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옥상 녹화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25초

역지붕 녹화옥상시스템[KICT-GRS2004]의 우수유출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Effluence Characteristic of the Rainfall in the IRMA Green Roof System of KICT)

  • 장대희;김현수;이건호;문수영
    • KIEAE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1-1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and analysis of Effluence Characteristic of the Rainfall in the IRMA Green Roof System(developed in KICT) Plus 50 program is an internal research project at KICT(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which has it as an object ; to lengthen the building's life 50-year or more and reduce energy conception 50% than present. Green roof 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me in the Plus 50 program. Generally, a Green Roof Syste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hermal conductivity in winter, the micro cooling effect on building and city by evaporation in summer, the flood-control effect by runoff-reduction or the treated rainwater-quality of green roof system and so on. However, inspection of the physical effect of green roof system does not consider in Korea. Above all, long-term monitoring and a whole observation of green roof system is needed to probate the effect. So a new experimental method could be tried in this research, which is never attempted in Korea. The measurement by a bucket with a great volume, 1L, gives a new dimension of measuring green roof effect to measure the permanent running flood from a wide roof. This offers a reasonable result on a long-term measuring of a running water. Additionally, the thermal behavior of the IRMA(Insulated Roof Membrane Assembly), known in the western europe as a reasonable solution at green roof system by economical benefits and easy construction, would be experimented.

저관리형 옥상녹화를 위한 상록 지피식물의 내한성 평가 (Cold Tolerance Assessment of Ever Ground-cover Plants for Extensive Green Roof System)

  • 조홍하;이홍;손희준;강태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27-134
    • /
    • 2012
  • 이 연구는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시스템을 위한 내한성 식물 선발을 목적으로 6종 식물을 대상으로 저온 처리시간과 온도에 따라 전해질 용출 평가와 재생 검사를 연구하였다. Logistic 비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전해질 용출 평가를 통하여 치사 온도는 $-16.1{\sim}-24.4^{\circ}C$ 범위로 예측되었으며, 저온에 대한 저항성은 Sedum reflexum > S. spurium > Ophiopogon japonicus > S. album > S. takevimense > Dianthus chinensis의 순으로 나타났다. 2012년 2월 최저 온도인 $-13.4^{\circ}C$에 모든 식물의 전해질 용출은 50% 이하로 나타났으며, 겨울철 최적기온 $-13.5^{\circ}C$ 이상의 지역에서 식물들을 옥상에서 안정적으로 생육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옥상녹화의 녹화유형별 기온저감효과 및 시민의식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by the Types and Public Awareness of the Green Roof)

  • 이춘우;김수봉;문혜식;전은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16-320
    • /
    • 2009
  • Recently, concerns about conserving proper size of urban green spaces and accessibility are increasing, regarding it as a solution to diverse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pollution, ecosystem deterioration, urban climate change. Artificial ground greening such as green roofs is regarded as the only alternative that can conserve green spaces which are impossible to be secured on the ground. However, green roofs are not popularized yet and levels are very low in provincial cities despite of related technology development and support systems of related agencies. Based on the background, this study tries to present a theoretical basis of methods for green roofs, conducting green roof simulations and collecting ideas about problems and improving measures from green roof users. Finally, it aims to offer base data which help establish policy direction for activation of green roof technology. As a result of a simulation for verifying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it was possible to affirm effect of a plot that green roofs applied. Especially, it was revealed that a green roof method using ground covers such as mixed planting was the most effective way to reduce temperature. Activation methods for green roof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priority to readjust systems related to green roofs. Second, citizens'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must be attained. Thir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detailed promotion procedures which aim at actual conduct and to maintain an expert department which is able to manage and control the establishment. After conduct, continuous aftercare stages are also needed.

  • PDF

경량형 옥상녹화에 따른 열부하 저감 잠재성 연구 (Reduction Potential for Thermal Load by Extensive Green Roofs)

  • 김연미;남미아;장대희;김현수;김현옥
    • KIEAE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67-77
    • /
    • 2013
  • Based on the increasing demand for a solution to reduce thermal load, extensive green roofs have great opportunity for application to existing roofs due to their light-weight and easy maintenance. The present study delivers data regarding thermal behavior and heat reduction potential in relation to vegetation coverage between green roof types. 1) In the hottest hour in a day, green roofs showed considerable potential to mitigate heat load in roof environments, which can be up to $10^{\circ}C$ difference. 2) Compared to conventional cement roofs, the extensive green roofs only have a slight potential to cool the air over green roofs. By statistical analysis of linear regression, green coverage has little to do with the reduction of air temperature; the cooling effect was proven only in nighttime. 3) Green roofs act as an insulating roof membrane, the inner substrate of green roofs remained cooler than cement roof surfaces in the daytime, but in the nighttime the green roofs generally were warmer than the cement roof surfaces. 4) The variable of vegetation coverage resulted i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rmal behavior in the air, but had the greatest effect in keeping the substrate cool in the daytime. The high vegetation coverage also hindered the rapid cooling of the substrate in the nighttime, and therefore was warmer than other measured temperatures. In order to draw a clear conclusion to combat urban heat island effect with extensive green roofs, the experiment needs to be applied on a larger scale.

