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온.오프라인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6초

대구·경북지역 언어재활사의 공감능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련성에 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bilities and Job Satisfaction of Speech and Language Rehabilitation in Daegu and Gyeongbuk)

  • 김선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57-63
    • /
    • 2021
  •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언어재활사의 개인적 특성과 공감능력 및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와 특히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능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언어재활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지역에서 근무하는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총 111명의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 목적에 따라 SPSS/PC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특성과 공감능력 및 직무만족도 간의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고, 공감능력의 하위 요인인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능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추후 집체 및 소집단이나 온·오프라인 교육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연계와 대학에서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비교과 및 교과목 개설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향후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전국 단위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한 비교과 및 교과목 이수여부에 따른 언어재활사의 공감능력과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플립러닝을 활용한 온라인 학습에서 중·장년층 학습자의 반복학습에 따른 학습몰입과 흥미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earning Commitment and Interest by Repetitive Education Activities of Adult Learners on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Using Flip Learning Pedagogy)

  • 강태구;임구원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27-34
    • /
    • 2021
  •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여 ICT 기술의 발전은 온·오프라인 교육환경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의 대중화는 교육 패러다임을 변화시켜 학습자 중심의 서비스로 전환하여 새로운 교육 환경의 변화가 요구되는 시점에서 플립러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성인학습자의 경우 생애 전반에 걸쳐 보다 다양한 학습과정의 온라인 학습 수요가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K사이버대학교의 중·장년층 온라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플립러닝을 활용한 반복학습이 학습 몰입과 학습 흥미가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검증과 구조관계에 어떻게 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플립러닝을 근간으로 한 학습 만족도를 위한 방향성 제시를 위한 연구에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 분석의 모델을 구체화하여 적용한다면 플립러닝을 근간으로 한 학습만족도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계층분석방법을 활용한 사서교사 역량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ority of Teacher Librarians' Competencies Us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임정훈;이승민;강봉숙;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7-144
    • /
    • 2021
  • 본 연구 목적은 사서교사 역량을 재정의하고, 역량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사서교사 양성 및 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AHP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서교사들은 직무의 상위 계층 영역 중 정보 전문가, 교사, 경영자, 협력적 리더 순으로 우선순위를 인식하고 있었다. 하위 계층별로는, 장서개발·관리·보존, 교수·학습 매체 제작, 정보서비스, 도서관협력수업, 도서관활용수업, 콘텐츠 큐레이션의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학교도서관에서는 교육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장서를 개발하고 정보 자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역량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온·오프라인 장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학교도서관 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교수 매체 제작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찰했다. 이를 바탕으로 사서교사 양성 및 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시각적 전이에 기초한 1인 경험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COVID-19의 고립 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arratives of Single Person Experience based on Visual Transference: Focusing on the Isolated Factors of COVID-19)

  • 이유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519-528
    • /
    • 2022
  • 연구 목적은 COVID-19 사태 이후 1인이 경험한 고립 요인을 시각적 전이에 기초한 내러티브 방법으로 살펴, 1인 경험의 디자인 방향을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 범위는 비대면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참여한 20대 여성 8명의 COVID-19 경험이다. 연구 방법은 참여자가 COVID-19 상황과 유사한 디지털 이미지를 선택하여 이에 근거한 경험 사실을 기술하면, 이를 연구자가 미시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한정한다. 분석 결과, 고립 요인은 대면 소통의 부족, SNS 의존, OTT 서비스 중독, 외부 장소 이용 및 활동 한정, 비대면 기술의 한계, 비대면 교육 효과의 한계, 감염병 우려 등으로 요약되었다. 그러므로 고립 극복 요소에 근거한 1인 경험 디자인 방향은 관계 회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온·오프라인 통합의 비 경계 장소, 현존감 구현을 위한 디지털 융·복합 콘텐츠 등이 전제되어야 할 것으로 예측된다.

도서관주간의 비교 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and Activation Plan of Library Week)

  • 심효정;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57-177
    • /
    • 2022
  • 본 연구는 「도서관법」 개정에 따라 2023년부터는 4월 12일을 도서관의 날로 정하고 그 날로부터 1주간을 도서관주간으로 하게 된 것과 관련해 1964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도서관주간의 의의와 역사, 국내외 도서관주간 사례 등을 분석하고 향후 도서관주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도서관주간의 효율성 있는 운영방식, 프로그램 구성의 변화, 홍보전략의 다각화 세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서관주간을 활성화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플랫폼 구축, 명예 홍보대사 활용 등 다양한 행사 운영방법 제시, 이색적인 기념행사, 전국 동시 캠페인, 아카이빙, 상시 홍보 채널 및 체계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3년 시행될 도서관의 날 및 도서관주간을 추진하고 활성화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댓글 소통 환경에서 존재하는 인지부조화가 직접 소통 욕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gnitive Dissonance Experienced in Online Communication on Face-to-Face Communication Intention)

