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왕고들빼기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3초

야생 및 재배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ild and Cultivated Lactuca indica)

  • 김자민;김주남;이경수;신승렬;윤경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26-532
    • /
    • 2012
  • 본 연구는 재배량이 증가하고 있는 왕고들빼기를 야생 왕고들빼기와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잎과 뿌리의 일반성분 및 환원당,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무기질, 클로로필 그리고 조사포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야생 왕고들빼기와 재배 왕고들빼기 잎과 뿌리 모두 탄수화물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조단백질과 탄수화물 함량에서 재배 왕고들빼기 뿌리가 야생 왕고들빼기 뿌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잎과 뿌리 모두에서 재배 왕고들빼기가 야생 왕고들빼기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 또한 재배 왕고들빼기 잎과 뿌리 모두 야생 왕고들빼기보다 높았다. 비타민 C 함량은 잎이 재배 왕고들빼기가 높았고 뿌리는 야생 왕고들빼기가 높았다. 무기질은 야생 및 재배 왕고들빼기 뿌리와 잎 모두 칼륨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재배 왕고들빼기 잎과 뿌리가 야생 왕고들빼기 잎과 뿌리보다 각각 6배, 3배 이상 높았다. 클로로필 함량은 재배 왕고들빼기 잎이 야생 왕고들빼기 잎보다 높았으며, 조사포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재배 왕고들빼기 뿌리가 야생 왕고들빼기 뿌리보다 2.5배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재배 왕고들빼기가 야생 왕고들빼기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산채류의 재배 활성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재배 왕고들빼기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향후 야생 및 재배 왕고들빼기의 기능성분 및 다양한 생리기능성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왕고들빼기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Lactuca$ $indica$)

  • 김주남;김자민;이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4-30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왕고들빼기의 비타민 C,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왕고들빼기 잎과 뿌리의 비타민 C 함량은 각각 24.14 mg/100 g, 0.38 mg/100 g으로 나타났다. 왕고들빼기 잎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2.08 mg/g, 23.09 mg/g로 나타났으며, 왕고들빼기 뿌리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66 mg/g, 0.77 mg/g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왕고들빼기 잎의 경우 추출물 농도가 300 ${\mu}g$/mL 일 때 약 78%로 높은 항산화 능력을 보였으며, 뿌리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추출물 농도가 5 mg/mL 일 경우 잎과 뿌리 각각 92.3%, 10.21%로 나타났다. Reducing power(환원력)를 측정한 결과 잎 추출물 농도가 1.6 mg/mL 일 때 1에 가까운 흡광도 값을 보였고, $Fe^{2+}$-chelating 효과는 추출물 농도가 14 mg/mL 일 때 잎과 뿌리 각각 97.17%, 34.26%의 활성을 나타냈다. 왕고들빼기의 항산화 활성의 $IC_{50}$을 측정한 결과 잎의 경우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Fe^{2+}$-chelating 효과의 $IC_{50}$은 각각 0.19 mg/mL, 2.7 mg/mL, 6.27 mg/mL로 나타났다. 왕고들빼기 뿌리의 경우 잎에 비해 그 값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왕고들빼기의 잎은 뿌리에 비해 비타민 C,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여 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 식품재료로써의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산 왕고들빼기속(Lactuca)의 핵형분석 (A karyotype analysis of Lactuca (Asteraceae) in Korea)

