes between the flexion or extension groups. However, either exercise was slightly more effective than no exercise whe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ere treated.

  • PDF

가상현실 체험형 운동과 요부안정화운동에 따른 뇌졸중환자의 낙상관련 신체·심리적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all-Related Physicopsychological according to Virtual Exercise and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in the Patient with Stroke)

  • 정대인;서태화;고대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74-282
    • /
    • 2012
  • 이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낙상예방을 위하여 가상현실 체험형 게임 운동(Nintendo-Wii Sport-NWS)과 요부안정화 운동을 실시하고 낙상관련 신체 심리 기능 변화를 측정하였다. 뇌졸중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기능은 정적, 동적균형으로 측정하였고 심리적기능은 낙상효능감을 측정하여 운동 전과 운동 후, 각 운동군간을 비교분석하였다. 정적균형은 BBS, FRT, 동적균형은 TUG, 10m 보행검사, 낙상효능감은 낙상 효능감 지수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 두군 모두 신체 심리적기능에서 유의한 개선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BBS, FRT, 10m보행에서 요부안정화 운동군이 더 통계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상효능감은 가상현실 체험형 게임 운동 군에서 더욱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상현실 체험형 게임운동은 뇌졸중환자의 신체 심리적 기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치료용 공과 전신진동기를 이용한 교각운동이 체간근의 근활성도와 자세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idging Exercise Using Swiss Ball and Whole Body Vibration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Postural Stability)

  • 김택훈;김은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48-356
    • /
    • 2009
  • 본 연구는 요부안정화에 도움이 되는 불안정 기저면의 운동인 공운동, 전신진동운동, 매트운동을 선택하여 각 운동조건의 체간과 하지의 근 활성도(%RVC)를 비교한 결과, 배속빗근은 전신진동기조건에서 매트조건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넙다리곧은근과 장딴지안쪽갈래근은 공과 전신진동기조건에서 매트조건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오금안쪽갈래근은 공조건에서 매트조건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세 가지 운동방법으로 4주간 안정화운동프로그램을 진행시킨 결과, 세 운동군 모두 운동전보다 운동 후에 각 방향에서 안정성한계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5). 각 운동군의 운동 전 후의 안정성한계의 차이 값을 비교한 결과, 각 운동군에서 네 방향(전 후 좌 우)의 안정성한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교각자세에서의 요부안정화 운동방법 중에서 체간근과 하지근육의 근활성도는 공과 전신진동기 운동에서 더 증가되었지만, 안정화운동 4주후에는 세 운동 모두 자세안정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음파 영상에서 다열근 추출 (Extraction of Lumbar Multifidus Muscle using Ultrasound Imaging)

  • 김광백;신상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55-6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요부 영상에서 근육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초음파 영상에서 왜곡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측정할 근육 영역으로 설정한 후, 초기 초음파 영상에서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고 Ends-in Search Stretching 기법을 적용하여 근육 영역의 명암 대비를 강조한다. 그리고 형태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등뼈 영역과 피하지방을 분리한 후, 4 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피하지방의 하단 부분을 추출한다. 또한 최대 및 최소 명암도를 조정하여 얻어진 등뼈의 후보 영역에서 형태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등뼈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등뼈 영역을 기반으로 피하지방층과 등뼈 사이를 근육의 두께로 측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을 368개의 요부 초음파 영상에 적용하여 근육 영역을 추출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초음파 영상에서 근육 영역들의 두께를 측정하는데 기존의 근육 측정 방법보다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부안정화운동과 병행한 둔근운동이 요부불안정성을 가진 만성요통환자의 요부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luteal Muscle Exercises Combined Lumbar Stabilization on Lumbar Stability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 이상진;김영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9-39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the program focusing on gluteal muscle exercise combined lumbar stabilization had an effects on pain, functional disability and lumbar instability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who had lumbar instability. METHODS: Thirty four patient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SEG) (n=17) and gluteal muscle exercise group (GEG) (n=17). The gluteal muscle exercise group conducted gluteal muscle exercises combined lumbar stabilization and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did only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for 30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Pre-exercise assessment tools,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Korean version Oswestry Disability Index level (KODI) were used for pain and functional disability each. Also, these were scored by the tool of lumbar instability. The pain, functional disability levels, and lumbar instability after six weeks with this exercise were re-evaluated. RESULTS: First, SEG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umbar pain, functional disability levels and lumbar instability. Second, GEG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umbar pain, functional disability levels and lumbar instability. The third, GEG showed even more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umbar pain levels, functional disability levels and lumbar instability than SEG. CONCLUSION: Gluteal muscle exercises combined lumbar stabilization are more effective than only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in the pain levels, functional disability levels and lumbar instability for the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체간 조절운동 양식에 따른 만성요통환자의 신체·심리적 기능변화 (Changes of Physicopsychological Function difference on Trunk Control Exercis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 고대식;김찬규;정대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31-338
    • /
    • 2013
  • 이 연구는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요통치료 및 관리를 위하여 정적체간조절운동(요부안정화운동-바닥)과 동적체간조절운동(3차원 체간조절운동)을 실시하고 요통관련 신체 심리 기능 변화를 분석하였다. 만성요통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기능은 균형능력과 요부근활성도를 측정하였고 심리적기능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운동 전과 운동 후, 각 운동군간을 비교분석하였다. 균형능력은 전체 지수, 전 후 지수, 좌 우 지수로 측정하였고 요부근활성도는 배곧은근, 바깥빗근, 척추 세움근을 대상으로 측정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자기효능감 지수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 두군 모두 신체 심리적기능에서 유의한 개선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체기능에서 동적체간조절운동군이 더 통계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통계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적체간조절운동이 정적체간조절 운동보다 신체적 기능 증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상복부 술후 진통을 위한 요부 경막외 Narcotics의 투여효과 (Analgesic Effects of Lumbar Epidural Narcotics for Relief of Upper Abdominal Post-operative Pain)

  • 서일숙;구본업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39-44
    • /
    • 1985
  • 상복부 수술후 진통을 위하여 경막외 narcotics 주입시 임상에서 경막외강 천자가 가장 많이 시술되고 있는 부위 안 요부 경막외강에 morphine과 demerol을 각각 주입하여 진통 효과를 관찰하였다. 전신 마취하에서 상복부 수술을 받은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서 morphine 1 mg을 주입한 10명의 I군, demerol 10mg을 주입한 10명의 II군에서의 진통 효과를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orphine 을 주입한 I군에서는 평균 진통 시간이 29.4시간이었다. 2. Demerol을 주입한 II군에서는 평균 진통 시간이 4.0시간이었다. 3. Morphine을 주입한 I군이 Demerol을 주입한 II군보다 진통 시간이 훨씬 길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상복부 수술후 진통 목적으로 마약제를 경막외강에 투여시 시술이 안전한 요부 경막외강내로 투여하여도 우수한 진통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마약제로는 morphine의 투여가 demerol의 투여보다 더욱 진통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