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옷장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4초

가상 옷장 앱을 이용한 폐의류 재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waste clothes using a virtual closet app)

  • 유은빈;조현주;최병인;김동옥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76-877
    • /
    • 2023
  • 3D 기술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가상 옷장 앱 BBoM은 패스트패션의 환경 오염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소비문화를 조성한다. 깊이 추정(depth estimation) 기술을 활용하여 2D 이미지를 3D 모델로 변환하였다. 이러한 기능은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1년 후에 연간탄소 배출량을 37% 감소시킬 수 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딥러닝과 이미지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옷장 (A Smart Closet Using Deep Learning and Image Recognition for the Blind)

  • 최소희;김주하;오재동;공기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1-58
    • /
    • 2020
  • 시각장애인의 대다수는 독립적인 의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최근 스마트 가전 시장의 성장으로 가구나 가전에 인공지능이나 IoT를 추가하는 제품이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의 독립적인 의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옷장 내부를 관리하는 기능, 음성 대화를 통해 정보를 요청하는 음성인식 기능 그리고 CNN 알고리즘을 이용한 옷 정보에 대한 인식 기능을 가진 스마트 옷장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옷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모델의 층 개수를 변경하고 Maxpooling을 조정하여 모델을 생성하였다. 모델 생성 시 Early Stopping Callback 옵션을 적용하여 학습 정확도를 보장해주었다. 과적합을 방지해주기 위하여 Dropout을 추가했다. 이러한 과정으로 만들어진 최종 모델은 옷 인식 정확도가 80%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워드로브 설계를 위한 콘텐츠 개발 - RFID 칩의 활용 - (Content planning for a ubiquitous wardrobe - Application of an RFID database -)

  • 이운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2호
    • /
    • pp.313-325
    • /
    • 2014
  • This study seeks to establish a ubiquitous wardrobe with a clothing management function through detailed and subdivided integration research. To create a database,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output data were analyzed and used as the basic data. In particular, this study researched clothing management programs and companies' standards of clothing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s. First, through an in-depth analysis centering on specialists, we established the contents of a ubiquitous wardrobe and used the concept of cloud computing to support the wardrobe contents and smart phone applications. Second, this research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schools, and enterprises in their applications of, and the importance they attach to, design images. A detailed database composed of various categories was established to present the ubiquitous wardrobe contents with efficient functions. Third, we facilitated the search process by designating clothes with QR codes, which is one of the functions of contents. Fourth, the code number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entering clothes into the database were utilized as RFID information as a way to arrange the products in a simpler manner. The ubiquitous wardrobe was constructed as a web-style hybrid, and its contents areavailable through mobile applications and QR codes.

옷장 정리 행동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requency of Closet Cleanup Behavior)

  • 박현희;구양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6-45
    • /
    • 2019
  • In 2000s, the rapid growth of domestic and foreign fast fashion brands led to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shopping for consumers an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average life span of fashion products. As the kinds and quantity of fashion products owned by individuals increase, the problem of rational clothing management becomes a new concer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mographic, socio-psychological and purchase behavior factors influencing the frequency of closet cleanup behavior. A total of 27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requenc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22.0. Thi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women's closet cleanup behavior was higher than that of men's closet cleanup behavior. Second, the number of brothers and siste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frequency of closet cleanup behavior. Third, the stronger the attachment to fashion product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closet cleanup behavior. Fourth, the lower the fashion product retention tendency, the higher the frequency of closet cleanup behavior. Fifth, the higher the frequency of purchasing fashion product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closet cleanup behavior. The results of current study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for educators and marketers who are interested in reasonable management behavior of fashion goods.

한국 현대 옷장과 거실장에 나타난 전통성의 표현 경향 (An Analysis on the Traditional Expression in Modern Korean Residential-Furniture)

  • 박소연;박영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1-6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trend of tradition in Modern Korean Residential-furniture. Sample furniture of 374 pieces made by 21 manufacturers which have been shown in the market in September 2000, are selected for this study. To find out the traditional trend, frequency and percentage are us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major trend of design in Modern Korean Residential-furniture is modern style based on Modernism.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are tendency while large firms add western traditional elements in their furniture, small manufactures are trying to develop original furniture design which expresses Korean traditional characteristics. It means that the Korean traditional characteristics are not widely spread in Modern Residential-furniture.

