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래진료센터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7초

치과대학병원 외래진료부문의 공간배치특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Spatial Distribution at Dental College Hospital O. P. D)

  • 이희진;이특구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53-60
    • /
    • 2006
  • The medicine development and upwardly raised standard of living brings out the increased dental needs at dental hospital OPD. The dental college hospital, follows up the raised dental needs, was subdivided by specialized dental office. And now a specialized dental office needs co-work with the other specialized dental office for special dental illness and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roper area distribution and location of each specialized dental office and relationship between dental office, clinic and other department by analyzing the space, area and characteristics of dental hospital OPD. The results could be used for helping its users, of patients and dentists.

  • PDF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외래프로세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utpatient Process Using Simulation)

  • 최현숙;지은희;강성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377-387
    • /
    • 2014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외래프로세스를 개선하여 기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수행되었다. 3가지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외래환자 전체 체류시간, 대기시간, 이동시간, 진료시간, 직원 활용도 지표를 비교하여 시나리오에 따른 외래프로세스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병원의 진료자료를 수집하여 통계도구와 프로세스 마이닝 도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툴인 PIOS를 이용하여 모형의 타당성은 t-test로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센터제로 운영하는 경우의 외래프로세스가 가장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볼 때 외래환자에 대해서는 센터제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기관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시뮬레이션이 최적의 외래프로세스를 선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면 과거 경험, 감정, 직관에 의존하는 기존의 보건의료 관리 기법에 비해 효율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모델은 보건 의료 시스템 상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종합병원 전문 진료센터의 건축 계획적 연구 (An Architectural Study on the Specialized Care Center in the General Hospital)

  • 정가영;양내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6-221
    • /
    • 2007
  • This study is about an architectural change for traditional hospitals to meet the challenges of the rapidly changing general hospital through a case study on specialized centers in Korea. Rapidly changed social facts are made new paradigm which is not functional organization but patient centered. It makes many changes from traditional hospital to specialized center, such as disease based care organization, cancer cen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rchitectural design guidelines for general hospitals which are struggling to change from to functionally organized hospital to the new disease and organ based care center that are patient focused. In order to find applicable design guidelines, analyze general hospital's organizational features and their factors.

  • PDF

국내 종합병원 전문진료센터의 건축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Specialized Care Center in the Korean General Hospital)

  • 정가영;양내원;이한승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5-33
    • /
    • 2007
  • This study is about change a necessary and natural change from institutionalized hospital based health care to a more patient centered, accessible health care. Rapidly change of social and medical facts such as growing aging population, malady, changing of medical policy are made new paradigm. This paradigm is both required to the hospital ; consolidate department and service; architectural change. Benefit to patient and hospital are many, so there are many challenges in Korean general hospi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architectural design guideline to Korean general hospital which is struggling to change from to functional organization to the patient based care center. As a result, the type is divided into three classes, consultation type(C), some of examinations are added on consultation type(EAC), consultation and examination are fully integrated type(CEI). Each type has different organization and the proportion of area, group unit, process of treatment.

  • PDF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진료실의 외래환자마취 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OUTPATIENT ANESTHESIA AT DENTAL CLINIC FOR DISABL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박창주;정준민;김현정;장기택;이상훈;염광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25
    • /
    • 2004
  • 치과적 장애인이란 치과진료 시 치과의사에게 자발적인 협조가 힘든 사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 치과병원 장애인진료실에서 치료받은 치과적 장애인 환자들의 임상진료 실태를 마취과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장애인 치과치료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1999년 1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진료실에 내원한 장애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총 89명의 환자들에게 93건의 치과진료가 시행되었다. 환자의 대다수는 정신지체였고 전신마취 하 보존치료를 받았다. 주로 마취유도제는 thiopental, 근이완제는 vecuronium을 이용하였으며 산소, 아산화질소, enflurane을 함께 흡입시켜 마취를 유지하였다. 총 마취지속시간과 회복실 체류시간은 각각 $164.4{\pm}57.2$ 분과 $106.2{\pm}50.5$ 분이었고 회복 과정에서 심각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외래환자마취에 기반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진료실의 치료방침에 따라 특별한 문제없이 성공적인 마취가 가능하였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증가하는 장애인 치과치료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시설과 인력을 갖춘 보다 맡은 외래환자마취 센터의 필요성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소아 폐렴의 진료 지침을 위한 기초 자료 연구 (Database study for clinical guidelines of children with pneumonia who visited an emergency department)

