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도센서

Search Result 2,02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f Methods to Detect Heated Glass Temperature (발열유리 온도검지 방법에 대한 연구)

  • Lee, Su-Hyeong;Kim, In-Dong;Nho, Eui-Cheol;Choi, Chang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526-527
    • /
    • 2013
  • 기존의 발열유리 온도 제어 방법은 PTC Type 또는 NTC Type 의 온도센서를 발열유리에 부착하여 발열유리온도를 검지하여 제어를 한다. 온도센서가 발열유리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온도센서박스 및 온도센서용 통신선로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외관과 시야가 나빠진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실내의 온도와 실외의 온도를 검지하여 유리 표면에 온도센서가 부착하지 않은 발열유리 온도제어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실내에서 전열기로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온도센서리스 방식의 발열유리 온도제어시스템에 관한 연구 및 실험을 하였다.

  • PDF

A High Accuracy and Fast Hybrid On-Chip Temperature Sensor (고정밀 고속 하이브리드 온 칩 온도센서)

  • Kim, Tae-Woo;Yun, Jin-Guk;Woo, Ki-Chan;Hwang, Seon-Kwang;Yang, Byung-D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9
    • /
    • pp.1747-1754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 high accuracy and fast hybrid on-chip temperature sensor. The proposed temperature sensor combines a SAR type temperature sensor with a ${\Sigma}{\Delta}$ type temperature sensor. The SAR type temperature sensor has fast temperature searching time but it has more error than the ${\Sigma}{\Delta}$ type temperature sensor. The ${\Sigma}{\Delta}$ type temperature sensor is accurate but it is slower than the SAR type temperature sensor. The proposed temperature sensor uses both the SAR and ${\Sigma}{\Delta}$ type temperature sensors, so that the proposed temperature sensor has high accuracy and fast temperature searching. Also, the proposed temperature sensor includes a temperature error compensating circuit by storing the temperature errors in a memory circuit after chip fabrication. The proposed temperature sensor was fabricated in 3.3V CMOS $0.35{\mu}m$ process. Its temperature resolution, power consumption, and area are $0.15^{\circ}C$, $540{\mu}W$, and $1.2mm^2$, respectively.

High sensitive temperature sensor using side-polished single mode fiber to thermo-optic polymer planar waveguide couplers (측면연마된 단일모드 광섬유와 열광학폴리머 평면도파로 결합기를 이용한 고감도 온도센서)

  • 김상우;정웅규;장수원;강경목;이종훈;송재원;이승하;김광택;강신원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12-13
    • /
    • 2000
  • 광섬유형 센서는 전자기 간섭에 강하고 높은 감도와 원거리측정 등의 장점이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온도센서의 경우 다양한 구조의 센서 구현이 용이하고 넓은 온도범위에서의 측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광섬유형센서는 대부분 온도변화를 물리량의 변화로 감지하기 때문에 작은 온도의 감지에는 구조적인 한계를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1]}$ . 본 논문은 이러한 점을 인지한 측면연마된 광섬유와 평면도파로 결합기형 고감도 온도센서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의 감지를 열광학 평면도파로의 열광학계수에 의존하기 때문에 물질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온도감도 조절과 높은 분해능을 가지는 센서의 구현이 가능하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Overheat Inspecting System for Power Transformer using Fiber Bragg Grating Temperature Sensor (FBG 온도센서를 이용한 전력용 변압기 파열감시 시스템 연구)

  • Kim, Woo-Jin;Park, Hyoung-Jun;Song, Min-Ho;Lee, June-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a
    • /
    • pp.169-170
    • /
    • 2006
  • 대형화, 고압화되고 있는 전력설비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에 수반되는 산업, 경제, 사회적인 손실의 규모가 매우 커지는 경향을 가진다. 특히 적정온도 이상에서의 운전은 전력설비의 오동작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므로 비정상적인 온도상승을 조기에 감지하여 사고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시스템의 개발은 안정적인 전력설비 운용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기술이다. 기존의 감시 시스템은 대부분 여러 위치의 정보를 동시에 얻기 위하여 여러 개의 개별 센서를 배열하여야하므로 대형중량화가 불가피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광섬유 FBG 온도센서는 전자기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여러 개의 센서를 하나의 광섬유 라인에 설치하여 동시에 여러 부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준분배형 온도센서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과열감시 시스템에 적합한 센서로 인식된다. 본 연구에서는 광섬유 FBG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변압기 단락시험을 통해 변압기의 온도 변화를 T-type thermocouple(이하 TC)과 동일한 지점에서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광섬유 FBG 온도센서 시스템의 신뢰성을 검증하였고, 이를 전력용 변압기 과열감시 시스템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emperature Sensor Calibration System Using Cryocooler (극저온 냉동기를 이용한 온도센서 교정시스템 개발)

  • Kim, Myung Su;Choi, Yeon Suk;Kim, Dong La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7 no.1
    • /
    • pp.87-93
    • /
    • 2013
  • The selec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in a cryogenic system depends on the temperature range, shape, and accuracy. An accurate temperature sensor is essential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an experiment. We have developed a calibration system for cryogenic temperature sensors using a two-stage cryocooler. To reduce the heat load, a thermal shield is installed at the first stage with multiple layer insulation (MLI). We have also developed a sensor holder for calibrating more than 20 sensors simultaneously in order to save time and reduce costs. This system can calibrate sensors at variable temperatures via temperature control using a heater.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calibration system and a representative experimental result.

