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온라인구매의도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3초

언택트 시대 라이브 커머스 이용 활성화 영향요인 고찰: 다차원적 상호작용성, 현장감, 리뷰 신뢰도를 중심으로 (Investigat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Live Commerce in the Un-tact Era: Focusing on Multidimensional Interactivity, Presence, and Review Credibility)

  • 이애리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1호
    • /
    • pp.269-286
    • /
    • 2021
  •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언택트 및 온택트 소비 문화가 확산되면서, 커머스 및 유통 산업에서는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 형태로 고객들과 소통하며 쇼핑이 이뤄지는 '라이브 커머스'가 부상하고 있다. 라이브 커머스는 온라인 쇼핑의 편의성을 누리는 동시에 마치 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구매하듯이 방송진행자와 실시간 소통하며 언택트 쇼핑을 보다 현실감 있게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앞으로 그 이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브 커머스의 특징을 기반으로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구매의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도출하고 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라이브 커머스의 특징으로 강력한 상호작용성, 리얼한 현장감, 상품에 대한 신뢰도 높은 상세한 리뷰 제공에 초점을 두고 이들 요인들을 다차원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라이브 커머스 실 사용자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라이브 커머스의 이용 활성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언택트 시대 새롭게 변화된 커머스 환경에서의 지식경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용화된 스마트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도 (A Study on Consumer Acceptance toward the Commercialized Smart Clothing)

  • 채진미;조현승;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2권2호
    • /
    • pp.181-19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TAM을 적용하여 혁신적인 의류 제품인 스마트 의류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수용의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용화된 스마트 의류 제품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의 수용도에 대한 연구모형을 수립하였고,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각 구성 요인 간의 관계에 대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그 경로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과 스마트 의류 수용과정의 경로를 검증하기 위한 공분산 구조모형을 구성하였고, AMOS 5.0 package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통해 얻은 557부의 유효 표본을 분석하였다. Davis(1989)가 제안한 TAM에, 스마트 의류 제품들의 판매 가격을 고려한 지각된 가치 변수를 적용하여 스마트 의류의 수용과정을 설명한 결과 모형의 적합성을 입증하였으며, 8개의 경로가설 중 6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밝혀져 채택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유용성을 거쳐 태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태도는 다시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유용성은 지각된 가치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마트 의류의 수용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각된 가치가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와 수용의도에 둘 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혁신특성과 사용자특성이 전자책 수용에 미치는 영향 : 혁신저항모형을 중심으로 (Effects of Innovation Characteristics and User Characteristics on the Adopting e-Books : Focused on Innovation Resistance Model)

  • 윤수경;김명지;최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61-73
    • /
    • 2014
  • 기존의 전자책 연구들이 이용과 충족 이론과 기술수용모형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반면, 본 논문은 전자책의 확산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을 혁신저항모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혁신특성으로 상대적 이점, 적합성, 복잡성을, 사용자특성으로는 혁신에 대한 태도, 기존제품(종이책)에 대한 태도를 변수로 도출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해 각 변수들이 혁신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혁신저항과 수용의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복잡성과 기존제품(종이책)에 대한 태도가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이었고, 혁신저항은 수용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전자책의 구매에서부터 독서 경험 전 과정의 용이성을 높이는 데 주력해야 하며, 종이책의 사용경험과 차별화 되는 전자책 고유의 상호작용적 기능과 특성을 개발하고 부각해야 한다.

숏폼 비디오 콘텐츠의 특성이 패션 제품 온라인 구전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 세대를 중심으로 - (How Short-form Videos Influence Customer Intention Toward Fashion Product Purchase and e-WOM - Focusing on Generation Z -)

  • 박지영;고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90-703
    • /
    • 2023
  • With the emergence of digitalization and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hose caused by COVID-19 and high-speed networks, online video platforms have changed how people communicate and created new marketing opportuniti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obile short-form videos are causing more people to consume and produce diverse content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e study focuses on two story types (product essential and relative information)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hort-form videos for fashion marketing. This study verified the influence of the common traits of short-form video content (informativeness, expertise, familiarity, and playfulness) on fun, e-WOM, and purchase inten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fun using video samples categorized by story type. In this study, 300 Gen Z men and women responded to a survey after watching a 30-second short-form video sample. All the traits of short-form video conten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un. Moreover, all the traits excluding play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e-WOM and purchase intention as well. Fun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e-WOM and purchase intention as well 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insight and reference for planning short-form video market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ashion industry.

