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와건물지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35초

가을철 갈대의 수확관리에 따른 이듬 해 조사료 생산성 비교 (Forage Productivity of Phragmites communis according to Harvest Management in Autumn)

  • 서성;박진길;김원호;김맹중;박형수;최기춘;성하균;이종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5-284
    • /
    • 2012
  • 본 연구는 부존 조사료자원인 갈대(Phragmites communis)의 가을철 수확관리가 이듬 해 생육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시험 1은 경기 안산 시화간척지 갈대 자생지에서 2010년 10월 28일 수확 시 예취높이를 3 cm, 15 cm, 25 cm, 무예취구 등 4처리를 두고 2011년 10월 7일에 수확하였으며, 시험 2는 천안 국립축산과학원 갈대 재배지에서 2010년 10월13일 예취높이를 10 cm, 20 cm, 무예취구 등 3처리를 두고 2011년 7월 7일에 1차, 10월 7일에 2차 수확을 실시하였다(시험 1). 이듬 해 수확한 갈대의 건물수량은 무예취구에서 ha당 3,092 kg으로 예취구에 비해 많은 경향이었으나, 가소화 건물수량은 무예취구에서 1,236 kg으로 15 cm 예취구(1,234 kg)와 25 cm구(1,241 kg)와 같은 수준이었고, 3 cm구의 수량은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 무예취구의 건물 소화율과 RFV는 각각 39.98%와 65.3으로 예취구의 건물소화율 42.36~46.40%, RFV 67.8~72.5에 비해 낮았으며 조사료(건초) 등급은 5등급(불량)이었다. 건물률은 무예취구가 50.67%로 예취구(45.31~47.60%)에 비해 높았다(시험 2). 이듬해 1차 건물수량은 무예취구에서 ha당 10,441 kg으로 예취구에 비해 많은 경향이었으나 가소화 건물수량은 예취높이 20 cm구에서 3,885 kg으로 무예취구(3,693 kg)와 유의적 차이 없이 많았으며, 10 cm구의 수량은 가장 적은 경향이었다. 사료가치는 예취구에서 양호하여 20 cm 구에서 건물 소화율과 RFV는 각각 43.23%와 64.1로 높았다(p<0.05). 조사료(건초) 등급은 예취구는 5등급(불량), 무예취구는 6등급(부적합)이었다. 재생 갈대의 수량과 사료가치는 처리 간 차이 없이 조사료(건초) 등급은 4등급(다소 불량)이었다. 연간 건물수량과 조단백질 수량은 무예취구에서 많았으나, 가소화 건물수량은 20 cm구에서 ha당 5,354 kg로 무예취구(5,178 kg)와 차이가 없었으며, 10 cm구(4,531 kg)는 가장 적었다. 1차 건물수량은 연간 수량의 75%, 조단백질 수량은 72%, 가소화 건물수량은 69%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재생 수량의 비율은 낮았다. 결론적으로, 수확기에 있는 갈대는 가을철이라도 한 번 수확해 주는 것이 사료화 이용과 함께 이듬 해 생육에 유리하였으며, 수확 시 예취높이는 15~20 cm가 권장되었고, 장기적으로 갈대 자원의 안정된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 1회 수확이 바람직하였다.

국내 부착식 텐던 격납건물(CANDU형)의 구조거동 분석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alysis Tool for Structural Behavior of Domestic Containment Building with Grouted Tendon (CANDU-type))

  • 이상근;송영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A호
    • /
    • pp.901-908
    • /
    • 2006
  • 안전성 관련 구조물인 원자력 격납건물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콘크리트와 텐던의 물리적 성질 변화로 구조거동의 미세한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주기적 점검을 통한 구조건전성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부착식 텐던 격납건물인 CANDU형의 월성 원전을 대상으로 미세 구조거동 분석이 가능한 'SAPONC-CANDU'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온도와 시간종속성 영향인자들 즉, 크리프, 건조수축, 텐던의 인장력 하에서 격납건물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어 있는 진동식 와이어 변형률 게이지의 변형률 변화량에 대한 예측값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에 기초한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해서 변형률 게이지의 계측값이 입력데이타로 사용되고 최종적으로 각각의 변형률 게이지에 대해서 변형률 변화량의 예측값, 예측선, 예측폭이 그래프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국내 원자력발전소 CANDU형 격납건물의 구조건전성을 평가하는 현장 관리자가 이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영역분할에 의한 SLI와 벡터 지도 간의 건물영역 일치도 향상 (Improvement of Building Region Correspondence between SLI and Vector Map Based on Region Splitting)