  • 양지영;최경;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4-2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왕고들빼기속 (Lactuca) 중에서 한국에 자생하는 왕고들빼기 (L. indica)와 두메고들빼기 (L. triangulata)의 체세포염색체수와 핵형을, 귀화종인 가시상치 (L. scariola)의 체세포염색체수와 핵형을 처음으로 조사하였다. 체세포염색체의 기본수는 x = 9이었고 염색체 배수화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염색체 조성을 조사한 결과 왕고들빼기는 2n = 18 = 2 m + 7 sm, 가시상치는 2n = 18 = 1 m+ 6 sm + 2 st, 두메고들빼기는 2n = 18 = 2m + 5 sm + 2st로 나타났고, 왕고들빼기와 두메고들빼기의 경우 염색체의 단완 말단에 부수체가 존재하였다. 왕고들빼기, 가시상치, 두메고들빼기의 반수체 게놈의 길이는 각각 $56.3{\mu}m$, $35.3{\mu}m$, $72.5{\mu}m$로 나타났고, 각 염색체의 크기는 귀화종인 가시상치가 $2.7-5.3{\mu}m$로 가장 작았으며 왕고들빼기와 두메고들빼기는 각각 $4.7-7.5{\mu}m$, $5.0-8.0{\mu}m$로 비슷하였다. 가시상치의 핵형은 sect. Tuberosae에 속하는 왕고들빼기, 두메고들빼기와 차이를 보인 반면, sect. Lactuca, subsect. Lactuca에 속하는 분류군의 핵형과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화과(菊花科) 잡초(雜草)의 발아특성(發芽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in the Several Weeds of Compositae)

  • 이병무;강병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65-272
    • /
    • 1988
  • 본(本) 시험(試驗)에서는 광(光)과 온도(溫度)에 따른 발아특성(發芽特性)과 심도(深度)에 따른 발아양상(發芽樣相) 및 ${\alpha}$-amylase activity에 대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고들빼기, 왕고들빼기, 흰씀바귀, 벌씀바귀를 공시식물(供試植物)로 하여 실시(實施)한 시험(試驗)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고들빼기, 왕고들빼기, 흰씀바귀, 벌씀바귀는 모두 광조건하(光條件下)에서 발아(發芽)가 양호(良好)하였다. 2. 고들빼기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25^{\circ}C$였으며, 최적출아심도(最適出芽深度)는 0mm였다. 또한 0~5mm의 심도(深度)에서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했다. 3. 왕고들빼기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냉온보관(冷溫保管)된 종자(種子)에서는 $19^{\circ}C{\sim}28^{\circ}C$였으며, 실온보관(室溫保管)된 종자(種子)에서는 $25^{\circ}C$였다. 그리고 냉온(冷溫) 및 실온보관(室溫保管)된 종자(種子)의 최적출아심도(最適出芽深度)는 5mm였다. 또한 냉온보관(冷溫保管)된 종자(種子)는 0~20mm에서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했으며, 실온보관(室溫保管)된 종자(種子)는 0~10mm에서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했다. 4. 흰씀바귀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22^{\circ}C$였으며, 최적출아심도(最適出芽深度)는 0mm였다. 또한 0~5mm의 심도(深度)에서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했다. 5. 벌씀바귀의 출아적온(出芽適溫)은 $16^{\circ}C{\sim}19^{\circ}C$였으며, 최적출아심도(最適出芽深度)는 0mm였다. 또한 0~5mm의 심도(深度)에서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했다. 6. 고들빼기, 왕고들빼기, 흰씀바귀는 모두 대조구(對照區)인 동보리 1호보다 ${\alpha}$-amylase activity가 현저히 낮았으며, ${\alpha}$-amylase activity의 증가(增加)는 발아후(發芽後) 증가(增加)와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한국 미기록종 Caliothrips tongi (총채벌레목: 총채벌레과)에 대한 보고 (New record of Caliothrips tongi (Thysanoptera: Thripidae) in Korea)

  • 이관석;이원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49-454
    • /
    • 2015
  • 그물총채벌레아과의 중국 남부에서만 알려졌던 고들빼기총채벌레(신칭, Caliothrips tongi Mound et al.)를 한국에서 처음 보고한다. 이 종은 우리나라 전국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아시아 원산인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국화과)가 주요 기주이고 잎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

