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완충재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Different Plasticizers on Some Properties of Biodegradable Starch-based Foams

  • Cha, Jea-Yoo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8권2호
    • /
    • pp.143-150
    • /
    • 2003
  • 전분 완충재의 물리적,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존의 플라스틱 완충재와 비교하면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되어진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전분 완충재의 물리적 기계적 특성에 대한 유연제(plasticizers)와 첨가제(additives)의 영향을 규명하였다. 전분과 합성수지 그리고 여러 유연제 또는 첨가제를 혼합한 뒤 Brabender사의 일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여러 축속도(60~120 rpm)에서 압출 가공한 후 물리적,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분 완충재의 밀도(bulk density)와 압축성(bulk compressibility)은 혼합물에서 물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복원성(bulk resiliency)은 조금 감소하였다. 측정되어진 전분 완충재의 특성은 변형전분(hydroxypropylated starch)의 사용으로 향상되었다. 또한, glycerol, glycerol monostearate 그리고 alkylglucosides의 첨가도 전분 완충재의 밀도와 압축성을 증가시켰다. 염화철(II) 0.5%을 포함한 전분 완충재는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은 전분 완충재에 비하여 밀도 42%와 압축성 58%가 각각 감소한 반면, 복원성은 13%포인트 증가하였다. 변형전분과 염화철(II)이 첨가된 전분 완충재는 기존의 플라스틱 완충재에 비하여 밀도와 압축성은 떨어지지만, 대체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근 완충재 개발동향

  • 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6호
    • /
    • pp.46-51
    • /
    • 1993
  • 최근 대표적인 완충재로 사용되어 오던 EPS(발포폴리스티렌)의 사용이 규제됨에 따라 환경적응형 완충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완충재는 수송시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 제품을 최대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완충재로는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am), 폴리프로필렌 폼(polypropylene foam), 폴리우레탄 폼(polyuretane)등이 있고 종이를 소재로 한 형태도 있다. 이 글에서는

  • PDF

고준위폐기물처분장의 완충재 개념 도출: 접근방안 (Establishing the Concept of Buffer for a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An Approach)

  • 이재완;이민수;최희주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83-293
    • /
    • 2015
  • 고준위폐기물처분장에서 완충재는 공학적방벽의 주요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 내외의 완충재 요구사항과 성능기준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고준위폐기물처분장에 적합한 완충재 개념 도출을 위한 접근방안을 제시하였다. 완충재의 주요 성능기준 인자항목으로, 수리전도도, 핵종 저지능, 팽윤압, 열전도도, 역학적 특성치(mechanical properties), 유기물함량(organic carbon content), 일라이트화 속도(illitization rate) 등을 고려하였다. 우리나라 고준위폐기물처분장 완충재 물질로서 국산 벤토나이트(Ca-벤토나이트)와 대안재로 MX-80 벤토나이트(Na-벤토나이트)를 제안하였다. 완충재의 기술사양은 Ca-벤토나이트 경우엔 우리나라의 성능기준을, Na-벤토나이트의 경우는 스웨덴의 성능기준을 보수적으로 만족하는 값으로 설정하였다. 완충재의 두께는 전단거동, 핵종 유출, 열전도의 측면에서 평가하여 결정하였으며, 평가결과 완충재의 두께는 0.25 ~ 0.5 m 사이가 적절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인 완충재의 두께는 향후 보다 심도 있는 열-수리-역학적 평가와 경제적, 공학적 측면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완충재 설계시 고려사항 및 고기능 완충재 연구 현황 (Design Considerations for Buffer Materials and Research Status of Enhanced Buffer Materials)

  • 이기준;윤석;김태현;김진섭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2권1호
    • /
    • pp.59-77
    • /
    • 2022
  • 현재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한 완충재의 설계 기준 온도는 100 ℃ 미만이기에 완충재의 열 분산 능력이 개선된다면 처분장의 처분 터널과 처분 공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완충재의 열-수리-역학 성능 기준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완충재의 열전도도를 개선할 수 있는 고기능 완충재의 연구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열전도도는 가능한 높아야 하며 완충재의 열전도도 값은 건조밀도, 함수비, 온도, 광물조성, 벤토나이트 유형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완충재에 함유된 유기물은 처분용기의 부식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완충재의 유기물 함량은 매우 낮아야 한다. 수리전도도는 근계암반보다 더 낮게 설정해야 하며, 완충재가 제 기능을 하기 위해 팽윤성이 적정해야 한다. 고기능 완충재 개발을 위해 대표적으로 모래, 흑연, 산화 흑연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며 흑연의 경우 모래보다 아주 적은 첨가량으로 열전도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열수거동 및 장기건전성 연구 (Hydrothermal Behaviors and Long-term Stability of Bentonitic Buffer Material)

  • 이재완;조원진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45-154
    • /
    • 2007
  •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열수거동 실험에서는 고준위폐기물처분장 완충재로 유력하게 고려되고 있는 국산 벤토나이트를 대상으로 열수특성을 규명하고, 또 그 결과를 바탕으로 KRS 처분환경에서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장기건전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열수반응은 주 구성광물인 스멕타이트의 일라이트화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온도, $K^+$농도, pH는 이러한 일라이트화에 중요한 열수반응인자 역할을 하였다. KRS 처분환경에 대한 국산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장기건전성을 분석한 결과, 정상상태에서는 벤토나이트 완충재가 오랜 기간 동안 방벽재기능을 유지하였지만, 보수적인 조건에서는 약 $5{\times}10^4$년이 경과했을 때 벤토나이트 완충재를 구성하는 스멕타이트의 50%이상이 일라이트로 전환되어 방벽재로서의 팽윤능력을 상실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 PDF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열팽창계수 추정 (A Prediction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for Compacted Bentonite Buffer Materials)