  • 이정호;가칠오;김용일;유기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05-412
    • /
    • 2012
  • SLI(Street-Level Imagery)와 벡터지도의 합성을 통해 두 데이터 간의 위치 편차를 제거한 후, SLI의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두 데이터의 대응되는 건물영역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합성 이후에도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건물영역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본 연구는 영상의 영역분할을 통해 두 데이터 간의 건물영역 일치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합성을 통해 생성한 벡터 지도의 건물 객체를 SLI 영상에 투영한 선을 영역분할의 초기 정보로 사용한다. 우선, 필터링, 분할(segmentation), 하늘영역 탐지를 통해 하늘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에지 검출자를 통해 건물 분리 후보선을 추출한 후, 색상 차이와 하늘정보를 함께 활용하여 건물 최적분리선을 추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건물영역으로 분할한다. 실제 데이터에 대한 실험 결과, 영역 분할을 통해 건물영역 일치 정확도가 83.3%에서 89.7%로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SLI 서비스를 강화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웅진천도후(熊津遷都後) 백제(百濟) 와건물(瓦建物) 적심토(積心土)의 편년(編年)과 축조기법(築造技法)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for Chronicle and Construction Technique of Jeoksimto (積心土) of Baekje tile-capped building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Wungjin)

  • 조원창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3호
    • /
    • pp.57-74
    • /
    • 2007
  • Jeoksimto which was build up as the reinforcement establishment made with the soil under the cornerstone in the site of tile-capped building is the representative construction technique which become popular in the Sabi capital era after the Wungjin capital era. Especially from the fact that no site of tile-capped building with this Jeoksimto has been found in the Silla area, we can see the originality Baekje technique. We can analogize the specialization of Josagong (造寺工) (craftsman building the temple) and the diversity of technique, on the basis of the technique raising the ground level which is different with the middle gate site of Neung-sa and the Hall enshrining Buddha site in Buyeo. Moreover, we can have the confidence the dispatch of craftsman and the transmission of building technique from the Buyeo area to the Iksan area through the fact that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Jeoksimto in both area are almost the same. However the concerns in the construction archaeology are necessary because almost no study for Jeoksimto has been conducted and the term of Jeoksimto also is unfamiliar even if excavation of Baekje Jeoksimto in the several remains.

  • PDF

연료전지발전

  • 이창우
    • 전기의세계
    • /
    • 제41권6호
    • /
    • pp.7-11
    • /
    • 1992
  • 연료전지는 연료가 가진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방식으로 에너지 변환효율이 높고 환경공해가 적어 도시부근이나 도심지 건물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전력계통운용이 용이하여 장래 화력발전 대체용이나 열병합발전용으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많아 국내의 개발이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 연료전지는 반응물질을 전지내에 저장헤 두는 1차전지(건전지등)나 2차전지(축전지)와는 달리 반응물질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한 발전할 수 있으며 단위전지의 내부구조는 일반전지와 유사하나 에너지저장능력이 없는 발전장치이다.

  • PDF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DEM 생성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ique of DEM Generation from LiDAR Data)

  • 이정호;유기윤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4년도 국내 LBS 기술개발 및 표준화 동향세미나
    • /
    • pp.125-131
    • /
    • 2004
  • LiDAR 데이터의 필터링은 원 데이터로부터 건물, 수목 등과 같은 비지면점을 제거하는 과정이며, 이러한 필터링을 통해 DEM을 생성할 수 있다. 대표적인 필터링 방법들로는 분산을 이용한 linear prediction 기법, 주변 점들과의 경사관계를 이용한 slope-based 기법, morphology 필터, local maxima 필터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존의 기법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필터링 기법들은 필터의 크기(윈도우의 크기)와 같은 인자를 대상 지역에 적합하게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주어야 한다. 더욱이 복잡한 지형, 지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자를 변형시켜줘야 하며 특히, 다양한 크기의 건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하여 적용하기 위해서는 가변적인 크기의 필터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건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하여 필터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고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연산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목이나 자동차 등과 같은 작은 개체의 제거를 위해 고정된 작은 크기의 윈도우를 가지는 모폴로지 필터를 우선 적용한다. 그 후 건물과 같은 큰 개체의 포인트는 이웃 포인트와의 고도차이를 이용하여 인식하고 이웃에 위치하는 지면 포인트로 대체하며, 갱신된 값이 바로 다음 연산에 반영 되도록 한다. 또한 상, 하, 좌, 우 네 방향에 대하여 라인별로 독립된 연산을 수행한 후에 이들을 비교함으로써 오차를 보정한다.

