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Errors in Prediction Results of Ray Tracing Propagation Model for Microcellular Environments

마이크로셀 전파 환경에서 광선 추적법에 의한 예측 결과의 오차에 관한 분석

  • 손해원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
  • 명노훈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 Published : 1998.04.01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 various errors in prediction results of ray tracing propagation model for microcellular environments. It is shown that improper electrical parameters of building materials and limitations of diffraction orders can cause high errors in prediction results. Especially, the effect of errors in building database on prediction results is considered in detail. It is also shown that the prediction error increases as the resolution of building map data is getting worse, and the error is analyzed depending on LOS and NLOS domain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by the analysis developed in this paper, 5 m resolution is suitable for the building map data if the maximum prediction error is required to be below 6 dB.

본 논문에서는 광선 추적법을 이용한 마이크로셀 전파 환경 예측 모텔에서의 여러 가지 오차들에 관하여 해석 하였다. 반사 및 회절 계수의 부정확성 및 계산 과정에서 이들의 횟수 제한이 예측 결과에 미치는 영향올 분석하 였으며, 특히 건물 지도의 유한한 해상도에 의한 건물 데이터베이스의 오차가 전파 환경 예측 결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하여 자세히 분석하였다. 빠르고 정확한 예측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각 건물들에 대하여 적절한 전기적 상수들의 선정과 반사 및 회절 횟수의 적절한 제한이 필요함을 보였다. 또한, 건물 지도의 해상도가 나빠질 수록 예측 결과의 오차가 증가함을 보였으며, LOS 구간과 NLOS 구간을 구분하여 그 오차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건물 지도의 해상도에 따른 예측 결과의 최대 오차 한계를 6 dB이하로 제한 할 경우 적절한 건물 지도의 해상도는 5m정도가 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마이크로파 및 전파전파연구회 춘계 발표회 마이크로셀 전파전파 모델을 위한 전기영상트리를 이용한 결정적인 Ray Tube 방법 손해원;명노훈
  2. IEEE Transactions on Antennas and Propagation A Deterministic Ray Tube Method for Microcellular Wave Propagation Prediction Model H. W. Son;N. H. Myung
  3. IEEE J. Select. Areas Commun. v.11 no.7 Concepts and Results for 3D Digital Terrain-based Wave Propagation Models: An Overview T. Kurner(et al.)
  4. IEEE Transactions on Antennas and Propagation v.42 no.5 Prediction of Urban Propagation Loss R. Grosskop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