초저염 인공사료 및 초성력 누에사육기술의 개발

  • 설광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67-70
    • /
    • 1992
  • 누에는 식식성 곤충중에서도 단식성 또는 협식성의 곤충으로 널리 알려져 오랜 세월동안 뽕잎만을 먹고살아 왔다. 이 누에를 뽕 이외의 식물로 사육해 보려는 시도는 꽤 오래 전부터 실시되어 누에가 먹고 어느 정도 성장할 수 있는 식물로는 구지뽕나무, 닥나무, 민들레, 왕고들빼기, 씀바귀 등 10여 종류가 넘게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사육성적이나 얻어진 고치는 뽕을 먹여 사육한 성적과는 비교도 안 되는 현저히 뒤떨어지는 것이었고 실용적인 의미에서 뽕을 능가하는 식물은 찾아볼 수 없다.(중략)

  • PDF

염소수와 플라즈마 가스 처리가 왕고들빼기 어린잎채소의 MA저장 중 품질과 미생물 제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lorine Water and Plasma Gas Treatments on the Quality and Microbial Control of Latuca indica L. Baby Leaf Vegetable during MA Storage)

  • 김주영;한수정;왕립;이주환;최인이;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7-203
    • /
    • 2019
  • 본 연구는 왕고들빼기 어린잎의 염소수 및 플라즈마 처리가 저장 중 품질 및 미생물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초장이 10cm 수준에서 수확한 왕고들빼기 어린잎을 100ppm의 염소수와 플라즈마 가스로 1, 3, 6시간동안 살균 처리한 후 산소투과도가 $1,300cc{\cdot}m^{-2}{\cdot}day^{-1}{\cdot}atm^{-1}$인 OTR(oxygen transmission rate) 필름을 사용하여 포장하였고, $8{\pm}1^{\circ}C$의 저장 온도와 상대 습도 $85{\pm}5%$의 조건에서 25일간 저장하였다. 저장 중 생체중 감소율은 모든 처리구가 1.0% 미만을 보였고, 저장 종료일 모든 처리구의 포장 내 산소 농도는 16-17%을 보였고, 포장 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6-8%의 수준을 보였다. 포장 내 에틸렌 농도는 저장 기간 중 $1-3{\mu}L{\cdot}L^{-1}$의 수준으로 증감을 반복하였는데, 저장 10일째부터 저장 종료일까지 플라즈마 6시간 처리구가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모든 처리구의 이취는 거의 느껴지지 않는 수준이었고, 염소수 및 플라즈마 가스 1시간 처리가 저장 종료일까지 상품성을 유지하였다. 저장 종료일에 조사한 엽록소 함량과 Hue angle 값은 염소수와 플라즈마 1시간 처리가 저장 전과 유사한 수준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살균 처리 직후 모든 살균 처리구에서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고, 총 세균 및 총 곰팡이 수는 플라즈마 6시간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살균 처리구에서 국내 미생물 허용 기준을 충족하였다. 저장 종료일 조사한 총 미생물수는 저장 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대장균은 모든 살균 처리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세균과 곰팡이에 대한 살균효과는 염소수 처리가 가장 우수하였고, 플라즈마 처리구는 살균효과는 나타났으나 처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효과는 미비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왕고들빼기 어린잎은 염소수 처리 및 단시간 플라즈마 처리 시 황화 및 부패 억제를 통한 상품성 유지 및 미생물 제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경재배에서 광도와 양액 농도가 베이비 산채 왕고들빼기 '선향' 광합성과 생육 및 기능성 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Level on Photosynthesis, Growth and Functional Material Contents of Lactuca indica L. 'Sunhyang' in Hydroponics)

