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외국인 인구

Search Result 18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Moderating Effect of Population Dro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nges and Crime Decline (인구통계학적 구조 변화와 범죄 감소 간의 관계에 있어서 인구 감소의 조절 효과 검증)

  • Soo-Chang Lee;Dae-Chan,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3
    • /
    • pp.95-102
    • /
    • 2023
  •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opulation dro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nges and crime decline in local cities facing population decline in Korea. The study employs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young adults, men, elderly, foreign residents, and population movement as factors of demographic changes, including types of the city as a control variable in the research model. The rate of change in population drop is used as a moderator variable and the rate of change in crime decline as a dependent variable. Data are collected from 155 cities with declining populations from 2010 to 2022 through KOSIS, the National Statistics Portal, and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s. Data collected are analyzed using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analysis, they show that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young adults, population movement, foreign people, population drop, and the type of city affect the change in crim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only the interaction terms among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young adults, changes in population movement, and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foreigners and the population drop affects change in crime significantly.

A Socio-demographic Study on Foreign Residents in Franc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tistical System of Foreigners in South Korea (프랑스 거주 외국인에 관한 인구사회통계: 우리나라 외국인통계제도정립을 위한 예비적 고찰)

  • Renucci, Florence;Hwang, Myung-Ji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1 no.2
    • /
    • pp.157-189
    • /
    • 2008
  •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some statistical aspects in response to the increase of foreigners and immigrants within the population of Korea. Such an interest conducts our case study of France with regard to the census and legal systems that restrict definition and measures of foreign population in the country. This study also explores historical background, legal entities and authorities involved in policy-related decision making in census and other statistics, and processes of statistical production on the concerned population. Also, an importance of statistical contributions to the immigration policies is discussed.

어촌지역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구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른 갈등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남해군 미조권역 중심으로-

  • 박종윤;안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86-289
    • /
    • 2022
  • 농어촌지역의 인구감소로 인한 인력난 해소를 위하여 국가적으로 농·어가당 외국인 고영허용 인원을 확대하고 농가의 경우 계절 근로제도 대상 적용 작물 제한을 없애는 등 인력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와 국제결혼 증가로 인하여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코로나 19 이전 2019년 12월 말에 체류 외국인이 252만 명으로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4.9%에 해당하며, 통상 학계에서는 외국인 비율이 5%를 넘으면 다문화사회로 분류한다. 지속적인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구의 증가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갈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다문화사회로 분류된 상황에서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구를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인식하고 갈등을 적극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해군 미조권역의 사례를 바탕으로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구와 원주민과의 갈등관리를 위한 시설물 및 프로그램 계획, 현안갈등과 잠재적갈등 관리 방안을 제안하여 어촌지역 다문화사회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 수행의 의의가 있다.

  • PDF

Spouse Dissimilarity and Marital Stability of Divorced Couples of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상이성과 결혼 안정성)

  • Kim, Doo-Sub;Lee, Myoung-Ji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3
    • /
    • pp.33-56
    • /
    • 2007
  • This study explores the pattern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ivorced couples of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effect of dissimilarity between husband and wife on the duration of marriage of divorced couples. It examines whether the difference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married couples are linked to different process within their relationships and duration of marriage. Attention is focused on couple's age and education. Micro-data from divorce registration for the period of 1995-2005 are utilized. Results of analyses reveal the following. First, married couples may have different responses to dissimilarity between the partner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nationality of the couples. This indicates that cross-border marriage does not represent the same type of union in different societies or cultures. Second, both dissimilarities of age and education show negative impacts on the marital duration of the couples with foreign wives,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its pattern. Age dissimilarity displays higher impacts on the duration. Third, the result also indicates that the contribution of dissimilarity of age and education on marital duration is relatively small among the couples with foreign husbands.

Effects of Foreign Wife Status and Social Capital on Fertility (외국인 배우자의 지위와 사회적 자본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

  • Kim, Doo-Sub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1 no.3
    • /
    • pp.1-26
    • /
    • 2008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impacts of foreign wife status and social capital on fertility among a group of Chinese, Vietnamese and Japanese wives in Korea. Attention is focused on the argument that minority group status and immigrant social capital exerts an independent effect on fertility, apart from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variables. It is hypothesized that the level and tempo of fertility of foreign wives reflect their social disadvantages and the adaptation process. Micro-data from two socio-demographic survey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reproductive outcomes of foreign and native wives in Korea. Results of analyses reveal that foreign wives in Korea tend to have fewer children compared to native Korean women. It was found that a foreign wife's access to social capital significantly facilitates reproductive behavior. Those who engage themselves more in voluntary activities, have more friends in Korea, and possess better and higher-quality social networks tend to have more children. Foreign wives with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or assimilation to the new surroundings were also found to have more children than other foreign wives.