의류 상품 전시와 상품에 대한 관여도가 미국 온라인 소비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pparel Product Presentation on Consumer Responses in U.S. Online Retailing)

  • 유정민;샤론레논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1-51
    • /
    • 2014
  • 본 논문은 의류 상품 전시와 상품에 대한 관여도가 소비자의 인지, 감성적 반응,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의류 상품 전시의 세 가지 종류(모델 없이 펼쳐놓은 의류 상품 전시 vs. 모델, 얼굴이 없는 의류 상품 전시 vs. 모델, 얼굴을 포함한 의류 상품 전시)의 집단간 실험 설계를 하였으며 상품에 대한 관여도(관여도 높음 vs. 낮음)를 조절변수로 하였다. 42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모델을 이용한 상품 전시의 효율성이 검증되었으며, 의류 상품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소비자들은 관여도가 낮은 소비자들에 비하여 모든 상품전시에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실험적인 증거를 통하여 이론적인 통찰력을 제시하였으며, 의류 소매 업체에 유용한 지식을 제시하였다.

인터넷 검색기록 분석을 통한 쇼핑의도 포함 키워드 자동 추출 기법 (A Methodology for Extracting Shopping-Related Keywords by Analyzing Internet Navigation Patterns)

  • 김민규;김남규;정인환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2호
    • /
    • pp.123-136
    • /
    • 2014
  • 최근 온라인 및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사용이 확산됨에 따라 온라인을 통한 쇼핑구매가 더욱 활성화 되었다. 때문에 인터넷 쇼핑몰들은 쇼핑에 관심이 있는 잠재 고객들에게 한 번이라도 더 자사의 링크를 노출시키기 위해 키워드에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검색 광고 시장의 광고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이 때 키워드의 가치는 대체로 검색어의 빈도수에 기반을 두어 산정된다. 하지만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어로 자주 입력되는 모든 단어가 쇼핑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며, 이들 키워드 중에는 빈도수는 높지만 쇼핑몰 관점에서는 별로 수익과 관련이 없는 키워드도 다수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 키워드가 사용자들에게 많이 노출된다고 해서, 이를 통해 구매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하여 해당 키워드에 많은 광고비를 지급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인 방식이다. 따라서 포털 사이트의 빈발 검색어 중 쇼핑몰 관점에서 중요한 키워드를 추출하는 작업이 별도로 요구되며, 이 과정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자동화 방법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포털 사이트에 입력된 키워드 중 쇼핑의도를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키워드만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구체적으로는 전체 검색어 중 검색결과 페이지에서 쇼핑과 관련 된 페이지로 이동한 검색어만을 추출하여 순위를 집계하고, 이 순위를 전체 검색 키워드의 순위와 비교하였다. 국내 최대의 검색 포털인 'N'사에서 이루어진 검색 약 390만 건에 대한 실험결과, 제안 방법론에 의해 추천된 쇼핑의도 포함 키워드가 단순 빈도수 기반의 키워드에 비해 정확도, 재현율, F-Score의 모든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 이용자의 광고 회의주의와 광고 회피 현상에 대한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dvertising Skepticism and Avoiding of Youtube Users based on Media Platform)

