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측 회전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7초

외측회전형 유도전동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utside Rotor Type Induction Motor)

  • 김현수;배철오;김종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812-818
    • /
    • 2003
  • 산업용 및 공조용 팬 동력원의 대부분이 농형 유도전동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구조는 외측 고정자에 의해 내측 회전자가 회전하는 형태이다. 이와는 반대로 내측 고정자에 의해 외측 회전자가 구동되는 외측 회전형 방식의 유도전동기는 적은 전류로 지속적인 큰 토크가 필요한 펀 둥에 적합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즉, 외측이 회전함으로써 큰 관성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일단 회전하게 되면 큰 토크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일시적인 입력 전압의 변동이나 부하 변동시에도 외측 회전자의 큰 관성력에 힘입어 송풍량을 고르게 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본 논문에서는 팬 또는 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부하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외측 회전형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를 설계, 제작하여 고정자 저항시험, 무부하시험 및 회전자 구속시험을 통해 등가회로 정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부하시험을 행하여 얻은 토크-속도, 출력, 역률 및 효율 특성곡선을 분석함으로써 외측회전형 유도전동기 개발과 관련된 기술적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대퇴이두건 전환술(Clancy 변형 술식)을 이용한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의 재건 (Biceps Rerouting Technique(Modification of Clancy) for Posterolateral Rotatory Instability)

  • 김성재;신상진;김진용;이동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5-31
    • /
    • 2000
  •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은 정확한 손상 기전에 대하여 논란이 많은 복잡한 손상으로 올바른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Modified Clancy 술식으로 치료한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 재건술의 임상결과를 후방십자인대 손상 여부에 따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 단독 손상 환자 (group I) 21예와 후방십자인대 손상을 동반한 후외측 회전불안정성 손상 환자 (group II) 25명을 대상으로 후방십자인대 손상은 일절개법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재건을 하였으며,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은 Clancy 변형 술식을 이용하였다. 이들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모든 예에서 수술 전 reverse pivot shift test 양성이었으나 수술 후 43례에서 음성으로 측정되었다. 수술 전 측정한 external rotation thigh foot angle test는 I군과 II군에서 모두 건측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고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수술 후 양군 모두 $10^{\circ}$이하의 측정치를 나타내었다. 평균 40.3개월 (24-99개월) 추시 관찰 기간 중 평균 Lysholm knee score와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knee ligament score는 양군에서 모두 90점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두 군 사이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술 후 합병증으로 3예에서 전환 대퇴 이두건 파열이 발생하여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 Clancy 변형 술식은 장경 인대의 손상을 줄이며 대퇴 이두건을 등척점으로 전환함으로 정상 운동범위 회복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 결과 Clancy 변형 술식을 이용한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 재건은 I군과 II군에서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으며 대퇴 이두건 부착부의 유착이 없는 경우 Clancy 변형 술식은 단독 또는 동반 손상을 가진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 재건술에 좋은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주관절의 외측방 회전 불안정성에 대한 외측 척측부인대 재건술-1례보고- (Lateral Ulnar Collateral Ligament Reconstruction for Posterolateral Rotatory Instability of the Elbow Joint - A Case Report -)

  • 문은선;이승기;박철홍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권2호
    • /
    • pp.236-241
    • /
    • 1998
  • 본 교실에서는 주관절에 발생한 후외측방 회전 불안정성에 의한 재발성 탈구 환자에 대해 Nestor 술식을 이용한 외측 척측부인대 재건을 1례 치 험하였다. 주관절의 재발성 탈구의 치료에 있어서는 병인중 가장 많은 후외측방 회전 불안정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그에 따른 외측 척측부인대 재건등의 수술적 수기와 술후 적절한 재활 치료가 치료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 PDF

심각한 외측 회전을 동반한 전완 기형의 외과적 교정 치료 2 증례 (Surgical Correction of an Antebrachial Deformity with Severe External Rotation in Two Dogs)

  • 윤헌영;노미영;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8-331
    • /
    • 2011
  • 간헐적 전지 파행을 보이는 두 마리 개가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에서 약 $90^{\circ}$ 외측 회전을 동반한 전완 기형을 두 마리 모두에서 확인 하였다. 일반 방사선 사진에서 척골 원위부 아탈구, 요골 앞쪽 휨 현상, 짧아진 요골 척골, 및 앞발의 외측 회전을 확인하였다. 외측 회전을 동반한 전완 기형의 교정을 위해 척골 원위부 골절제와 요골 원위부 쐐기형 절골술 및 요골 원위부 내측 회전을 실시 하였다. 관절 부조화를 예방하기 위해 척골 근위부 절골술을 첫 번째 개에서 실시 하였다. 수술 후 정기 검진은 수의사의 신체 검사를 통해 실시 되었으며 두 마리 모두에서 수술과 관련한 합병 증상 및 파행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슬관절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의 적합한 수술적 방법 (Proper Surgical Methods of Posterolateral Rotatory Instability of the Knee)