  • 이정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4호
    • /
    • pp.61-79
    • /
    • 2022
  • 본 연구는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댓글을 사용하여 소통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지부조화가 대면 소통의 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람들은 댓글로 남들과 소통할 때, 자신 역시 여러 댓글러 중 한명으로서 소통에 평등하게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댓글러들은 인터넷의 익명성에 기대어 자신보다 더 불성실하게 댓글소통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동시에 갖게 되는데, 이것을 일종의 인지부조화로 보고 그것이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 존재가 대면 소통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궁금증, 온/오프라인 간 태도 차이 등 대면 소통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총 323명의 댓글소통 경험자에게 설문을 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가설이 채택 혹은 부분채택 되었다. 본 연구는 댓글 소통 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지부조화를 구체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사람들이 댓글 소통이 아닌 대면 소통을 원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검증하여 그 시사점을 강조한다. 도구 개발에 있어 초기 연구로서의 한계점이 있으나 추후 연구를 통해 댓글 소통의 효과성과 동시에 대면 소통의 필요조건에 대해 더 연구,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버추얼 클래스룸을 활용한 소프트웨어교육 온라인 대면 교수 설계 모형 (Online face-to-face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Software Education using Virtual Classroom)

  • 서성채;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75-84
    • /
    • 2022
  • 현재, 교육은 대면수업과 온라인의 특징을 활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모델인 블렌디드러닝을 이용하는 교수 설계를 통해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 19 이후 교육의 패러다임이 대면 수업에서 비대면 수업으로 변화되면서 교육 현장에서는 변화에 대응하는 교수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온라인을 활용한 교수 설계모형으로, 비실시간으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한 후, 실시간으로 버추얼 클래스룸을 활용하여 온라인 대면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 설계 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버추얼 클래스룸을 활용한 온라인 대면 교수 설계 모형을 소프트웨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교수 설계 모형은 대면 교육 특징을 온라인에서 수용할 수 있는 교수 설계로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뷰티관광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IPA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Beauty Tourism: Focusing on IPA)

  • 황영아;엄문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233-238
    • /
    • 2022
  • 본 연구는 뷰티관광 교육과정의 중요도-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뷰티관광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뷰티관광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8개의 유효표본을 활용하여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교육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선이 필요한 교육내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 및 유지가 필요한 교육과정은 현장실습, 전공실무, 서비스 및 매너, 고객상담, 고객관리, 마케팅, 대인관계 등으로 나타났다. 우선순위가 낮은 교육내용은 외국어, 다문화 이해, 관광학, 뷰티경영 등으로 나타났으며 과잉 노력을 지양이 필요한 교육내용은 전공 이론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뷰티관광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학교중심 정신건강사업의 해외(싱가포르, 미국, 호주)와 한국의 비교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Overseas and Domestic cases of School-based Mental Health Project: Focusing on Singapore, the U.S., and Australia)

  • 이주용;이은진;백형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789-80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교 중심의 정신건강 사업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국내외 학교 중심 정신건강 서비스 사례를 비교하여 국내 상황에 적절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외와 국내 서비스 주관 기관의 온·오프라인 공적 자료 및 학술 논문 등을 활용하여 서비스 배경, 목적 및 운영방식을 확인하였다. 국외 사례에서는 국가 차원의 정신건강 수립계획, 사업 수행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성으로 사업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주도적 정책 수행기관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전달하고, 정부 부처 및 기관 간 의사소통과 협력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의 정신건강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심각도에 따른 다단계적 개입으로 학생들의 다양한 정신건강 욕구에 반응하고 있었다. 국내 학교중심 정신건강사업은 여전히 도입 단계로, 국내에서도 정부 부처 간의 협조체계, 효과적인 운영체계마련과 학생, 보호자, 교사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중장년의 주관적 신체건강인식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hysical Health Awareness and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in Middle aged: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 유지후;조성제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111-121
    • /
    • 2023
  • 본 연구는 중장년의 주관적 신체건강인식, 우울, 자아존중과 삶의 만족도의 영향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중장년 320명을 대상으로 2021년 8월 15일부터 10일간에 걸쳐 온·오프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Baron &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장년의 주관적 신체건강인식과 우울은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둘째, 주관적 신체건강인식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우울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중장년의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해 신체건강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고 이에 대한 함의와 실천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