  • PDF

딥러닝 기반의 맞춤형 코디네이터 (A customized coordinator based on deep learning)

  • 홍인희;이수민;조현지;정민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31-1333
    • /
    • 2021
  • 매일 아침 옷 매칭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본 시스템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옷을 등록하고 등록된 옷을 토대로 상 하의를 추천한다. 옷장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어 추천과 동시에 옷을 입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앱을 통해서도 추천이 가능하다. 이를 토대로 많은 사람들에게 시간 단축 및 다양한 패션 시도를 유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장난감 정리함을 접목한 유아용 옷장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oset Design for Infants in Use of a Toy Chest)

  • 강신우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6-355
    • /
    • 2015
  • It suggests a closet design for infants in consideration of space utilization, furniture arrangement, and goods storage by integrating a baby's closet and toy chest, which was used for storage of baby's toys and play instrument. For this, it conducted and analyzed data research on the infants' toy chests in the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and based on such approach, the colors that helped development of infants' cognition and emotion were selected while suggesting familiar animal characters for infants. Without considering separate arrangement of furniture and toy chest within limited space, it allowed space utilization and provided enough storing space. Also, the attached ball casters enabled easy carry of the closet and with this function, it helps infants arrange and store goods by themselves so that making them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For effective spatial utilization as well as security of its genuine storage function, the closet and toy chest were combined in this study. Thus, it is believed that development of such multifunctional furniture will suggest the direction of researches on domestic furniture development that are conducted to maximize utilization of residential space for the people living today.

개인별 체감 온도를 반영한 개인 소장 의류 추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Personal Clothing Recommendation System that Reflects Individual Temperature Sensitivity)

  • 정병희;김우석;이상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357-363
    • /
    • 2021
  •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외출 시 실시간 날씨 및 기온 등을 참고하여 입고 나갈 의류를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개인이 실시간 날씨 정보, 자신의 체감 온도 정보 등을 활용하여 자신이 소장한 의류 중에서 알맞은 의류를 선택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문제를 도와주기 위해 개발된 기존의 의류 추천 시스템들은 의류 범주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지 않은 의류를 추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별 체감 온도를 고려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적절하지 못한 의류를 추천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소장하고 있는 의류에 대해 의류 범주를 결정하여 등록하고, 사용자별 체감 온도와 실시간 날씨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개인별 맞춤형 의류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날씨 정보의 경우, 단순한 기온, 풍향 등의 기상 정보만이 아니라 온도 민감도를 이용하여 개인별 체감 온도에 따른 의류를 추천하였다. 본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 대학생 65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추천된 의류에 대해 만족한다는 의견이 80%를 차지하여 본 시스템의 만족도는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개인별 체감 온도를 반영하여 개인이 소장한 의류를 기반으로 추천받게 됨으로써 실생활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자제품의 레이블과 소비자 관리행동 (Care Labels and Consumer's Care Behavior of Hat Products)

