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올리브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1초

청심연자탕으로 호전된 올리브교소뇌위축증 환자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a Patient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Improved with Chengsimyeonja-tang)

  • 박지은;이슬;이정윤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41-151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report significant improvement of dizziness, gait disturbance and dysarthria after treatment with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reatment on a Taeeumin patient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Methods A 53-year-old female diagnosed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about one year ago suffered from dizziness, gait disturbance and dysarthria. The patient was identified as Taeeumin Joyeol pattern and treated with Cheongsimyeonja-tang and Taegeuk acupuncture. The patient's main symptoms were observed using Global Assessment Scale (GA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In addition, the Unified Multiple System Atrophy Rating Scale (UMSARS) was used to assess the overall function of patient. Results We observ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ymptoms of dizziness, gait disturbance and dysarthria using GAS, and UMSARS score decreased in Part I and II. Conclusions This case showed that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reatment can be effective treatment for Taeeumin patient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We consider that consistent treatment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올리브기름, 카놀라기름 및 정어리기름의 급여가 계란의 지방산 조성 및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Dietary Olive Oil, Canola Oil, and Sardine Oil on Fatty Acids Com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s in Eggs)

  • 박구부;김진형;김진성;진상근;신택순;이정일;박태선;성필남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45-151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etary olive oil, canola oil, or sardine oil on the fatty acids com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s in eggs The experimental layers, 62~65 weeks of age, were randomly allotted to one of the four treatments; a) Control (commercial feed), b) T1 (commercial feed plus 10% olive oil), c) T2 (commercial feed plus 10% sardine oil), d) m (commercial feed plus 10% sardine oil) for 3 weeks. The egg samples were stored at 4${\pm}$1˚C for a certain period (1, 3, 5, 7, and 9 days) and analyzed for the fatty acids com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s. The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in the egg yolk were slightly decreased as the storage periods extended. The oleic acid content in T1 was the highest in all treatments. The linoleic and linolenic acid contents in T2 were higher than in the other treatments. The eicosahexaenoic acid (EPA), docosapentaenoic acid (DPA), and docosasahexaenoic acid ( DH A) contents in eggs from m were higher than the other treatments. The ratio of egg yolk n-6 /n-3 fatty acids contents in all treatments were slightly increased as the storage periods extended. The n-3 fatty acid contents of the egg yolk from T3 was the highest in all treatments. The cholesterol contents of the egg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extended(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gg cholesterol content among all treatments.

  • PDF

수면장애와 보행장애를 호소하는 올리브교소뇌위축증 환자 증례보고 1례 (A Case Report of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Multiple Systemic Atrophy-Cerebellum) Patient Complicating Sleep Disorders and Gait Disturbance)

  • 이수영;김두리;이현승;채한나;윤종민;문병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802-813
    • /
    • 2018
  •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patient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accompanied by sleep disorder and gait disturbance whose condition was improved by treatment with Korean medicine. The 61-year-old woman, who was diagnosed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Multiple Systemic Atrophy-Cerebellum), was admitted to hospital twice and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The Korean medicine was Gwibiondam-tang-gami and Jaeumgeonbi-tang-gami. Clinical symptoms were assessed by the Modified Bathel index,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ment, Berg balance scale, and Unified Multiple System Atrophy rating scale. A brain MRI at the one-year follow up after onset showed similar progress but clinical symptoms were improved after treatment, and the evaluation index score increased. Multiple system atrophy, a type of degenerative neurological disease, has no targeted treatment. In this situation, although this report describes a single case, Korean medicine treatment could provide a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sleep disturbance and gait disorder symptoms of patients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시설하우스에서 Corynespora cassiicola에 의해 발생하는 오이 갈색무늬병 (A Target Leaf Spot Disease Caused by Corynespora cassiicola on Cucumber Cultivated in Green House)

  • 권미경;양광열;조백호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21-125
    • /
    • 2004
  • 2000년도와 2001년도에 남부지방(구례, 별교, 영암)의 시설 내 오이재배지에서 갈색무늬병에 피해가 심하였다. 잎에서 전형적인 수침상 병반이 생기고 초기에 황색 halo를 지닌 갈색반점이 생긴 후 점차 불규칙하고 큰 병반으로 진전되어 때때로 낙엽을 유발하였다. 감염잎으로부터 분리한 병원균은 분생자경에 연쇄상 혹은 단일 분생포자를 형성하였고 분생포자는 거의 무색에서 올리브 갈색 내지는 갈색을 띠었으며 모양은 7-11개의 위격벽을 지닌 원통형,역곤봉형, 직립형, 만곡형 등이었다. 또한 분리 병원균의 ITS영역의 염기서열은 Corynespora cassciicola와 일치하였다. 형태적, ITS영역 분석을 기초로 분리된 병원균은 C. cassiicola로 동정하였다. 병원균의 생육은 3$0^{\circ}C$ Czapek Solution Agar 배지에서 가장 좋았으며, 발병환경 조사 결과 3$0^{\circ}C$에서 18시간 이상 습전시간이 유지될 때 발병이 높아, 고온과 식물의 긴 습전기간이 발병량의 증가를 가져오는 요인이었다. 또한 국내 품종들을 대상으로 오이갈색무늬병에 대한 감수성과 저항성 품종들을 선발하였다.