Green Roof System의 다양한 성능 추구를 위한 공법 제시 및 성능 비교 실험 연구 (A Study of the Proposes of GRS Prototype for various purpose achievement and it's Efficiency Comparative Experiment)

  • 장대희;김현수;이건호;박창영
    • KIEAE Journal
    • /
    • 제6권2호
    • /
    • pp.59-66
    • /
    • 2006
  • Green Roof Systems are embossed that realize ecological architecture as a substantially alternative plan. So, a Purpose of the study is seeking to optimize expectation effect through the Green Roof System. we set possible object and propose the prototype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Green roof System technologies. We visualize a proposed Prototype apply various materials and methods. and we analyse the effects of Green Roof System upon our City climate with use energy efficiency comparison the Green roof system with the Concrete Rooftop. We'll Provide the low data for The prospects of City climate improvement through the a ripple effect on Green Roof System and for activation of Green Roof Technology.

패널형 입면녹화의 시각적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Satisfaction of a Panel-type Facade Planting)

  • 한승호;김선혜;송규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53-59
    • /
    • 2008
  • 도시가 산업화 되어가면서 도심의 토지이용이 과밀화되고 건축물의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건축물 녹화가 옥상 및 벽면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조성되고 있으며, 입면녹화의 경우 건물이 고층화 되면서 입면적이 넓어 벽면녹화가 도심에서 효과적인 녹화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패널타입의 녹화수법은 조기 녹화와 설치 시공의 편리함으로 점차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패널타입에 대 한 연구는 대부분 식생 하부 시스템이나 관수시스템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경관 중심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널형 입면녹화의 경관평가를 통하여 선호요소를 추출하고자 한다. 설문은 패널형 입면녹화가 설치된 장소의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직접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자연스럽다는 형용사에서 3.8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났다. 이는 옹벽이나 건축물 벽면이 드러나는 것보다 녹화를 하는 것이 이용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친근한(3.70), 편안한(3.65), 아름다운(3.65), 안정감 있는(3.50)가 긍정적인 경관이미지로 나타났다. 반면 정적인, 적막한, 소박한, 무거운, 우중충한, 어두운, 지저분한의 부정적 경관 이미지가 나타났는데, 이는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패널형 입면녹화의 개발과 보급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SWMM 모형을 이용한 LID 요소기술의 공간적 분포에 따른 우수유출특성 분석 (Analysis of Stormwater Runoff Characteristics for Spatial Distribution of LID Element Techniques using SWMM)

  • 연종상;장영수;이재혁;신현석;김응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983-3989
    • /
    • 2014
  • 도시화로 인한 도심유역 내 강우유출양상이 개발이전과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도심유역 내 강우유출량을 저감하기 위해 집중형 유출 저감 시설이 시행되어왔다. 그러나 시설의 한계점 때문에 분산형 유출 저감 시설인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의 계획 및 적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LID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공간적 분포에 따른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유역은 동일한 유역 및 우수배수 특성을 지닌 5개의 소유역으로 구성하였고, 대표적인 LID 요소기술로 선정된 옥상녹화와 투수성 포장의 적용위치 및 개수에 따른 2개의 시나리오에 대한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SWMM 모형적용 결과, 적용 소유역 1개당 옥상녹화의 경우 총 유출량은 11.07%, 첨두 유출량은 3.42% 저감되었으며, 투수성포장의 경우 총 유출량은 18.09%, 첨두 유출량은 17.94% 저감되었다. 이와 같은 감소율은 적용 LID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하였고, 적용 LID의 개수에 따라 정비례하게 증가하였다. 옥상녹화와 투수성 포장에서 유출특성 저감률의 발생 차이는 각 방법의 매개변수인 수리전도도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 물 문제 저감을 위한 회복탄력적 사회기반시설 구축: 1. 도시 홍수 문제 구조적 대안의 내구성 평가 (Establishment of Resilient Infrastructures for the Mitigation of an Urban Water Problem: 1. Robustness Assessment of Structural Alternatives for the Problem of Urban Floods)