  • 홍대영;이경미;김지혜;김준식;한승백;임대현;손병관;이훈재;이경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7호
    • /
    • pp.757-762
    • /
    • 2006
  • 목 적 : 폐렴은 응급센터에 내원하는 소아 호흡기 질환 중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지만 응급센터에서 진료 및 입원과 퇴원을 결정하는데 기준이 되는 표준 진료 지침이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이것을 위한 응급센터에 내원한 소아 폐렴에 대한 기초 자료가 충분하지 못한 상황이므로 저자들은 일개 삼차 의료기관 응급센터에 내원한 소아 폐렴 환자의 분석을 통해 기초 역학 조사와 함께 입원 및 퇴원에 대해 임상적 차이점과 진료 지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일개 삼차병원 응급센터를 내원 후 폐렴으로 진단받았던 1개월 이상 15세 미만의 소아 30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군의 기초 역학 자료로 연령과 성별을 비교하였고, 입원군과 퇴원군에서 임상 증상, 신체 검사 소견, 내원 전 다른 병원 진료 여부, 응급센터 내원 전 증상 지속 기간, 혈액 검사 및 흉부 방사선 촬영 결과, 외래 추적 관찰 여부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응급센터에 내원한 소아 폐렴 환자의 1년간의 연구에서 남아 168명(55.3%), 여아 136명(44.7%)으로 남녀비는 1.24 : 1이었다. 입원군은 247명(81.3%)이었고 퇴원군은 57명(18.7%)이었다. 연령은 입원군과 퇴원군에서 각각 2-5세 연령대가 많았고(입원군 37.2%, 퇴원군 52.6%) 두 군 모두 겨울철에 많이 내원하였다. 입원 적응의 기준으로는 3개월 미만, 열, 급성 병색을 보이는 경우, 빈호흡 및 수포음 청진 소견과 백혈구 수 증가 등 이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방사선 소견은 입원 결정에 도움을 주지 못했으나 입원 기간에는 영향을 주었고, 입원군에서 퇴원군보다 외래 추적 관찰이 잘 되었다. 결 론 : 국내 실정에 맞는 응급센터 소아 폐렴 표준 진료 지침의 완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소아 폐렴 기초 자료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추후 관련된 임상과들 및 타 병원 응급센터와 연계한 전향적인 연구를 통해 소아 폐렴의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한 진료 및 치료, 추적 관찰에 도움을 주는 표준 지침을 연구하고자 한다.

의대생들의 과제해결기반 병원 내 진료지원부서 현장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Task-Based Field Experience for Medical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cal Care Support Department in the Hospital)

  • 박귀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52-16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 1학년을 대상으로 병원 내 진료지원 부서에 대한 과제해결 기반의 현장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 후, 학생들의 경험과 그 의미를 현상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병원 내 진료지원 부서로 간호부(병동과 외래, 중환자실), 인공신장실, 의무기록실, 약제부, 진단의학검사실, 영상의학실, 원무팀, 고객상담센터, 장기이식센터, 국제의료센터를 선정하였다. 학생들은 부서를 방문하여, 인터뷰, 관찰, 직접 시행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고, 프로그램 만족도와 자기성찰 에세이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학생들은 병원 내에 많은 직종과 역할이 있고, 보건의료 직종의 역할을 이해하게 되었다는 것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에 나타난 현장체험학습 경험에 대한 본질적 주제는 현실을 인식에서는 '체험이 주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로 나타났으며, 존중과 협력에서는 '다른 직종의 전문성 인정과 존중', '팀이라는 인식 형성'이 나타났으며, 경험으로부터의 자기성찰에서는 '내면의 변화'가 나타났다.

