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왜곡 형상 기준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inary Shape Coding Using Baseline-Based Method (베이스라인 기반 이진 형상 부호화의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Park, Jeong-Hun;Park, Sang-Ju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4
    • /
    • pp.403-410
    • /
    • 2001
  • 물체의 형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베이스라인기반 기법을 개선하였다. 베이스라인 기반 기법은 2차원인 물체의 형상 데이터를 전환점(turning point)과 기준선(Baseline)으로 부터의 거리값으로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즉, 가로나 세로의 한 방향의 거리 값과 다른 방향의 전환점을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베이스라인 기반 기법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허용 왜곡과 비트율을 판단하여 가로나 세로로 기준점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서 부호화해야하는 점들과 전환점들의 개수를 감소시켜서 압축률을 높이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기존의 부표본화에서 사용된 왜곡을 판단보다 더 세밀하게 판단하여 더 많은 종류의 부표본화를 가능케 함으로써 압축률을 높이는 방법이다.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베이스라인 기반 부호화와 MPEG-4에서 채택하고 있는 CAE(Context-based Arithmetic Encoding)와 비교해 보았을 때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Image Restoration Algorithms by using Fisher Information (피셔 인포메이션을 이용한 영상 복원 알고리즘)

  • 오춘석;이현민;신승중;유영기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6
    • /
    • pp.89-97
    • /
    • 2004
  • An object to reflect or emit light is captured by imaging system as distorted image due to various distortion. It is called image restoration that estimates original object by removing distortion. There are two categories in image restoration method. One is a deterministic method and the other is a stochastic method. In this paper, image restoration using Minimum Fisher Information(MFI), derived from B. Roy Frieden is proposed. In MFI restoration, experimental results to be made according to noise control parameter were investigated. And cross entropy(Kullback-Leibler entropy) was used as a standard measure of restoration accuracy, It is confirmed that restoration results using MFI have various roughness according to noise control parameter.

흡입구를 포함한 액체 램제트 엔진의 3차원 유동 해석

  • 임상규;오대환;손창현;이충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0a
    • /
    • pp.14-14
    • /
    • 1999
  • 액체 램제트 엔진의 특성은 흡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유입공기의 상태에 따라 많이 달라진다. 흡입구에 들어오는 공기의 유입각이 일정각도를 넘어서면 유입공기의 왜곡이 심하여 정상적인 연소가 불가능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비행조건에 따른 램제트 엔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외부 유입영역, 흡입구, 연소기, 노즐 및 출구 대기 영역을 함께 계산하여 유동 특성과 연소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흡입구는 마하 2.0을 기준으로 설계하고, 4각 덕트에서 완만하게 원형 덕트로 변화되는 확대관의 형상으로 비행체에 붙어 있는 것으로 격자를 구성하였다. 흡입구에서의 유동 조건은 비행체을 지난 유속이 마하 2.0과 2.2의 경우에 대하여 수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비반응 유동 해석과 연소가 있는 반응 유동해석 결과를 흡입구를 포함하지 않았던 선행 연구 결과들과 비교하였다. 유입각이 영 일 때의 흡입구를 포함한 계산 결과는 흡입구에서 생성되는 충격파에 의한 손실로 총압력이 흡입구를 포함하지 않았던 선행 연구 결과와 차이가 있었으나 유동 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입각이 증가함에 따라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량이 감소하고 그에 따른 유동의 왜곡이 심하여 연소특성에 변화를 보여 주었다.

  • PDF

The Precision Measurement of Stone′s Surface Roughness by Digital Close-Range Photogrammetry (수치근접사진측량에 의한 조경석의 표면 거칠기 정밀측정)

  • 이효성;안기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0.10a
    • /
    • pp.40-5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Rolleiflex 6006 측정용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과 DCS 420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화상을 이용, 수치근접사진측량을 실시한 후, 조경석의 표면 거칠기 측정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최소제곱법으로 기준평면 또는 기준곡면을 찾아 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조경석 표면의 연마 이전과 연마 이후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 비교하여 연마후의 거칠기 감소크기를 산출하고, 측정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거칠기가 거의 없는 평면인 돌과 곡면인 돌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한 결과, 그 거칠기를 기대정확도 이상인 각각 $\pm$0.lmm 및 $\pm$0.2mm의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측정용 카메라인 경우 렌즈왜곡 보정에 있어서 검정자료를 토대로 기준점을 사용하지 않는 직접보정방법인 Newton-Raphson법을 적용하여 기하학적 정확도가 향상된 수치사진화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DCS 420 디지털 카메라와 윈도우 운영체계인 Visual basic 6.0을 이용하여, 표면 거칠기 측정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연마이전 조경석과 연마이후 조경석에 대한 표면 거칠기 및 형상을 정밀 측정할 수 있는 수치근접사진측량기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Automatic Generation of Tetrahedral Meshes from General Sections (일반 단면으로부터 사면체 요소망의 자동생성)

  • Chae, Su-Won;Lee, Gyu-Min;Sin, Sang-Yeop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4 no.1 s.173
    • /
    • pp.196-205
    • /
    • 2000
  • Computed Tomography (CT), Nucle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1) and some ultrasound techniques make it possible to obtain cross sections of human body or mechanical parts. In CAD system, a series of sectional surfaces can also be obtained from solid models of 3D object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tetrahedral meshing algorithm from these series of general sections using basic operators. In this scheme. general sections of three-dimensional object are triangulated first and side surfaces between two sections are triangulated by the use of tiling process. Finally tetrahedral meshing process is performed on each layer of 3D objects, which is composed of two general sections and one side surface.

