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차전파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38초

충격성 잡음에 강인한 가변 망각인자 칼만 시변 주파수 추정기법 (Kalman based time-varying Spectral estimation using Variable Forgetting Factor robust to impulsive noise)

  • 김한수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2호
    • /
    • pp.165-16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충격성 잡음에 강인하기 위한 시변 주파수 추정 기법을 제안하였다 충격성 잡음에 강인하기 위해서는 충격성 잡음에 의한 추정 변수의 동요를 제한하고 추정된 오차가 향후 추정시 영향을 미치는 오차의 전파현상을 제한하여야 한다. 충격성 잡음에 의한 추정오차의 전파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망각인자의 도입이 필요함을 증명하였고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가변 망각인자를 도입하였다. 가변 망각인자의 도입으로 충격성 잡음에 의한 오차의 전파를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며 충격성 잡음에 의한 추정계수의 변동은 영향함수 측면에서 Huber함수를 이용하여 제한하였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Huber함수와 가변망각인자의 도입으로 충격성 잡음에 의해 생기는 오차의 크기와 오차의 영향이 전파되는 것을 적응적으로 제한하기 때문에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의 칼만 알고리듬보다 나은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반도 전리층에서의 전파 전파연구 (A STUDY ON THE RADIO PROPAGATION IN THE KOREAN IONOSPHERE)

  • 배석희;최규홍;육재림;김홍익;민경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69-88
    • /
    • 1992
  • 전파 전파에 있어서 전리층의 영향은 산란, 감쇄, 각오차, 위치오차, 및 시간 지연등이다. 적당한 전리층 조건 아래서 하전입자는 전파로 부터 에너지르 뺏어 전파 감쇄의 원인이 되게 한다. 또한 전자밀도가 균일하지 않은 경로를 따라 전파가 전파되는 경우, 전파 방향, 위치, 전파 시간등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1985년 1월 부터 1989년 10월까지 전파연구소에서 관측된 국내 전리층 관측자료를 토대로 Chapman법칙에 따른 전리층 모델을 정립 하였으며, 이로부터 전파 전파에 있어서 각 오차, 위치 오차, 시간 지연, 및 감쇄등을 주파수와 위성의 고도에 따라 고찰하여 보았다.

  • PDF

오차 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파신호 추적 연구 (A Study of Radio Signal Tracking using Error Back Propagation)

  • 김홍기;김현빈;신욱현;이원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226-229
    • /
    • 2001
  • 전파신호의 추적은 국방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가지 기술 발전을 이루고 있다. 특히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경되는 PRI 및 주파수를 갖는 전파에 대해서는 Adaptable한 추적 능력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하게 변하는 PRI 및 주파수 변경 신호들에 대해 지능적으로 적응해 가면서 추적할 수 있는 추적 방식을 제안하고 이를 실험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신경회로망의 오차 역전과 알고리즘을 이용한 방법으로, 모의 전파 신호를 시간 구간으로 나누어 학습하였고 이에 대한 성능 테스트를 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전파 신호를 효율적으로 추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과거 TLE정보를 활용한 새로운 TLE정보 생성기법 (New TLE generation method based on the past TLEs)

  • 조동현;한상혁;김해동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881-89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인공위성의 궤도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미국 합동우주관제센터(JSpOC, Joint Space Operation Center)의 TLE(Two Line Element) 정보에 대한 SGP4(Simplified General Perturbations 4) 모델의 장기 궤도예측 오차를 줄이기 위해 과거의 TLE 정보들을 이용한 보상기법을 적용하여 새로운 TLE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과거 특정 시점에서의 TLE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궤도전파를 한 데이터와 동일기간 동안 미국 합동우주관제센터에서 공개된 모든 TLE를 이용해서 궤도전파를 수행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계산한 궤도잔차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궤도잔차 성분은 SGP4 궤도전파 모델에 의한 궤도오차 증가 경향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궤도오차 보정을 위해 해당 궤도잔차 성분들을 적절한 함수로 표현하였다. 이후, 현재 시점에서 공개된 TLE 정보를 이용한 SGP4 궤도전파 데이터에 해당 잔차함수를 적용함으로써 장기 궤도전파에 따른 SGP4 모델의 궤도오차를 줄일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TLE 정보를 생성하였다. 본 논문에서 일주일의 궤도전파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TLE를 이용한 궤도전파 오차가 4km 정도인 반면 새로운 TLE 생성기법에 의한 궤도전파 오차가 약 2km 수준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공사진(航空寫眞)의 표정해석(標定解析)의 오차전파(誤差傳播)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ropagation of Errors for the Analysis of Orientation in Aerial Photography)