  • 정영복;이용석;송광섭;진호선;이종석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9-55
    • /
    • 2004
  • 목적: 후외측 불안정성에 대하여 시행한 여러 수술 방법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불안정성의 정도에 따른 적합한 수술적 방법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998년에서 2002년 10월까지 85명의 환자가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으로 후외측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중에서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1 명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평가(OAK, IKDC)와 후외측 전위 검사 및 경골 외회전(dial test)를 이용하여 회전 안정성을 평가 하였다. 결과: 변형된 비골 두 터널을 이용한 후외측 재건술이 회전 안정성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Hughston-jacobson 방법과 대퇴 이두건 고정술은 불량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골 두 터널은 경골 터널에 비하여 유의하게 안정적 이었다. 결론: 변형된 비골 두 터널을 이용한 후외측 재건술은 grade II 이하의 불안정성에서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grade III 이상의 불안정성에는 비골 두 터널과 경골 터널의 동시 해부학적 재건술이 필요하다. 또한, 내반 불안정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는 외측 측부 인대 재건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전방십자인대 한다발재건술의 후외측다발 재건 및 두다발재건술이 외발착지 동작 시에 경골내회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teral and Posterior Placement of Single-Bundle and Double-Bundle ACL Reconstructions on Tibial Internal Rotation During Single-Leg Landing)

  • 신충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5호
    • /
    • pp.517-523
    • /
    • 2011
  • 전방십자인대 부상은 스포츠 활동 중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주로 수술적 치료가 행해진다. 전방십자인대는 전내측과 후외측 다발로 구분되는데 주로 전내측 다발만 재건되는 한다발 재건술이시술되고 있다. 후외측 다발은 경골의 내회전을 복원하는데 효과적이라는 실험 결과가 보고된 바있지만 부상을 야기하는 역동적인 착지동작에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MRI 영상을 이용하여개발된 3차원 슬관절 모델에 인체실험 자료를 입력한 시뮬레이션으로 착지동작 시에 후외측 다발 및두다발 재건술이 얼마나 경골의 내회전을 제어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후외측 다발 방향의재건이 전내측 다발보다 착지동작 시에 경골 내회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며 두다발 재건술 또한슬관절 회전 안정성을 향상시킴을 밝혔다.

관상면과 시상면에서의 견봉 형태와 회전근개 파열의 연관성 (Acromion Morphology in Coronal and Sagittal Plane; Correlation with Rotator Cuff Syndrome)

  • 조현철;김정택;윤강섭;이지호;강승백;이재협;한혁수;이승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26-136
    • /
    • 2009
  • 목적: 견관절 자기 공명 영상에서 전방 및 외측 견봉 갈고리각을 측정하고 기존의 견봉 지표들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에서 2005년 12월까지 수술을 통해 진단된 충돌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시기에 충돌증후군 관련질환 이외의 원인으로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충돌증후군 환자군의 자기공명영상에 전방 견봉 갈고리각 (AAHA)과 측방 견봉 갈고리각 (LAHA), 그리고 견봉 갈고리지수 (AHI)를 측정하고 회전근개 파열환자군에 대해, 견봉형태, 견봉각, 전방덮임정도, 견봉경사, AAHA, 외측견봉각, 견봉염전각, 외측견봉굴곡각, LAHA, 외측덮임정도, 견봉상완거리, 견봉갈고리지수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 충돌증후군 환자에서 단계가 진행할수록 AAHA, AHI는 증가하였다. 회전근개 파열환자에서 AAHA와 LAHA는 증가해 있었다. 단변량 분석에서는 견봉유형, 견봉각과 AAHA, LAHA, AHI가 회전근개 파열환자에서 대조군과 차이를 보였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성별, 연령, AAHA, 견봉각이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고 성별이 가장 큰 연관성이 있으며 연령, AAHA, 견봉각은 유사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견봉의 형태는 사관상면의 특징이 회전근개 파열과 연관성을 가지므로 견봉성형술에서 견봉 측방 성형도 중요하다.