  • 선민재;김준석;나운봉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61-76
    • /
    • 2020
  • 미디어 환경이 급변하면서 온라인 광고 시장의 규모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성장세에 비해 소비자들의 온라인 광고에 대한 신뢰도는 기존 매체보다 매우 낮은 편이며 광고 회피 현상도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광고 회피의 요인에는 매체, 광고의 유형, 소비자의 특성 등이 있으며 그중에서도 소비자의 광고 회의주의에 대한 영향력이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큰 규모의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와 광고주에게 광고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광고 회의주의를 중심으로 광고 소구, 관여도, FCB Grid 이론을 적용했으며 소비자의 광고 회피를 낮출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Kobaco의 2차 자료를 활용했으며 연구 2에서는 1차 자료의 Process macro 조절 회귀분석을 통해 광고 회의주의가 광고 태도 형성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또, FCB Grid 모델에서 ANOVA 분석을 통해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에게 어떤 광고 유형이 긍정적인 광고 태도를 나타내는지 측정하였다. 연구 1의 결과 광고 회피도가 높은 소비자는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제품에 대한 태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지는 않았지만 연령이 높아지고, 온라인 동영상 시청시간이 낮아질수록 광고 회피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의 결과 감전전이 소구가 정보 소구보다 광고 태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 회의주의와 관여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관여도가 낮고, 감정전이 소구가 높은 상황일 때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의 광고 태도가 낮은 소비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FCB Grid 모델에서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은 저관여와 고관여 제품에서 감정전이 소구 방식의 광고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와 광고주들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광고 회피 현상의 요인인 광고 회의주의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며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광고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가치, 신뢰, 이용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충동구매 성향 수준의 조절 효과 (Relationships among Value, Trust and Intention to Use in Online Shopping Malls : Moderating Effects of Levels of the Propensity to e-Impulsive Buying)

  • 임세헌;이성호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9권2호
    • /
    • pp.79-96
    • /
    • 2012
  • Thanks to the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e-commerce transactions are rapidly developing. Consumers searched and purchased for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e-commerce transactions and felt excitement and satisfaction through shopping behaviors in online shopping malls. The enlargement of company's marketing efforts and consumer tastes of the uncontrolled consumption for goods and services increased the impulsive purchase in online shopping malls. In diffusing consumers' e-impulse buying, consumers increased in expenditures according to unnecessary purchasing behavior in online shopping malls. However, enterprises increased sales and benefits due to consumers' impulse buying in online shopping malls. Accordingly, in research areas of enterprises and consumers levels, the studies of e-impulse buying will provide significant values for marketers of compan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intention to use, trust, and value in online shopping malls. And we also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e-impulse buying with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to establish trust in online shopping mall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hedonic and utilitarian value should have a positive impact trust and trust should have a positive impact intention to use in the online shopping malls. The e-impulsive buying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donic value and trust in online shopping malls. The e-impulsive buying didn't show, however, a moderating effect on the between utilitarian value and trust in online shopping ma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e-commerce strategies.

소비자 특성이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인터넷쇼핑몰 사용자를 중심으로- (Effects of Consumer's Characteristics 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of On-line Shopping Mall -Focusing on Chinese Users of Internet Shopping Mall-)

  • 박혜령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501-50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 characteristics as internal inclination on the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of on-line shopping mall. Two hundred sixty subjects, who were living in Shanghai, China and were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for questionnaire. The effective two hundred forty four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nduct reliability tests for internal consistency and multiple regressions for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ith SPSS 10.0.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on-line shopping experience, consumer innovation, consumer risk and the trust of on-line shopping mall, however, it didn'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nvenience shopping orientation and the trust of on-line shopping mall. Also, It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on-line shopping experience, consumer innovation and the distrust of on-line shopping mall, however, it didn'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risk, convenience shopping orientation and the distrust of on-line shopping mall. It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intension, the consumer risk and on-line shopping experience which appeared a high trust in on-line shopping mall, however, it didn'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intension and consumer innovation which appeared a high distrust.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in China it is decreasing to purchase through the internet shopping mall every year because the group of consumer innovation, which most of internet users in China belong to it, distrusts the internet shopping mall.

언어분석을 이용한 광고효과 탐색연구 : KLIWC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Using Linguistic Analysis: Focused on KLIWC)

  • 유연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407-42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광고평가글을 이용해 광고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을 통해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 384명을 대상으로 고관여와 저관여 제품의 긍 부정 평가 광고에 대한 광고평가를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고, 광고평가글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작성된 광고평가글을 KLIWC으로 분석하여 긍 부정 평가 광고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심리사회적 변인들 중 17개 변인들에서 긍 부정 광고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9개의 언어학적 변인들에서 긍 부정 광고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긍정정서, 부정정서, 제한, 확신, 신체상태와 기능, 수면/꿈 등은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광고평가글이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반응을 반영하고, 광고평가글을 통한 광고효과 측정이 가능함을 시사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