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온주밀감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9초

온주밀감 신품종 '상도조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New Satsuma Mandarin Cultivar 'Sangdojosaeng')

  • 박영철;오현우;강종훈;이중석;진석천;강상훈;강성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3-147
    • /
    • 2013
  • '상도조생'은 온주밀감 중에는 성숙기가 늦은 '좌좌목온주'의 가지변이로 선발된 품종이다. 1996년에 변이 발생이 확인되었고, 1998년에 1차로 선발되어 계통명 'JARES108'로 명명되었다. 2000년에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온주밀감 성목을 중간대목으로 접목을 실시하여 2003~2006년 4년 동안 특성을 조사한 결과, 우수성이 인정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선발하여 '상도조생'으로 명명하였다. '상도조생'은 10월 하순에 성숙하는 극조생온주밀감으로 수세는 극조생온주밀감 중에서는 강한편이고, 수형은 개장형이다. 성숙기는 원목인 '좌좌목온주'에 비해 25일 정도 빠른 10월 하순경이다. 제주에서 재배되고 있는 극조생온주밀감 중 성숙기, 수세, 과형, 과피색 등에서 가장 유사한 품종인 '상야조생'과 비교한 결과, '상야조생'에 비해 당도가 $0.6^{\circ}Bx$보다 높고, 산함량이 낮아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도조생'은 '궁본조생', '산천조생', '시문조생' 등 품질이 낮은 극조생온주밀감 품종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FS-338 액비의 엽면시용이 하우스 밀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S-338 Foliar Spraying on the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 in the Plastic Film House)

  • 김용호;한승갑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 발표요지
    • /
    • pp.140-147
    • /
    • 1998
  • 과육선숙 경향이 있는 온주밀감에서는 착색시에 수확을 하여 인공착색(북천, 1974)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시장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시기에 수확이 집중되어 소비자나 시장관계자의 불평을 사는 일이 있다. 이러한 연유로 인해서 실제 재배에서는 착색저해나 착색지연 등의 제 요인을 제거(고교, 1965 : 송본, 1975)하는 것 이외에 오히려 적극적으로 착색촉진을 목적으로 한 비배관리나 착색촉진제 등(광뢰 등, 1970 : 암원, 1979 : 암원등, 1979)이 사용되어져 왔다. (중략)

  • PDF

감귤 추출물의 미백효능 및 항산화 효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Citrus Fruits)

  • 김한성;이찬우;김덕희;김기옥;김세재;장이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9-7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자생 감귤 17종에 대하여 탈색소효과(depigment effect)를 연구하였다. B16 멜라닌 생성세포(B16 melanoma cell)를 이용하여 tyrosinase 및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연구한 결과 대조군 대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3종의 미성숙 온주밀감(immature Citrus unshue), 팔삭(Citrus hassaku), 진지향(Citrus sinensis ${\times}$ reticulata)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도출된 감귤 추출물을 이용하여 멜라닌 세포 생성(melanogenesis)에 영향을 미치는 tyrosinase, DOPAchrome tautomerase (TRP-2)와 DHICA oxidase (TRP-1) 단백질 발현을 실험한 결과 tyrosinase, TRP-1, TRP-2 단백질 발현이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특히 이들 중 미성숙 온주밀감은 tyrosinase와 TRP-1 단백질 발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써 미성숙 온주밀감은 모든 실험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UV에 의해서 야기되는 피부 색소 침착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로서 기대할 수 있다.

제주산 감귤류 성분과 그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Citrus Fruits Produced in Cheju)

  • 김성학;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41-545
    • /
    • 1995
  • 제주산 감귤의 표준시료에 대한 성분분석 및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온주 밀감의 가용성고형물(Brix)은 $10.4{\sim}11.0^{\circ}$였고 총당은 $8.24{\sim}8.79%$였으며, 산함량은 $1.04{\sim}1.20%$였다. 비타민 C함량은 $41.19{\sim}46.55\;mg/100g$으로서 조생온주에 비해 보통온주에서 높았다. 온주밀감에서 무기물 함량의 경우 K가 $108.66{\sim}132.65\;mg/100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고 있었으며, 잡감류의 경우는 온주밀감에 비해 무기물 함량이 높았다. 감귤쥬스 중의 당종류는 잡감류를 포함하여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자당이 $46.8{\sim}64.6%$로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외로는 포도당과 과당이 각각 $18.4{\sim}26.9%$$15.2{\sim}30.2%$로서 비슷한 수준이었다. 유기산 종류로는 구연산이 $75.7{\sim}96.2%$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외로 malic acid, oxalic acid, fumaric acid 순으로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감귤 대목과 그것에 접목한 온주밀감의 엽록소 형광특성의 비교 (Comparison of Chlorophyll Fluorescence of Three Citrus Rootstocks and Satsuma Mandarin Grafted on Them)