  • 유복모;이계학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81-92
    • /
    • 1982
  • 본(本) 연구(硏究)는 항공사진(航空寫眞)에 의한 3차원(次元) 좌표결정(座標決定)에 있어서 표정단계(標定段階)에서 야기(惹起)되는 오차(誤差)의 전파(傳播)를 고찰(考察)하므로써 위치결정(位置決定)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이해(理解)하고저 하는데 목적(目的)을 두고 있다. 이에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사진상(寫眞上)의 상좌표(像座標)로부터 소요(所要) 절대좌표(絶對座標)를 해석(解析)하는데 필요(必要)한 표정(標定)을 전산처리(電算處理)하므로써 전파(傳播)되는 오차(誤差)를 비교(比較) 분석(分析)하였다.

  • PDF

레이더의 추적오차 예측 시뮬레이터 구현 (Development of a Radar Simulator for tracking error estimation)

  • 채규수;임중수;김민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부
    • /
    • pp.115-118
    • /
    • 2010
  • 본 논문은 추적레이더의 추적 오차를 예측하기위한 레이더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경로 전파특성, 표적 모델링, RPY 보상, DTM 지형데이터 등을 이용한 전파의 전파특성 분석을 통한 표적추적레이더의 추적 오차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추적 오차를 줄이기 위해 추적 레이더의 서보 특성과 서보 구동의 지연보상을 위한 $\alpha-\beta$ 필터를 사용하였다. 표적 추적레이더의 추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추적 상황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구현 하였다.

  • PDF

제주지역에서의 Loran-C 위치의 정도 (Accuracy of the Loran-C Fix in Cheju Areas)

  • 김광홍;심형일;장충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1권2호
    • /
    • pp.123-130
    • /
    • 1985
  • Loran-C 위치의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북동태평양 Chain (GRI 5970)에 대한 시간차를 관측하여 그 전파경로와 측지계 및 전파속도에 따른 시간차오차 등을 분석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Loran-C 전파는 M-X 조국, M-Y조국 모두 주국, X, Y 종국과 관측점 사이에 높이 500m 이상 되는 한라산을 통과하여 전파될 때 시간차 오차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2. 측지계 및 전파속도의 보정에 따른 시간차오차는 M-X 조국에서는 측지계변환과 속도보정을 행할수록 적어지고, M-Y조국에서는 M-X조국과는 달리 해상 및 육상의 전파경로에 따라 시간차오차가 불규칙적으로 변함을 알 수 있었다. 3. 보정요소별 측위의 정도는 측지계를 변화하고 속도보정을 행한 것이 가장 높고, WGS-72 측지계를 변환시키지 않은 것이 가장 낮았다. 4. 측정위치의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굴절율에 의한 속도보정과 측지계변환 및 육상전파속도보정을 행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산처리에 의한 로오란 C의 선위정도 개선에 관하여 (On the Improvement of Accuracy of Position Fix By Loran C to Compute with Micro Computer)