  • 이창민;정지현;안진성;김재영;최용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2호
    • /
    • pp.117-125
    • /
    • 2016
  • 도시 내 인구집중과 기후변화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도시 물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한 피해 예방과 사회적 손실 최소화를 위해 회복탄력적인 대안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 물 문제 저감을 위한 회복탄력적 사회기반시설 구축 전략 수립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대표적인 도시 물 문제 중 하나인 도시홍수를 사례로 하여 구조적 대안의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내구성 평가를 위한 지표로 내구성 지수 (robustness index, RI) 및 비용지수 (cost index, CI)를 결합한 내구성-비용지수 (robustness cost index, RCI)를 제안하고, 이를 강남역 상습침수구역에 적용하여 기존 기반시설과 구조적 대안 (하수관거 확충, 저류조 설치, 옥상녹화)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2~20년 빈도의 강우강도범위에서 저류조와 옥상녹화설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RCI 값을 나타내었고 두 대안 중 RCI가 보다 높은 대안은 강우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30년 빈도 강우강도에 대하여는 저류조와 옥상녹화를 병용 설치하는 대안이 가장 높은 RCI 값을 나타내어 가장 회복탄력적인 대안으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재해의 계획규모에 따른 현행 사회기반시설의 내구성 평가 및 최적의 구조적 대안 선택 절차를 수립하여, 도시홍수 문제에 대한 회복탄력적 사회기반시설 구축 전략을 제시하였다.

옥상녹화와 비 옥상녹화 평지붕에 설치 된 PV모듈의 표면온도 변화 고찰 (Study on Surface Temperature Change of PV Module Installed on Green Roof System and Non-green Roof System)

  • 유동철;이응직;이두호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4-219
    • /
    • 2011
  • Today, various activities to save energy are being conducted around the world. Even in our country, carbon reduction policy is being conducted for low carbon green growth and with this movement, effort to replace energy sources by recognizing the problems on environment pollution and resource exhaustion due to the indiscrete usage of fossil fuel is being made. Therefore, active study on renewable energy is in progress as part of effort to replace the energy supply through fossil fuel and solar ray industry has rapidly developed receiving big strength of renewable energy polici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change of single crystal and polycrystalline PV module in green roof system and non-green roof system aspect are as follows. There was approximately $4^{\circ}C$ difference in PV module temperature in green roof system and non-green roof system aspect and this has the characteristic to decrease 0.5% when the temperature rises by $1^{\circ}C$ when the front side of the module is $20^{\circ}C$ higher than the surrounding air temperature following the characteristic of solar cells. It can be concluded that PV efficiency will be come better when it is $4^{\circ}C$ lower. Also, in result of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module back side, there was $5^{\circ}C$ difference of PV module installed on the PV module back side and green roof system side on the 5th, $3^{\circ}C$ on the 4th, $2^{\circ}C$ on the 5th to show decreasing temperature difference as the air temperature dropped, but is judged that there will be higher temperature difference due to the evapotranspiration latent heat effect of green roof system floor side as the temperature rises. Based on this data,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reference to maximize efficiency by applying green roof system and PV system when building non-green roof system flat roof.

  • PDF

저영향개발기법이 도시 유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on Urban Runoff)

  • 김희수;정건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7-316
    • /
    • 2021
  • 도시개발의 지나친 진행에 따라 불투수면의 증가로 인해 유출이 증가되어 도시 홍수에 대한 우려가 증가되고 있으며, 도시 유역의 물순환을 개발 이전과 같은 상태로 되돌리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이를 위한 노력으로 저영향 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술이 저류, 침투, 증발산과 같은 기작을 통해 도시개발 전후의 수문 현상을 모사하기 위해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LID를 실제 유역에 도입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소유역에 강우-유출 수문모형인 SWMM의 모의를 통해 LID를 적용하여 목표로 유출량 저감 효과를 시나리오 별로 분석 및 평가하였다. SWMM-LID 모형을 가산1빗물펌프장 유역을 대상으로 구축하였으며 옥상녹화와 투수성 블록 포장 기법을 기법별 정성평가를 통해 유역에 적용할 LID 기법으로 선정하였다. SWMM내에서 저류 및 침투를 통한 총 유출량 감소 효과를 위해 설정되어야 하는 각 인자들을 설계 하였으며, 6가지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모의한 결과, 투수성 포장에 의한 저감 효과가 옥상녹화에 의한 저감 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향후 유역의 특성에 맞는 LID 시설의 설계가 필요하며, 특히 서로 영향을 미치는 하천이나 지하수위 등 도시 수자원 요소들은 전체 시스템에서 고려할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