  • 한상헌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2호
    • /
    • pp.149-152
    • /
    • 2001
  • 3종의 감귤대목 탱자, 비룡, 시트르 메로와 그것에 접목한 온주밀감 '일남 1호'의 $CO_2$ 동화를 평가할 수 있는 엽록소 형광을 비교하였다. 강세 대목인 시트르 메로와 중간 대목인 탱자는 잠재적이며 실재적으로 거의 같은 광양자 흡수율을 나타냈지만, 약세 대목인 비룡은 암조건과 명조건에서 얻어진 Fo, Fs가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광양자 흡수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룡은 흡수한 광 에너지 안테나 엽록소로부터 형광으로 손실이 되는 율이 높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대목에 접목을 한 온주밀감은 잠재적이며 실재적으로 거의 같은 광양자 흡수율을 나타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대목은 접수의 양자 흡수율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 PDF

온주밀감 및 당유자 진피 효소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nzymatic Digests from Dried Citrus unshiu and Citrus grandis Peels)

  • 현재석;강성명;마힌다;고원준;양태석;오명철;오창경;전유진;김수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25
    • /
    • 2010
  • 온주밀감 및 당유자 진피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탄수화물분해효소인 viscozyme 추출물과 단백질분해효소인 kojizyme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당유자의 효소 추출물들이 온주밀감에 비하여 높게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탄수화물분해효소인 ultaflo와 단백질분해효소인 alcalase 및 flavourzyme에서 높았으며, 온주밀감 추출물들이 당 유자에 비하여 높게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탄수화물분해효소인 ultaflo와 단백질분해효소인 alcalase 및 물 추출물에서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온주밀감에 비하여 당유자의 효소 추출물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탄수화물분해효소인 viscozyme과 단백질분해효소인 kojizyme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viscozyme 추출물은 86% 이상의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약간씩 증가하였으나, 2.0 mg/mL에서는 온주밀감 진피의 kojizyme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91% 이상의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lkyl radical 소거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모든 효소 추출물들은 0.5 mg/mL 이상에서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모든 효소 추출물들은 다른 활성산소종들의 활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생산지역과 고도별 흥진조생 온주밀감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t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var. okitsu) According to Harvest Areas and Altitude in Cheju)

  • 좌창숙;김영휘;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47-151
    • /
    • 1999
  • 제주지역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감귤품종인 흥진조생 온주밀감의 품질에 관여하는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감귤원의 고도별 및 생산지역별로 12월 초순에 감귤을 수확하여 분석하였다. 가용성고형물의 함량은 해안 지역(해발 100 m 이하)에서 $9.06{\sim}12.98$였으며, 중산간 지역(해발 150 m 이상)에서는 $10.16{\sim}12.26$으로서 일반적으로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생산된 감귤이 당도가 높았으며 지역간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산 함량은 한경면을 제외하고는 해안 지역에서는 $0.83{\sim}1.21%$였으며, 중산간 지역에서는 $0.94{\sim}1.34%$를 보여 일반적으로 중산간 지역에서 생산된 감귤이 해안 지역에 비하여 산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해안 지역에서 생산된 감귤의 과육율은 $77.32{\sim}81.27%$이었고, 중산간 지역은 $75.00{\sim}81.55%$를 보여 재배지역 사이에 차이를 보였다.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해안 지역과 중산간 지역에서 각각 당도의 변화량은 0.91과 0.82였고, 산 함량의 변화량은 0.15%와 0.13%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당산비의 증가가 각각 1.85와 1.39를 나타내어 수확 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품질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겉보기에 의한 관능평가에서는 감귤원의 고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도가 낮은 감귤 주산지에서 생산된 감귤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감귤 주산지인 서귀포시 지역에서 수확한 온주밀감이 다른 지역보다는 품질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제주산 온주밀감의 CA저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of Unshiu orange)

  • 윤창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1호
    • /
    • pp.14-20
    • /
    • 1991
  • 제주산 온주밀감의 CA저장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정한 환경가스조성(0,10%, $CO_2$ 2%), 온도 $2{\pm}0.5^{\circ}C$ 및 습도 $86{\pm}3%$의 조건에서 저장중의 과일의 성상 및 성분의 변화를 대조구와 비교 조사하였다. 대조구는 가스대신에 공기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조건이었다. 111일 저장후 공기구의 부패율은 12.7%이었는데 비해, CA구에서는 3.9%로 매우 낮은 부패율을 나타냈으며, 과일의 외관도 양호했다. 중량 감소는 공기구에서 16.4%, CA구에서 17.4%로 양자사이에 큰 차이는 없었고, 과육율은 공기구에서는 저장후 62일까지는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그후 급격히 감소했다. CA구에서는 공기구보다 다소 낮은 과육율을 나타냈으나 저장말기에 약간 증가했다. 저장기간중 과육의 당도변화는 공기구 및 CA구에서 각각 저장후 23일 및 36일에 최고치에 달한후 감소하였고, 유리산함량은 저장기일이 경과함에 따라서 공기구 및 CA구 모두에서 서서히 감소하였다. 저장기간중의 당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자당, 과당 및 포도당 중에서 자당의 함량이 월등하게 높았으며 이들 당류의 총량의 변화는 공기구쪽이 CA구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했다. 유기산 조성은 구연산이 주된 산이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와 함께 감소하였고, 사과산 및 수산 함량의 변화도 구연산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온주밀감의 저온CA저장은 저온공기저장에 비교하여 과육의 당함량이 다소 낮고, 산함량이 다소 높기는 하지만, 부패율의 억제에 효과적이며 과일 외관도 양호하므로 온주밀감의 저장방법으로써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