  • PDF

GIS기반의 터널 시공에 따른 위험도 평가 시스템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GIS-based Tunnelling Risk Management System)

  • 유충식;전영우;김재훈;박영진;유정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49-59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도심지에서의 터널 시공에 따른 지반거동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인접 건물 혹은 매설관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GIS기반의 위험도 관리 시스템(GIS-TURIMS) 개발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본 시스템은 상용 GIS 소프트웨어인 ArcView 8.1을 기반으로 개발되었고, VB(Visual Basic)와 VBA(Visual Basic Application)를 사용하여 터널시공으로 인한 지반거동과 건물 손상정도의 공학적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GIS기술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터널 시공으로 인한 지반거동, 건물/매설관 손상평가의 강력한 해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GIS-TURIMS의 개요와 개발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다루었다.

IPv6기반의 UFID(지형지물유일식별자)통신시스템 설계 (Design of IPv6 based UFID(Unique feature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Systems)

  • 강민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37-44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국가 통합 지리정보시스템(GIS)용 데이터 모델과 인터넷 주소정보를 지리정보로 결합하여 인터넷상에서 원하는 위치정보를 찾을 수 있는 지형지물유일식별자(UFID, Unique Feature Identification)와 발생지리정보체계(GIS)를 연결하는 UFID의 개념을 무선통신에 활용하기 위한 새로운 IPv6기반의 인터넷 주소체계 구축과 관리방안을 연구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전국의 1,500,000여개의 건물에 대한지형지물을 표시하기 위해 IPv6의 주소관리체계는 6바이트의 코드구성으로, UFID에 의한 지형지물식별체계에서 IPv6의 128비트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식별체계를 제안하였으며, 권역/광역/기초/건물위치/건물정보의 식별체 계법과 DNS관리방안과 UFID사용 환경을 고려한 UFID 통신시스템 설계방안을 제안한다.

건물 내 스몰셀 네트워크에서 채널 선택 기반 다중점 협력통신 (Coordinated Multi-Point Communications with Channel Selection for In-building Small-cell Networks)

  • 반일학;김세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9-15
    • /
    • 2022
  • 본 논문은 매크로 기지국(Macro base station, MBS) 커버리지에 위치한 건물 내부의 밀집된 스몰셀 네트워크 환경에서 매크로 사용자 단말(Macro user equipment, MUE)의 성능향상을 위한 채널 선택 기반 다중점 협력통신(Coordinated multi-point, CoMP)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CoMP 방법에서 건물 내에 위치한 MUE의 성능향상을 위해 스몰셀 기지국(Small-cell base station, SBS)들이 이웃한 MUE에게 간섭을 적게 미치는 방법으로 채널을 선택하고 CoMP가 필요한 MUE에게 적절한 신호를 송신한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제안하는 CoMP 방법이 기존의 랜덤채널할당 기반의 스몰셀 네트워크 방법과 CoMP방법보다 MUE의 성능을 각각 최대 164%와 51%까지 향상시킨다.

분산형 발전시스템의 기술개발 동향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 이영덕;강상규;이상민;안국영
    • 기계와재료
    • /
    • 제26권1호
    • /
    • pp.16-26
    • /
    • 2014
  •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세라믹 소재의 이온전도성 막과 전극에서의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로서 발전효율이 높고, 배출물 특성이 우수하여 미래형 청정발전기술로 각광받는 기술이다. 더불어 소음이 적게 발생하므로 주로 도심지 건물에 설치되는 분산형 발전시스템으로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동향분석에서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시스템의 개발동향을 살펴보고, 시스템별 사이클 구성방법에 대한 기술적인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