Social Distance between Foreign Workers and Koreans : From Foreign Workers' Viewpoint

  • Kim, Seok-Ho;Kim, Sang-Uk;Han, Ji-Eu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2
    • /
    • pp.115-140
    • /
    • 2009
  • 이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적응문제를 살펴 보기 위하여 그들이 한국인들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사회적 거리감(social distance)을 분석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감은 인종 간 상호 관계 연구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져 왔으며, 특히 사회적응 수준을 드러내는 효과적인 척도로 각광받아왔다. 이 연구는 한국내 외국인 노동자들의 한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결정요인을 규명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수집된 자료에 대한 다중회귀분석(OLS Regression)을 통하여, 이 연구는 서구 사회에서 다수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판명된 요인들이 한국의 소수 인종인 외국인노동자들에게도적용될수있는가를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연령, 성, 교육, 종교, 인종과 같은 사회인구학적 변수들과 한국인과의 접촉정도 가사회적 거리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 분석된다. 둘째, 이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가장 중요한 삶의 공간인 작업장에서의 경험과 관련된 변수들이 사회적 거리감에 대하여 가지는 효과를 탐구한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의 적용을 통하여, 이 연구는 다중회귀에서 분석된 여러 설명 변수들 간의 복잡한 인과구조를 규명하고, 이들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효과, 간접효과, 전체효과로 나누어 살펴본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집단 간 사회적 거리감은 사회인구학적 변수들, 한국인들과의 접촉, 작업장 내 경험등 다양한 요인들의 복합적인 결과물이라는 점을 확인해 준다. 특히 분석결과는 작업장에서의 경험과 느낌이 한국 내 외국인 노동자들의 한국인들에 대한사회적거리감형성에결정적이라는사실을보여주는반면, 기존연구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된 전통적 요인들은 영향력이 미미하다는 점을 말해준다. 한편,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분석결과는 한국인 친구들과의 접촉과 이해하기 쉽고 구체적인 노동조건이 사회적 거리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한편 추상적인 노동조건은 사회적 거리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상사에 대한 평가와 직무만족은 노동조건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지만, 한국인 친구와의 접촉과는 관련이 없다. 간단히 말해, 상사에 대한 평가와 직무만족은 노동조건이 사회적거리감에 대하여 가지는 효과를 매개한다. 결론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결과는 작업장 관련 변수들간에 복잡한 인과구조가 존재한다는 점과 작업장 내 경험이 한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형성에 가장 중요하다는점을 확인해 준다.

Migrant Characteristics of Foreign Workers and Research Trends in Korea (외국인 노동자의 이주 특성과 연구동향)

  • Lee, Jung-Whan;Lee, Sung-Yo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2
    • /
    • pp.147-168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udies of foreign workers in Korea at a level of meta-analysis focusing on their subjects and methodology. Over the last 15 years, studies of foreign workers have diversified subjects and refined methodology reflecting major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patterns including a rapid increase in number, large populations of illegal sojourners, a majority low-skilled young male workers from less developed countries, and an active role of migrant-support NGOs. Nevertheless, the studies have shown problems such as a higher ratio of macroscopic discussions, overemphasis on social problematic issues and a tendency towards descriptive analysis. Methodologically, they have also revealed an inactive use of empirical and quantitative data, lack of representativeness of sample and disregard of an importance of language in the study of foreigner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to enhance researches of foreign workers in Korea.

외국인 노동자와 에이즈 -외국인 감염인 추방만이 능사는 아니다-

  • 김미선
    • RED RIBBON
    • /
    • s.60
    • /
    • pp.18-19
    • /
    • 2004
  • 오늘날 자신이 태어난 나라가 아닌 타국에서 살아가는 이른바 난민, 이주민의 수는 전 세계적으로 약 1억 7천 5백만 명에 이른다고 2002년 UN보고는 밝힌 바 있다. 이는 전 세계 인구 45명 중의 한 명은 이주민, 난민인 셈으로 그 수치는 1975년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라고 한다.

  • PDF

훈자계곡의 부슈라, 탁실라에서 만난 샤니의 아내 한국이 반가운 파키스탄 - 외국인 노동자 가족들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 가정의 벗
    • /
    • v.37 no.8 s.432
    • /
    • pp.14-15
    • /
    • 2004
  • 파키스탄에서 한국이 반가운 사람들을 만났다. 바로 외국인 노동자의 가족들이었다. 두 시간 넘게 자갈길 부슈라에서 만난 소녀, 8년동안 한국에서 일했다는 샤니 부부, 한국의 시골에서 본 듯한 우리 여성들처럼 그들에게서 따뜻한 감정을 느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