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 Surgical Methods of Posterolateral Rotatory Instability of the Knee

슬관절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의 적합한 수술적 방법

  • Jung Young B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Yongsan Hospital, Chung-Ang University) ;
  • Lee Yong Seu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Yongsan Hospital, Chung-Ang University) ;
  • Song Kwang Sup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Yongsan Hospital, Chung-Ang University) ;
  • Jin Ho S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Yongsan Hospital, Chung-Ang University) ;
  • Lee Jong Se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Yongsan Hospital, Chung-Ang University)
  • 정영복 (중앙대학교 용산의료원 정형외과) ;
  • 이용석 (중앙대학교 용산의료원 정형외과) ;
  • 송광섭 (중앙대학교 용산의료원 정형외과) ;
  • 진호선 (중앙대학교 용산의료원 정형외과) ;
  • 이종석 (중앙대학교 용산의료원 정형외과)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Purpose: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proper surgical method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instability by analyzing the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8 and August 2002, eighty five patients have been operated on because of posterolateral rotatory instability (PLRI). The materials were included the patients who had followed-ups for over 2 years in sixty one patients and the patient's assessments were done by clinical score (OAK, IKDC) and posterolateral drawer and dial test. Results: Through our results, the fibular tunnel turned out to be superior compared to the tibia tunnel method in rotational stability. Hughston-Jacobson methods and biceps tenodesis showed poor results. Fibula head tunnel was superior to tibia tunnel in rotational stabiliaty Conclusion: The surgical technique that passes the modified posterolateral corner sling through the fibula head tunnel may provide good clinical results in grade II PLRI.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both tibia and fibula tunnel in grade III PLRI. When there is combined varus instability, a positive result may be obtained if an additional LCL reconstruction is performed.

목적: 후외측 불안정성에 대하여 시행한 여러 수술 방법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불안정성의 정도에 따른 적합한 수술적 방법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998년에서 2002년 10월까지 85명의 환자가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으로 후외측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중에서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1 명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평가(OAK, IKDC)와 후외측 전위 검사 및 경골 외회전(dial test)를 이용하여 회전 안정성을 평가 하였다. 결과: 변형된 비골 두 터널을 이용한 후외측 재건술이 회전 안정성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Hughston-jacobson 방법과 대퇴 이두건 고정술은 불량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골 두 터널은 경골 터널에 비하여 유의하게 안정적 이었다. 결론: 변형된 비골 두 터널을 이용한 후외측 재건술은 grade II 이하의 불안정성에서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grade III 이상의 불안정성에는 비골 두 터널과 경골 터널의 동시 해부학적 재건술이 필요하다. 또한, 내반 불안정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는 외측 측부 인대 재건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