간섭계에 있어서의 계통 오차의 자율 교정 알고리즘

  • 후지모토이쿠마츠;이태용;편영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39-139
    • /
    • 2004
  • 나노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함께, 간섭계를 이용한 정밀 계측의 중요성이 더욱 더 높아지고 있다. 본 방법은, 간섭성을 가진 레이저의 파장을 계측의 척도로서 기준 평면으로 사용되는 참조면에 대한 상대 측정에 의해, 3차원 형상을 계측하는 것이다. 고로, 본 논문에서는 간섭계를 이용한 계측에서 고정밀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참조면의 교정이 중요하다는 기본적인 생각을 기초로, 참조면 오차(참조면의 이상적 평면으로부터의 차이)를 주로, 광학 부품에 의한 파면의 왜곡 등을 포함한 간섭계 시스템의 계통 오차를 결정하는 방법을 검토한다.(중략)

  • PDF

A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of the Inlet Shape for the S-Duct (S-Duct 입구 형상에 따른 유동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Jihyeong;Choi, Hyunmin;Ryu, Minhyoung;Cho, Jin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3 no.2
    • /
    • pp.109-117
    • /
    • 2015
  • Aircraft needs an inlet duct to supply the airflow to engine face. A fighter aircraft that requires low radar observability has to hide the engine face in the fuselage to reduce the Radar Cross Section(RCS). Therefore, the flow path of the inlet duct is changed into S-shape. The performance of the aircraft engine is known to be influenced by the shape and the centerline curvature of the S-Duct. In this study, CFD analysis of the RAE M 2129 S-Duct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spect ratio of inlet geometry. The performance of the S-Duct is evaluated in terms of the distortion coefficient. To simulate the flow under adverse pressure gradient better, $k-{\omega}SST$ turbulence model is employed. The computational results are validated with the ARA experimental data. The secondary flow and the flow separation are observed for all computational cases, while the semi-circular geometry has been found to produce the best results.

A Study on the Signal Correction for Multiple Defects in MFL Type Nondestructive Testing System (MFL 비파괴 검사 시스템에서 다중 결함에 의한 신호 왜곡과 신호 보정에 관한 연구)

  • Park, Jeng Hoon;Kim, Hui Min;Park, Gwan Soo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26 no.1
    • /
    • pp.24-30
    • /
    • 2016
  • MFL (Magnetic flux leakage) type nondestructive testing has been used for inspection of underground gas pipelines to find metal defects by detecting magnetic leakage signal. Because the underground gas pipeline is exposed by environment such as high pressure with great humidity, external defects are easily formed on the surface of pipelines and they are being grouped respectively. These adjacent defects cause the signal distortion of leakage flux so that it is hard to estimate the shape information of defects. In this paper, we performed to study of the signal distortion and compensating method for multiple defects in MFL type nondestructive testing system by using 3D FEM simulation. This paper proposes the basic algorithm of defect signal analysis on multiple defects on the surface of 30 inch diameter pipeline.

Null lens design for testing of elliptical surface (타원면경 측정 Null 렌즈 설계)

  • 김연수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1 no.4
    • /
    • pp.246-249
    • /
    • 2000
  • The null lens is designed for testing the elliptical (conic constant>O) mirror which is the third mirror of the off-axis Three Mirror Anastigmat (TMA) designed as a high resolution camera for remote sensing. The mixed type design is proposed as a new design type which has a small annular flat mirror, but has as twice sensitivity as the autostigmatic type design. It is also shown that the null lens of the Mixed type is better than that of the autostigmatic type in terms of the sensitivity of the wavefront distortion which is given as the magnitude of optical path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change of each surface parameters such as the radius of curvature, thickness of lenses and tested mirror.

  • PDF

Analysis of Drainage Structure Based on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Drainage Density and Source-Basin (배수밀도와 수원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배수구조에 대한 해석)

  • Kim, Joo-Cheol;Kim, Jae-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5
    • /
    • pp.373-382
    • /
    • 2007
  • The exact resolution of channel initiation points is not so easy because of the dynamic behaviors of water movement on the hillslope. To this end, Kim, Joocheol and Kim, Jaehan(2007) have represented the channel network in real world basins for slope-area regimes using DEM. This study is its sequential content and then proposes the reliabilities of the hypothetical channel networks identified from DEM, which are assessed based on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drainage density and source-basin. The resulting drainage structures on the natural basin can be found to be depicted remarkably depending on the hypothetical channel network applied by slop-area threshold criterion.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re is a wonderful geometric similarity between the shapes of source- basin in a geomorphologically homogeneous region. Area threshold criterion could have restricted the shape of source-basin, so that it might bring about the incorrect drainage structures. But the hypothetical channel networks identified from DEM deserves special emphasis on expressing the space-filling structures nonethel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