A Fiber Temperature Sensor using Prism & Thermochromic Planar Waveguide Materials (프리즘과 열변색성 물질의 평면도파로로 구성된 광섬유형 온도 센서)

  • 조강민;서규원;윤종국;이동록;강신원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196-197
    • /
    • 2003
  • 광섬유형 센서는 전자기적 간섭에 강하고 높은 감도와 원거리 측정 등의 장점뿐만 아니라 낮은 삽입 손실, 높은 기계적인 신뢰성, 원거리 측정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광통신 기술뿐 아니라 기초과학및 응용 과학분야의 계측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온도센서의 경우 센서의 재료가 온도에 견디는 정도에 따라 측정범위가 좌우되므로 광섬유형 센서의 경우 넓은 온도범위에서 측정이 가능하며 다양한 구조의 센서구현이 용이하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an Optical Fiber and a Thermal Sensor Cable for Temperature Monitoring (온도 모니터링을 위한 광섬유 센서와 온도센서 배열 케이블의 비교 연구)

  • Kim, Jung-Yul;Song, Yoon-Ho;Kim, Yoo-S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3 no.4
    • /
    • pp.15-24
    • /
    • 2007
  • Two kinds of temperature monitoring technology have been introduced in this study, which can measure coincidently temperatures at many points along a single length of cable. One is to use a thermal sensor cable comprizing of addressable thermal sensors. The other is to use an optic fiber sensor with Distributed Temperature Sensing (DTS) system. The differences between two technolog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thermal sensor cable has a concept of "point sensing" that can measure temperature only at a predefined position. The accuracy and resolution of temperature measurement are up to the capability of the individual thermal sensor. On the other hand, an optic fiber sensor has a concept of "distributed sensing" because temperature is measured practically at all points along the fiber optic cable by analysing the intensity of Raman back-scattering when a laser pulse travels along the fiber. Thus, the temperature resolution depends on the measuring distance, measuring time and spatial res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wo different temperature monitoring techniques in technical and economical sense. To this end, diverse experiments with two techniques were performed and two techniques are applied under the same condition. Considering the results, the thermal sensor cable will be well applicable to the assessment of groundwater flow, geothermal distribution and grouting efficiency within about loom distance, and the optic fiber sensor will be suitable for long distance such as pipe line inspection, tunnel fire detection and power line monitoring etc.

Calculation of Bed Change Depth using Temperature Sensors (온도 센서를 활용한 하상 변동고 산정)

  • Ahn, Myeonghui;Ji, 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74-274
    • /
    • 2018
  • 최근 지표수-지하수 혼합대 흐름은 하천의 지형학적 및 생태학적으로 그 중요성이 인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혼합대 흐름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 중 하상형태 변화는 혼합대 흐름의 체류시간 및 이동경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하상형태는 혼합대 흐름 특성 분석을 위한 수리학적 변수로 활용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지형측량 장비를 활용하여 종횡단으로 하상형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최근 온도 센서를 활용하여 장기간 하상형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하상변화를 예측하는 방법은 하상변화 측정의 지속성 및 효율성을 고려한 적절한 측정 방법 중 하나이다. 온도 센서를 활용한 하상변화 예측 방법은 하상에 온도 분포 센서를 설치한 후 하상 온도 및 수온을 일정한 간격으로 장기간 측정하여 기존에 제시된 공식을 통해 시간에 따른 하상 변동고를 산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온도 분포 센싱을 활용한 계측방법은 하천에서 발생하는 침식 및 퇴적의 시간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데 매우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온도 분포 센서를 활용하여 시간에 따른 하상형태 변화를 계측하고, 측정 결과는 하상형태에 따른 혼합대 흐름체류시간 및 이동성 분석을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도 센서를 활용하여 하상형태 예측 및 하상 변동고를 산정하기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하천실험센터 급경사수로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하상 온도와 수온을 약 72시간 측정하였고 유량을 공급하기 전과 후에 Total Station으로 지형 측량을 수행하였다.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결과로 하상 변동고를 산정하였고 이를 Total Station으로 측량한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하상 온도와 수온의 시간에 따른 변화 패턴을 확인하였다.

  • PDF

Thermal fixing of multiple holographic gratings in magnesium oxide doped lithium niobate crystal: erratum

  • Yi, Seung-Woo;Cha, Sung-Do;Shin, Seung-Ho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v.1 no.2
    • /
    • pp.120-120
    • /
    • 1997
  • 광섬유 Fabry-Perot 간섭계를 센서로 하는 TDM 다중화 광섬유 압력/온도 센서시스템을 개발하고,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위와 온도 측정실험을 행하였다. 측정시스템의 측정속도는 측정데이타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 최대 초당 4500회이며, 센서의 응답속도는 ~1 ms로 추정된다. 압력센서와 온도센서의 특성은 이론적 추정치와 비교하여 각각 +13.7%,-18%의 차이를 보였으며, 반복실험을 통하여 선형화한 후의 선형화 오차는 1%이내, 온도의 변화가 0.1$^{\circ}C$이내 일 때 수위측정의 오차는 $\pm$0.3cm이며, 수위측정에 대한 시스템 잡음은 측정하지 않았다. 온도센서의 시스템 잡음은 0.1$^{\circ}C$이내였으며,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위 및 온도 변화량에 대한 고속 측정실험을 수행할 결과 예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emperature Compensation of Hot-film Flow Sensor (박막 히터형 유량센서의 온도보상)

  • Kim, Hyung-Pyo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
    • v.9 no.4
    • /
    • pp.268-273
    • /
    • 2000
  • This paper represents a hot-film flow sensor which is compensated by a noble temperature compensation method using the initial unbalanced voltag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nsor is determined by using the graph of the initial unbalanced voltage of an open-loop circuit against the air temperature. The compensation is accomplished by applying the unbalanced ratio of the resistors in the Wheastone bridge circuit. In the range of air temperature of $-20^{\circ}C{\sim}120^{\circ}C$, the error is about ${\pm}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