외래의료 민감 질환으로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의 특성 분석: 의료전달체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in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Departments: Focused on Health-care Delivery System)

  • 허영진;김지연;이명화;이성민;오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53-258
    • /
    • 2020
  • 본 연구는 외래의료 민감 질환(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ACSCs)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의 특성을 연령(성인 19-64세, 노인 65세 이상)으로 구분하여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2018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국가응급진료정보망 자료를 이용하여 응급의료기관 종별과 ACSCs의 비율, 응급실 재실시간, 입원일수, 입원율을 살펴보았다. 응급의료기관 종별에서는 지역응급의료센터의 비율이 높았고(P<0.001), ACSCs의 질환 비율에서 성인은 위장염 31.7%와 노인은 폐렴 48.2%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응급실 재실시간은 울혈성심부전과 당뇨를 제외한 모든 질환에서 노인이 길게 나타났고(P<0.001), 입원일수는 ACSCs 모든 질환에서 노인이 유의하게 길게 나타났으며(P<0.05), 입원율은 당뇨를 제외한 모든 질환에서 노인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이와 같이 ACSCs로 인한 응급실 이용을 파악하여 외래 중심으로 치료를 유도할 수 있도록 의료정책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임상가를 위한 특집 3 - 소아치과에서 진정치료의 신경향 (Recent Trends of Sedation in Pediatric Dentistry)

  • 이기섭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7권11호
    • /
    • pp.736-749
    • /
    • 2009
  • 근래 환자의 불안을 조절하는 것이 성공적인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의과, 치과, 영상의학과, 응급실 및 외래 수술센터 등에서 진정요법에 대한 필요가 현저하게 늘어났다. 응급상황이거나 아니거나 진정요법의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고 대한 소아치과학회는 이러한 진정요법에 대한 지침을 출간한 바 있다. 이번 개정은 진정요법에 필요한 적절한 환자감시(monitoring)의 필요에 관한 최신지견을 반영한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침에 충실하였다고 해서 특정환자의 결과를 보장하지는 못한다. 그러 나 이번에 소개하는 진정요법 protocol은 널리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부작용 역시 최소화한 것이다. 소아 환자의 진정요법은 원하는 수준의 진정이나 투여 방법과는 상관없이 호흡기능 저하와 환자의 방어 반응이 소실될 수도 있다는 인식하에 작성되었다. 이번 호에서는 최근 2006년에 미국소아과학회와 미국소아치과학회가 공동으로 개정된 지침(Guideline for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Pediatric Patients During and After Sedation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s developed and endorsed by AAP a and AAPD)이 어떻게 변경되는지에 중점적으로 알아보며 새로 변경된 지침에 따라 소아치과의의 진정요 법의 진료와 교육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영향으로 다양한 약 투여방법(Alternative routes of d drug administration)과 다양한 약물의 선택에 대해 알아 보기로 한다.

  • PDF

심한 구역반사를 보이는 환자에서 문진표와 행동 요법을 이용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Management of prosthodontic patients with severe gag reflex using the questionaire and behavior technique: A case report)

  • 손창모;김유진;이천서;최나래;권은영;김소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33-340
    • /
    • 2021
  • 구역반사는 필수적인 기능이며 유용한 생리적 방어기전이지만 심한 구역 반사는 보철 치료의 진행을 어렵게 한다. 본 증례는 구역반사를 일으키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하여 문진표와 환자와의 상담을 통해 환자의 구역반사를 일으키는 요인을 객관화하였다. 이에 따른 구강 내 치과용 기구를 위치시킴으로써 적응하는 체계적 탈감작인 행동조절 및 음주 후 구토습관을 없애는 습관조절 등 다양한 해소방안을 계획하였다. 전신마취하 임플란트 고정체 식립을 제외하고 모든 수복 절차는 통상적인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과 동일하게 외래에서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구역반사에 의한 불편감이 감소되었고, 환자의 부분 무치악 부위에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