  • 윤석;김건영;백민훈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39-346
    • /
    • 2018
  • 고준위폐기물을 처분하기 위한 심층처분시스템의 구성 요소로는 처분용기, 완충재, 뒷채움 및 근계 암반이 있다. 이 중 완충재는 심층 처분시스템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처분용기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량은 완충재로 전파되기에 완충재의 열적 특성은 처분시스템의 안정성 평가에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고온의 열량은 완충재의 열적 팽창을 야기하여 근계 암반에 열응력을 야기할 수 있기에 완충재의 열팽창 특성 규명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경주산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KJ-II)에 대한 열팽창 거동 특성을 실내 실험을 통해 분석하고 선형 열팽창계수에 대한 추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선형 열팽창계수는 딜라토미터 장비를 이용하여 승온속도, 건조밀도, 온도 범위에 따라 측정되었으며 선형 열팽창계수 값은 대략 $4.0{\sim}6.0{\times}10^{-6}/^{\circ}C$ 로 측정되었다. 또한 실험 데이터를 토대로 비선형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밀도에 따른 경주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선형 열팽창계수를 추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열물성이 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rmal Properties of Bentonite Buffer on Temperature Variation)

  • 김민준;이승래;윤석;전준서;김민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17-24
    • /
    • 2018
  • 심층 처분시설에서 완충재는 지하수의 유입을 최소화하며, 역학적인 충격을 흡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용후 핵연료로부터 발생하는 붕괴열은 완충재의 온도를 변화시켜 역학적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완충재 온도변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이러한 온도 변화는 완충재의 열물성인 열전도도, 밀도, 비열에 영향을 받으며, 이에 대한 영향이 심층 처분시설의 열 해석에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이들 열물성은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밀도와 함수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영향이 해석에 포함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완충재의 밀도와 함수비 변화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유한요소법 기반의 열 해석 수치모델을 설정하였다. 또한 수치모델을 바탕으로 매개 변수 연구를 수행하여 각각의 열물성이 완충재의 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온도에 따른 열전도도 평가 (Thermal Conductivity Evaluation of Compacted Bentonite Buffers Considering Temperature Variations)

  • 윤석;박승훈;김민섭;김건영;이승래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3-49
    • /
    • 2020
  • 고준위폐기물을 심지층에 처분하기 위한 공학적방벽의 구성 요소로는 처분용기, 완충재, 뒷채움재 등이 있다. 이 중 완충재는 처분용기와 근계암반 사이의 빈 공간에 설치되는 물질로써, 주변 지하수로부터 처분용기를 보호하며 방사성 핵종의 유출을 저지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또한 처분용기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량은 완충재로 직접 전파되기에 완충재의 열전도도는 처분시스템의 안전성 평가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경주산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열전도도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실제 처분용기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특성을 반영하여 상온에서 80~90℃까지의 범위에서 압축 벤토나이트의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온도증가에 따라 압축 벤토나이트의 열전도도는 5~20% 가량 증가하였으며 초기 포화도가 클수록 열전도도 증가는 더 크게 나타났다.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비열 추정 (A Prediction of Specific Heat Capacity for Compacted Bentonite Buffer)

  • 윤석;김건영;백민훈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9-206
    • /
    • 2017
  • 고준위폐기물을 처분하기 위한 심층 처분시설은 지하 500~1,000 m 깊이의 암반층에 설치된다. 심층 처분시스템의 구성 요소로는 처분용기, 완충재, 뒷채움 및 근계 암반이 있다. 이 중 완충재는 심층 처분시스템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인데, 완충재는 지하수 유입으로부터 처분용기를 보호하고, 방사성 핵종 유출을 저지한다. 처분용기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량은 완충재로 전파되기에 완충재의 열물성은 처분시스템의 안정성 평가에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완충재의 열전도도 규명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는 반면, 비열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경주산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KJ-II)에 대한 비열 추정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비열은 이중 탐침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포화도와 건조밀도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총 33개의 실험 데이터를 토대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경주 압축 벤토나이트의 비열을 추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벤토나이트 완충재 장기 침식을 모사하기 위한 Two-region 모델 소개 (Introduction of Two-region Model for Simulating Long-Term Erosion of Bentonite Buffer)

  • 이재원;김정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3권4호
    • /
    • pp.228-243
    • /
    • 2023
  • 벤토나이트는 팽윤 능력과 낮은 투수율 등의 유리한 특성으로 인해 고준위방폐물처분장에서 완충재로 널리 인정받고 활용되고 있으며, 낮은 투수율로 인해 방사성 핵종이 주변 암반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한 처분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장기적인 성능은 여전히 지속적인 연구의 대상으로 남아 있으며, 주요 우려 사항 중 하나는 벤토나이트의 팽윤과 지하수 흐름에 의한 완충재의 침식이다.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침식은 완충재의 무결성을 손상시키고 지하수를 통한 방사성 핵종의 이동을 촉진할 수 있는 콜로이드 형성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방사성 핵종 이동 위험을 높임으로써 처분장 안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침식 메커니즘과 침식 정도를 수치 해석적으로 정량화하여 장기적인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성능 및 콜로이드 형성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고준위방폐물처분장의 안전성 평가에 매우 중요하다. 본 기술 보고에서는 동적 벤토나이트 확산 모델을 기반으로 거동이 유사한 영역을 두 개로 분류하여 벤토나이트의 균열 침투 및 콜로이드 형성을 모사할 수 있도록 제안된 모델인 Two-region 모델을 소개하였으며, 이 모델을 이용해 벤토나이트 완충재 침식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