  • 김차현;박명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84-1792
    • /
    • 2007
  • 현대의 패션의 다양화, 개성화로 패션 스타일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모자는 더욱 부각되어 수요자 층이 확대되고 있지만,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세탁 및 관리에 어려움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모자제품의 관리방법에 대한 소비자의 현황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모자 레이블 부착의 문제점과 개선책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며, 나아가 모자의 보관이나 세탁방법에 대한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소비자들의 모자제품의 세탁 및 관리행동에 관한 조사를 하기 위하여 서울 및 도시에 거주하며 모자를 소유하고 있는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의 남녀 395명을 대상으로 연령과 성별을 고려한 할당 표본추출방법을 통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07년 3월에서 4월까지 이루어 졌으며, 설문은 총 4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모자 착용실태, 세탁방법, 건조방법, 보관방법에 관한 문항은 선다형으로, 모자 소비자 불만, 소비자 모자 레이블 인식에 관한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고,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 12.0 프로그램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오차, 교차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통계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첫째, 모자 소비자의 세탁방법 인식도와 실천정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남성보다는 세탁경험이 많은 여성이 모자 세탁 방법에 대하여 잘 알고 실천하고 있었으며, 편안함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보다 높은 연령대가 세탁방법을 더 잘 실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모자 소비자들은 다른 의복 아이템과 비교하여 울세제로 세탁망에 넣어 세탁기로 돌리거나 손으로 직접 빠는 세심한 관리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세탁빈도는 더러움이 탈 때마다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세탁의 주 목적은 얼룩제거로 나타났지만, 여성은 남성에 비해 모자의 형태보전과 냄새제거를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장소에 있어서는 그늘에서 건조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 집게로 집어 빨래 줄에 말리는 경우가 많았다. 모자 세탁 시 세탁방법, 건조방법, 건조장소의 요인들보다 세제종류가 세탁 후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적절한 세제를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소비자에게 인지시켜 피해를 줄이는데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또 보관방법으로는 대부분 옷장 선반에 두고 있었으며 보관 후 형태변화 결과를 경험한 소비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적합한 모자 보관으로 형태유지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셋째, 대부분의 모자 소비자들은 레이블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다른 의복 아이템에 비하여 모자레이블에 대한 신뢰도는 더 낮게 나타나, 공급자들은 정확하고 실질적인 레이블을 표기하여 신뢰도 회복을 기해야 할 것이다. 많은 소비자들이 모자의 치수 체계 이해에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특히 남성의 경우 레이블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가 낮게 나타나 남성 소비자에게도 전반적인 레이블에 대해 교육시키도록 구체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만 하겠다. 후속연구에서는 모자의 다양한 형태나 재료에 따른 세탁 및 관리 방법을 보완하여 연구가 수행되어서 보다 구체적인 자료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 동아시아 훈의(熏衣)문화와 향재의 교역 연구 (A Study on Perfuming Clothes and the Incense Trade of East Asia in Goryeo Dynasty)

  • 하수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204-221
    • /
    • 2020
  • 훈의문화는 동아시아에서 공유한 문화이다. 해양 실크로드의 번영과 향재의 교역은 향 문화를 발달하게 해준 직접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향 문화의 발달 시기는 교역의 시작시기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훈의(熏衣)는 향을 태운 연기로 향을 입히는 용법이다. 중국은 한대(漢代)부터 합향을 제조하였으며, 훈롱(熏籠)을 사용한 기록이 있어 훈의향을 합향으로 제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당대(唐代)에 향료의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천금요방』, 『향보』, 『향승』 등에 훈의향의 제조법과 훈의 기술이 나타나고 『계해우형지』와 『제번지』 등의 서적을 통해서도 향료의 교역국과 교역품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훈의향의 제조법과 용법이 기록된 문헌과 훈의에 필요한 도구들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에는 불교의 전래와 함께 향이 소개되었다. 『매신라물해』의 기록을 통하여 일본과의 향 교역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훈의향이라는 교역품이 기록되어 있어 신라시대부터 훈의를 시행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향재의 교역이 융성하였던 고려시대에는 인삼과 함께 사향을 수출하였다. 왕실에서는 송(宋)으로부터 하사받은 향을 사용하였으며, 부인들은 향낭류의 패식향을 선호하였다. 패식향의 선호가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조선시대에는 훈의의 기록을 찾기 어렵다. 조선시대에는 패식향의 사용, 향로에 피운 향의 냄새가 간접적으로 의복에 스며드는 방식, 그리고 옷장에 의향을 넣어두는 간접적인 방향을 선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은 『매신라물해』의 기록을 통하여 신라를 통해 향을 교역한 사실을 알 수 있다. 헤이안 시대 궁정 소설 『겐지이야기』를 보면 당시 귀족들의 향 문화와 훈의문화, 향 교역을 추정 할 수 있다. 일본의 훈롱은 필수 혼수품으로 자리 잡았으며, 그에 따라 실용적인 형태로 발달하고 장식성이 가미되었다. 베트남 남부의 점성국이 훈의를 시행한 사실은 『제번지』에 직접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베트남 북부의 교지국이 훈의를 행하였다는 직접적인 기록은 찾기 어렵다. 그러나 중국과 복식 문화가 같다는 기록과 훈의를 행하였던 국가인 중국과 점성국에 인접하였다는 점, 그리고 향료의 원산지라는 점에서 훈의문화를 공유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한·중·일, 그리고 베트남은 훈의를 시행하는 문화를 공유하였다. 이를 통해 훈의향의 목적과 발달 시기, 훈의향의 제작, 훈의법, 훈의 도구, 훈의를 하는 사람의 성별 그리고 사용한 향재에서 공통성을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