Coniella granati에 의한 석류 열매썩음병 (Fruit Rot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Caused by Coniella granati in Korea)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8권4호
    • /
    • pp.215-219
    • /
    • 2002
  • 2002년 7월 경남 통영시 광도면 석류재배 농가포장에서 열매가 부패되는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분리된 병원균은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의 색깔은 흰색이며 물결모양을 이루면서 왕성하게 자랐고, 배지상에서 분생포자각을 잘 형성하였다. 분생포자는 단세포이며 모양은 방추형이고, 색깔은 갈색 또는 올리브색이다. 크기는 10.3~17.4$\times$2.8~4.0 $\mu\textrm{m}$ 였다. 분생포자 형성 세포는 짧은 원통형이며 무색으로 크기는 12.4~1.4$\times$2.8~3.6 $\mu\textrm{m}$ 였다. 불생포자각의 모양은 구형이며 갈색으로, 각벽은 2~3세포이고, 크기는 124.6~228.4 $\mu\textrm{m}$ 였다.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였다. 분리된 병원균을 건전한 석류에 유상, 무상접종한 결과 접종 3일 후 감염을 일으켰으며, 병원성이 강하였다. 이상과 같이 이 병원균을 Coniella granati에 의한 석류열매 썩음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Pityrosporum 균속의 항진균제에 대한 연구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Antifungal Drugs on Pityrosporum Species)

  • 정병천;노병의;방용준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9-54
    • /
    • 1997
  • Pityrosporum spp.은 1952년 Vanbreuseghem가 전풍환자에서 분리한 Pityrosporum spp.를 round form, elongated form 및 oval form으로 구분하고 이중 round form를 Pityrosporum (P.) orbiculare라 하고 oval form를 P. ovale에 해당된다고 하였다. 현재 Pityrosporum 균속에는 P. orbiculare, P. ovale, P. pachydermatis가 있고, 이 중 P. orbiculare와 P. ovale는 호지방성으로 배양시 일반적인 진균배지에 올리브 기름을 첨가하여 37$^{\circ}C$에 배양하면 효모양의 집락을 형성하며 cholesterol, cholesterol ester가 첨가된 배지와 전풍환자에서는 균사를 볼 수 있다. Pityrosporum spp.도 Candida spp. 처럼 효모기 (yeast phase)는 비병원성이고 균사기 (mycelial phase)에는 병원성이 있으며 균의 분리는 전풍환자에서 뿐만 아니라 건강한 성인에서도 90%이상 배양되는 인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상재균이기도 하다. 이러한 배양 조건 때문에 Pityrosporum균속의 항진균제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ketoconazole, itraconazole, selenium sulfide, sodium thiosulfate의 MIC 검사를 한 결과 ketoconazole은 0.05~0.8$\mu\textrm{g}$ ml$^{-1}$로 itraconazole, solenium sulfite 및 sodium thiosulfate보다 ketoconazole이 MIC가 가장 낮게 나타난다. P. orbiculare의 대한 각 약제의 MIC를 비교해 보면 4종의 약제 전부에서 ketoconazole이 낮았으며, 건강인에서 분리한 균주가 전풍환자에서 분리한 균주보다 MIC$_{50}$, MIC$_{90}$에서 모두 낮았다. P. ovale에 대한 경구용 및 국소용 항진균제의 MIC$_{50}$, MIC$_{90}$에서도 P. orbiculare보다 현저히 낮은 MIC를 보였다.