후방십자인대,후외측 회전 불안정성 및 다발성인대 재건술 후 재활 치료 (Rehabilitation after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osterolateral Rotatory Instability, and Multiple Ligament Reconstruction)

  • 유재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1-92
    • /
    • 2008
  • 후방십자인대 및 후외측인대 재건술 후 결과는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evidence medicine의 측면에서 재활 방법에 관한 전향적 연구는 없다. 현재까지의 재활 방법은 다양하게 소개되었지만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처럼 가속 재활을 하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않다. 후방십자인대, 후외측인대 그리고 다발성 인대 재건술 후 재활은 수술 방법과 환자의 재건된 인대의 상태, 하지 정렬 등에 따라서 개별화하여 점진적으로 진행하여야 할 것이고, 재활기간 동안 의사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 PDF

양측 슬괵건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및 후외측 지대 재건술 (Posterior Cruciate Ligament and Posterolateral Structure Reconstruction using Bilateral Hamstring Tendons)

  • 인용;김석중;이규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7-173
    • /
    • 2005
  • 목적: 저자들은 후방 십자 인대 손상과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이 동반된 환자에서 양 측 슬괵건을 채취하여 각각 후방 십자 인대 및 후외측 지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0월부터 2004년 3월까지 후방 및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으로 양 측 슬괵건을 이용한 후방십자 인대 및 후외측 지대 재건술을 시행한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9명 여자가 1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36.8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7개월(12개월-2년 4개월)이었다. 후방 십자 인대는 환측 슬괵건을 이용하여 횡고정 핀과 Intrafix (Mitek, Norwood, MA) 로 고정하였고 후외측 지대는 비골두에 터널을 뚫어 건측 슬괵건을 통과 시킨 후 대퇴골 외과의 등장점에 흡수성 나사로 고정하였다. 후방 전위 정도는 후방 부하 방사선 사진으로 계측하였고 이학적 검사상 회전 불안정성의 정도를 Noyes와 Barber-Westin의 분류에 따라 평가하였다. 슬관절 기능 평가는 Lysholm 점수와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평가 기준을 이용하였으며 건측 공여부의 평가는 IKDC 평가기준 공여부 항목과 슬관절 굴곡력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후방 부하 방사선 사진상 술 전 13.3 mm에서 술 후 3.7mm로 호전되었으며 $30^{\circ}$$90^{\circ}$ 경골 외회전 검사상 기능적 소견을 보인 예가 7예, 부분 기능적 소견을 보인 예가 2예, 실패의 소견을 보인 예가 1예였다. Lysholm 점수는 술 전 54점에서 술 후 86점으로 호전되었다. IKDC 평가 기준상 거의 정상 이상이 8예, 비정상이 2예 이었으며 심한 비정상의 소견을 보인 예는 없었다. 건측 하지 공여부 평가상 2예에서 감각 저하를 호소하였으나 슬관절 굴곡력의 약화 소견은 없었다. 결론: 후방 십자 인대 손상과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이 동반된 환자에서 양 측 슬괵건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및 후외측 지대 재건술은 양호한 임상 결과와 건측 채취부의 합병증이 적은 좋은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슬관절 전외측인대의 해부학, 생역학, 수술법 및 임상적 결과 (Anterolateral Ligament of the Knee: Anatomy, Biomechanics, Techniques, and Clinical Outcome)

  • 김성환;이태협;박용범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81-293
    • /
    • 2020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슬관절 수술 중에서 흔하게 시행되는 수술 중 한가지이나 해부학 및 생역학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여 수술 기법의 다양한 변화가 있었음에도 수술 실패는 7%-16% 정도로 보고되고 있어 회전 불안정성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전외측인대가 회전 불안정성에 대한 2차적인 지지 구조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전외측인대의 해부학적 형태, 생역학 및 임상 결과에 있어서 논란이 있다. 전외측인대는 대퇴골 외상과 부위에서 경골 근위부의 Gerdy's 결절과 비골 골두 사이에서 슬관절 전외측으로 주행하는 구조물로 알려져 있으며 생역학적 연구에서 경골의 내회전에 따라 전외측인대의 긴장도가 증가하는 슬관절 회전안정성에 기여를 하는 구조물로 알려져 있다. 전외측인대 손상의 진단은 신체검사, 방사선적 검사, 자기공명영상 등의 다양한 검사를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며 그중 주로 pivot-shift 검사와 자기공명영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진단하게 된다. 최근에는 장경인대의 Kaplan 섬유 등과 같이 전외측인대 복합체로 판단하기도 하며 그 구조물들의 손상여부를 각각 고려하기도 한다. 치료에 있어서 다양한 수술법이 소개되어 사용되고 있고, 연구마다 다른 수술의 적응증을 제시하고 있는 실정으로 최근의 임상적 연구에서 회전 불안정성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지만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전외측인대를 강화하는 외측 강화 술식의 유용성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