  • 김재경;장동철;강호민;남기정;이문행;나종국;최기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
    • /
    • 2021
  • 본 실험은 수경재배에서의 왕고들빼기 '선향'의 광도와 양액 농도가 광합성과 생육, 기능성 물질함량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했다. 재배 환경은 온도 25±1℃, 상대습도 60±5%가 조절되는 생장 시스템에서 담액 수경 방식으로 재배하였다. 파종 14일 후, 광도 3수준(PPFD 100, 250, 500µmol·m-2·s-1)과 양액 농도 3수준(EC 0.8, 1.4, 2.0dS·m-1)를 조합하여 어린잎 채소 크기에 도달하였을 때 수확하여 분석하였다. 왕고들빼기 선향의 광합성율, 기공전도도, 증산율, 수분이용효율은 광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광합성율과 수분이용효울은 PPFD 500-EC 1.4, PPFD 500-EC 2.0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엽록소 함량은 광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며 엽록소 a/b 비율은 광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잎수분함유량(LWC)와 비엽면적(SLA)는 광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여 부상관(p < 0.001)을 가졌다. 초장은 PPFD 100-EC0.8에서 가장 길었고, 엽수, 생체중, 건물중은 PPFD 500-EC2.0에서 가장 높았다. 기능성 물질인 안토시아닌과 총 페놀화합물은 PPFD 500-EC 1.4, 2.0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항산화 소거 능력(DPPH)은 PPFD 250, 500에서 높았다. 생육과 기능성물질 함량 증진을 고려했을 때 왕고들빼기 수경재배 시 적정 광도와 EC는 PPFD 500-EC 2.0dS·m-1이며, 저광 조건인 PPFD 100, 250에서는 EC 0.8dS·m-1재배가 적합하였다.

뚝새풀을 이용(利用)한 사과원 초생재배(草生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Sod Culture Using Water Foxtail (Alopecurus aegualis var. amurensis) in Apple Orchard)

  • 정재식;이재석;최충돈;정종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8-135
    • /
    • 1998
  • 뚝새풀의 초생재배(草生栽培)에 의한 사과원 잡초(雜草) 방제(防除)의 실용화(實用化)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고자 뚝새풀 발생(發生) 생태(生態)에 관한 몇 가지 시험(試驗)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뚝새풀 종자(種子)의 파종(播種) 시기별(時期別)출아(出芽) 소요일수(所要日數)는 9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이 일(日)로 가장 짧았고, 11월(月) 25일(日) 파종(播種)에서 111일(日)이 소요(所要)되어 가장 길었으며, 출아(出芽) 소요(所要) 적산온도(積算溫度)는 3월(月) 15일(日) 파종(播種)이 $139^{\circ}C$로 가장 적었고, 8월(月) 10일(日) 파종(播種)에서는 $988^{\circ}C$로 가장 많이 소요(所要)되었다. 2 사과원에서의 뚝새풀 생육양상(生育樣相)은 3월(月)부터 8월(月) 사이에 S자형(字型)의 생장곡선(生長曲線)을 나타내었고, 초장(長草)과 건물중(乾物重)이 3월(月) 중순(中旬)에서 4월(月) 중순(中旬)사이에 가장 많이 증가(增加)하였으며 5월(月) 중순(中旬) 이후(以後)로는 증가율(增加率)이 거의 정체(停滯)되었다. 3. 뚝새풀을 초생재배(草生栽培)한 사과원에서 뚝새풀을 제외(除外)한 초종(草種)으로는 발생량(發生量)이 망초>왕고들빼기>냉이>꽃다지 순(順)이었고, 뚝새풀의 발생(發生)이 거의 없는 포장(圃場)에서는 냉이가 가장 많이 발생(發生)하였고 왕고들빼기>망초>꽃다지 순(順)으로 발생(發生)되었다. 4. 뚝새풀의 생육(生育) 재생기(再生期)인 3월(月) 중순(中旬)에 뚝새풀의 우점도(優點度)가 90%정도(程度)가 되면 생육(生育) 후기(後期)까지 문제(問題) 잡초(草種)인 망초 왕고들빼기 냉이 등(等)을 효과적(效果的)으로 방제(防除)할 수 있었으나 생육(生育) 재생기(再生期)에 우점도(優點度)가 20%미만(未滿)이면 뚝새풀의 생육(生育) 성기(盛期)인 5월(月) 까지는 다른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경감(輕減)되었으나 이후(以後)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사과원에서의 뚝새풀 초생재배(草生栽培)는 다른 잡초(雜草)들의 발생(發生)을 억제(抑制)시켜 잡초방제(雜草防除)의 성력화(省力化)와 하절기(夏節期)의 과다(過多)한 지온상승(地溫上昇)을 방지(防止)하여 과수(果樹)의 생육(生育)을 양호(良好)하게 할 것으로 기대(期待)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