  • PDF

3-Acetylpyridine에 의한 운동실조 동물모델에서 로타로드 운동과 전침이 근활성도와 혈청 BDNF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tarod Exercise and Electroacupuncture on Muscle Activity and Serum BDNF Level in the Ataxic Rats by the 3-Acetylpyridine)

  • 노민희;박수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36-246
    • /
    • 2010
  • 3-Acetylpyridine(3-AP)는 아래올리브핵을 선택적으로 파괴함으로써, 소뇌 손상을 유발하는 신경독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3-AP의 투여로 운동실조가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로타로드 운동과 전침이 후지의 근활성도와 혈청 BDNF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실험동물을 대조군, 3-AP군, 운동군, 전침군 그리고 운동전침군으로 무작위 배치하였다. 3-AP군의 최대점핑수직높이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로타로드 운동과 전침의 적용 이후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후지의 근활성도는 3-AP의 투여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치료적 중재 이후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3-AP군의 혈청 BDNF 농도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운동군, 전침군 그리고 운동전침군에서는 3-AP군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로타로드 운동과 전침은 운동실조 동물모델의 기능적 회복에 긍정적인 치료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내열성 extracellular lipase 생산을 위한 Geobacillus kaustophilus DSM 7263의 배양조건 (Culture Conditions of Geobacillus kaustophilus DSM 7263 for Production of Thermophilic Extracellular Lipase)

  • 전숭종;강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02-906
    • /
    • 2010
  • 고온성 균주로 알려진 Geobacillus 속의 다양한 균주로부터 내열성 extracellular lipase를 생산하는 G. kaustophilus DSM 7263를 선별하였다. 우리는 본 균주로부터 lipase를 대량생산하기 위한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배양 배지에 다양한 천연오일을 첨가한 결과, lipase의 최적 생장을 위한 탄소원으로는 0.5% 올리브 오일이 최적 조건으로 확인되었다. 본 균주의 생장을 위한 최적온도와 pH는 각각 $55^{\circ}C$와 8.0인 반면, lipase 생산을 위한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50^{\circ}C$와 6.0을 나타내어 최적생육조건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금속이온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는 배지에 $Mg^{2+}$$Mn^{2+}$을 첨가한 경우 각각 247%와 157%의 효소 생산이 증가한 반면, $Co^{2+}$, $Fe^{2+}$, $Ni^{2+}$, $Cu^{2+}$는 효소 생산을 저해 하였다. 또한 0.1% (v/v) triton X-100을 첨가하면 대조구에 비해 효소생산과 균의 생장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논 토양중의 균류에 관한 연구 - III . 자낭균류 - (Fungs flora of paddy fields in Korea. - III. Ascomycetes -)

  • Kyung Hee MIN;Tadayoshi ITO;Tatsuo YOKOYAMA
    • 미생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0-88
    • /
    • 1982
  • 한국의 두장소의 논토양에서 회석평판법에 의하여 토양균을 분리하였다. 동정된 30종중 14종은 한국에서 미기록종이며 이중 7종은 자낭균류에 속하는 것으로 본 논문에 서술하였다. Talaromyces의 종중에서는 Talaromyces flavus var. flavus, T. panasenkoi, T. stipitauts 그리고 T. trachyspermus가 가장 우세하게 분포되어 있다. 또 특이한 것은 Westerdykella multispora가 현저하게 주목된다. Westerdykella multispora는 많은 격막이 있는 원통형 자낭포자가 32개 포함된 자낭을 가지고 있는 구형 또는 아구형의 pseudothecia를 형성한다. Chaelomium globosum은 cellulose를 분해하는 ascomycetes의 종류로 많은 파상 정모와 ostiole을 가지고 있는 검은 자낭각을 형성한다. 이 자낭각은 레몬형태의 올리브색을 띤 갈색자낭포자 8개를 포함하고 있는 곤봉모양을 하고 있으며 소실성의 자낭을 형성한다. 또 다른 Ascomycete로써 Acremonium an-amorph를 가지고 있는 Emericellopsis terricola로 2곳의 채취장소에서 분리할 수 있었다.

  • PDF

고추를 이용한 생선용 복합 분말 조미료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of Mixed Seasoning Products for Fish Dishes using Korean Chili Peppers(Capsicum annuum L.))

  • 이슬;김민경;유경미;박재복;황인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2-137
    • /
    • 2011
  • 미국산 복합 분말 조미료에 기초하여 수출용 고부가가치 고추 가공 제품으로 생선용 복합 분말 조미료를 개발하였다. 한국산 고춧가루와 한국 고유의 재료인 유자, 버섯, 그리고 마늘을 첨가하여 짠맛과 단맛, 매운맛을 조화롭게 하여 맛의 차별화를 유도하였고, 생선의 비린내를 제거하였다. 수출용 생선 복합 분말 조미료 AI는 한국산 고춧가루(20%), 오레가노, 파슬리, 타임, 흑후추 등의 총 허브류(31.7%), 소금(11.5%), 유자(2.8%), 버섯(8.6%), 마늘(5.8%)의 식품 재료로 구성되었고, 그 외 파프리카, 설탕, 올리브 오일 등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기호도 평가에서 개발된 샘플(AI)은 미국산 복합 분말 조미료 제품보다 선호도가 높게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