  • 안장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0권2호
    • /
    • pp.112-121
    • /
    • 1984
  • 현재 사용중인 로오란C의 9970 chain 표와 일반전파속도 및 송신국간의 거리와 전파시간으로써 계산한 계산전파속도를 이용하여 구한 시뮬레이션의 표와 그 정도를 비교.검토하고,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측정한 9970 chain의 시간차를 이들 표로써 위치를 구하여 로오란C표에 의한 위치에 대한 시뮬레이션의 위치의 상대오차를 비교하였다. 또한, 정점에서 측정한 5970 chain의 시간차에 대하여도 두 전파속도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의 위치를 구하여 정점에 대한 위치의 정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산전파속도를 이용한 것이 일반전파속도를 사용한 시뮬레이션의 표보다 로오란C의 표에 더욱 접근하였으며 송신국 가까이에서는 그 정도가 현저하였다. 2. 남해안에서 측정한 57개의 9970 chain의 시간차로써 구한 표의 위치에 대하여, 일반전파속도를 사용한 시뮬레이션의 위치는 0.2~0.7마일의 범위에서 평균 0.46마일, 표준편차 0.1마일의 오차가 있었으며, 계산전파속도를 사용한 시뮬레이션의 위치는 0.01~0.14마일의 범위에서 평균 0.07마일, 표준편차 0.03마일의 오차가 있었다. 3. 정점에 대한 5970 chain의 시뮬레이션의 위치는 계산전파속도를 사용한 것이 약 0.2마일의 오차가 있었으나 일반전파속도를 이용한 것보다 약 0.1~0.2마일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 PDF

마이크로셀 전파 환경에서 광선 추적법에 의한 예측 결과의 오차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Errors in Prediction Results of Ray Tracing Propagation Model for Microcellular Environments)

  • 손해원;명노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11-21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광선 추적법을 이용한 마이크로셀 전파 환경 예측 모텔에서의 여러 가지 오차들에 관하여 해석 하였다. 반사 및 회절 계수의 부정확성 및 계산 과정에서 이들의 횟수 제한이 예측 결과에 미치는 영향올 분석하 였으며, 특히 건물 지도의 유한한 해상도에 의한 건물 데이터베이스의 오차가 전파 환경 예측 결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하여 자세히 분석하였다. 빠르고 정확한 예측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각 건물들에 대하여 적절한 전기적 상수들의 선정과 반사 및 회절 횟수의 적절한 제한이 필요함을 보였다. 또한, 건물 지도의 해상도가 나빠질 수록 예측 결과의 오차가 증가함을 보였으며, LOS 구간과 NLOS 구간을 구분하여 그 오차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건물 지도의 해상도에 따른 예측 결과의 최대 오차 한계를 6 dB이하로 제한 할 경우 적절한 건물 지도의 해상도는 5m정도가 됨을 알 수 있다.

  • PDF

전파굴절에 의한 비행체 추적오차 분석 (Analysis on Vehicle Tracking Error due to Radio Refraction)

  • 오창열;이효근;오승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1A호
    • /
    • pp.1078-1084
    • /
    • 2010
  • 신호 추적 및 데이터 획득을 위하여 사용되는 접시형 추적안테나시스템의 추적정확도는 시스템 내부 요인뿐만 아니라 외적인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은 무선주파수를 사용한 비행체 추적 및 위치측정에 있어서 전파굴절에 의한 추적오차를 나로우주센터에서 운용중인 2 GHz 원격측정 안테나 및 5 GHz 추적레이더로 추적한 항공기 및 위성발사체 추적결과와 GPS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분석을 위하여, 추적시스템의 추적오차 원인 및 원인별 오차범위, 추적시스템의 정확도 검증결과 및 굴절율 특성을 바탕으로 전파굴절과 추적오차의 연관성을 검토한다. 분석결과, 안테나 고각 10 도 이하에서 전파굴절에 의한 각도오차가 사용된 추적안테나시스템 및 GPS의 측정오차에 비하여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큰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류권내에 있는 비행체(신호원)에 대한 추적각도는 안테나 고각뿐만 아니라 비행체 고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정확한 비행체 위치 측정을 위해서는 이를 보정하여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