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완벽주의성향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8초

완벽주의 성격과 다문화태도와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Multicultural Attitude)

  • 이현미;하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875-5887
    • /
    • 2015
  • 본 연구는 완벽주의의 하위차원인 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다문화태도와의 관련성을 전제로 하여 완벽주의와 다문화태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 있어서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준의 조절효과를 발견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258명을 그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완벽주의의 하위변인과 다문화태도의 하위변인 간에 부분적으로 관련성을 나타내었으며, 완벽주의 하위변인들 각각의 영향력이 통제된 상황에서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타인지향 완벽주의는 다문화 태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다문화태도의 하위변인인 차이인식간의 관계는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준에 따라 유의하게 달라졌다. 아울러,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다문화태도의 하위변인인 차이인식, 개방과 수용 간의 관계 또한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준에 따라서 유의하게 달라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문화사회에서 중요성이 더해가는 다문화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완벽주의 성격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해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조절변인으로 고려함으로써 완벽주의와 다문화태도 간 관계에 대해 이해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실제 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을 접할 때,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준을 높히는 개입이 도움이 되지 않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R&D 연구원의 완벽주의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R&D Researchers' Perfectionism on Burnout: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Self-Efficacy)

  • 서정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2호
    • /
    • pp.261-278
    • /
    • 2012
  • 본 연구는 기업 R&D 연구원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연구원에서 R&D 연구원 29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은 소진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에서 부과된 완벽주의는 소진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또한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에서 부과된 완벽주의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고 소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과 자기지향 완벽성이 소진을 감소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완벽성에 대한 기대가 타인에 의해서가 아닌 나를 위한 목표임을 인식시키기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여대생의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폭식증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Binge Eating)

  • 이유리;김남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33-241
    • /
    • 2015
  • 본 연구는 여대생의 폭식증 수준을 알아보고,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폭식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그리고 이 변인간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가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주 전남지역 여대생 325명을 대상으로 자기지향 완벽주의 척도, 취업스트레스 척도, 폭식증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폭식증 수준은 중간 점수에 근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여대생의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폭식증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여대생의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폭식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취업스트레스는 부분 매개효과(partial mediation)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폭식증 고위험군 선별 방안, 완벽주의적 성향 감소를 위한 대처방안, 취업스트레스 개입을 통한 폭식증 중재방안 등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융복합을 활용한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 대처가 만성적 피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tress Coping on Chronic Fatigue of Adolescent Athletes through Convergence)

  • 장홍영;김상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371-379
    • /
    • 2018
  • 이 연구는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대처가 만성적 피로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청소년 운동선수들 총 254명을 대상으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대처가 만성적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적응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대처의 소극적 대처 요인인 정서 완화적 대처 수준과 소망적 사고 추구 수준, 그리고 만성적 피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대처 및 만성적 피로 하위요인들 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성적 피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실수에 대한 염려요인이었고 다음으로 수행에 대한 의심과 소망적 사고 추구 및 정서 완화적 대처의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만성적 피로의 대처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대처에 대해 다루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엘리트 골프선수들의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미치는 요인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s and Dispositions of Doping in Elite Golf Players)

  • 김태규;차정훈;차광석;김기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527-536
    • /
    • 2016
  • 본 연구는 골프 종목의 엘리트 선수들을 대상으로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136명 (남 75명, 여 61명)의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면담 및 설문을 통해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과 완벽주의성향, 지각된 동기 분위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성 골프선수들은 코치의 차별대우가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경쟁의식은 부적인 영향을 주고, 여성 골프선수들은 코치의 비난이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 및 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핑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골프 종목의 엘리트 선수들에게 효율적인 반도핑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로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개인특성에 따른 인스타그램 사용의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효능감, 자아해석을 중심으로 (#Looksperfectgram: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elf-Construal,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Use Instagram)

  • 안가영;한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317-329
    • /
    • 2019
  • 요즘 들어, 사진이나 이미지 중심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인 인스타그램은 학계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이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사회적, 심리적 요인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25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과 그 하위 요소를 찾아내고, 또한 이들과 인스타그램 사용의도 변수와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그리고 자기 효능감과 자아 해석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380명의 참가자를 예측된 가설과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모집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다섯 가지 하위 요소인 타인의식적 자기제시, 주관적 자기제시, 환경적응적 자기제시, 자아 확장적 자기제시, 사회적 자기제시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다섯 가지 요소를 지닌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자기 효능감과 자아 해석의 조절효과를 통하여 인스타그램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가 논의되었다.

음악영재의 완벽주의 및 스트레스가 합리적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fectionism and Stress of Musically Gifted on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 이미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221-241
    • /
    • 2012
  • 본 연구는 음악영재의 학년수준에 따른 완벽주의, 스트레스, 그리고 진로결정 유형을 조사하고자, 예술 중학교에 재학 중인 음악영재를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Hewitt & Flett, 1991), 청소년 스트레스 척도(이정순, 1988), 그리고 진로결정 척도(Harren, 1984)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영재의 학년수준에 따라 완벽주의 하위 요인에서- 자기지향, 타인지향, 그리고 사회적으로 부과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음악영재의 완벽주의 성향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역시 학년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음악영재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아발전,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 학교생활에서 스트레스를 점차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 중학교에 재학 중인 음악영재의 진로결정 유형에 미치는 학년수준의 효과는 합리적 진로결정 유형과 과도적 진로결정 유형에서만 나타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합리적 진로결정 유형은 증가하나 과도적 진로결정 유형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음악영재의 합리적 진로결정 유형에 미치는 완벽주의와 스트레스의 영향을 조사하였을 때,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자기발전 스트레스 요인만 합리적 진로결정 유형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의 특징과 반응을 근거로 연구 결과를 논의하고 향후 상담 및 진로지도를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과 방향을 제안하였다.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mpus Life Stress, Stress Coping Type, Self-esteem, and Maladjustment Perfectionism on Suicide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 박선욱;김미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3-7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대학생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대학생의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부산경남지역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생각은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대학생활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대학생활만족도가 낮은 그룹에서 자살생각이 강했다. 둘째, 제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살생각은 자아존중감, 대학생활 만족도,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법인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순으로 뚜렷한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고 반면에, 부적응적 완벽주의, 대학생활 스트레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인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순으로는 뚜렷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자살생각이 낮아지고,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연구 대상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회귀 분석의 결과, 부적응적 완벽주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남학생,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역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존중감의 영향이 가장 컸다. 즉,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여학생보다 남학생에서,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대학생의 자살생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대학생의 자살예방을 위해서는 대인관계 기술 향상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개선,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의 완화, 그리고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의 모색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