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차유발조건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nvestigation of Near.Transducer Errors in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Measurements Using Experimental and Numerical Method (ADCP 계기 부근에서 발생하는 관측 오차의 실험 및 수치모의에 의한 고찰)

  • Kim, Dong-Su;Kang, Boo-Si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2
    • /
    • pp.944-951
    • /
    • 2011
  • This paper reports results of a joint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causes of near-transducer errors due to the combined effect of acoustic and ADCP-induced flow disturbance near the ADCP transducer. The laboratory study focused on an isolated ADCP (deployment without boat). Measurements of the flow disturbance produced by the ADCP in vertical and horizontal planes were obtained acquiring measurements with an Acoustic Doppler Velocimeter (ADV). Concurrent measurements with ADCP and ADV were made to infer additional near-transducer effects in the ADCP measurements. The numerical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extend the inquiry on the near-transducer potential errors when the ADCP is deployed from a boat. Large Eddy Simulation (LES) was conducted to obtain the extent and magnitude of the disturbances induced by the drag acting on a boat-mounted ADCP and by the blockage effect of the instrument and boat. It is found the velocities measured by the ADCP are biased low and differ substantially from the undisturbed channel flow solution within a limited layer beneath the instrument.

Aided Navigation Algorithm for Land Navigation System Using VMS with Indirect Drive Condition (직진성이 보장되지 않는 조건에서 지상항법시스템의 속도계를 이용한 보정항법 알고리즘)

  • Kim, Hyungsoo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0 no.4
    • /
    • pp.314-320
    • /
    • 2016
  • Inertial navigation system (INS) has used aided systems and sensors to compensate navigation error.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velocity measurement sensor (VMS), and radar are commonly used to aid INS. Land navigation system (LNS) also mainly uses VMS when GNSS cannot be used such as at tunnel or on jammed scenario. A straight drive is required when VMS-aided navigation is used, because there is only speed of straight direction whereas no crossways and vertical directions. In local environment, even an expressway has lack of straight drive which is constraint of VMS-aided navigation algorithm. This paper proposes an enhanced VMS-aided navigation algorithm for LNS with indirect drive by restricting filter update condition. Also, there is a result of vehicle test to prov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Uncertainty Analysis of the Calculated Radioactivity in Liquid Effluent Released as Batch Mode from a Nuclear Power Plant (발전용원자로에서 뱃치방식으로 배출되는 액체상 방사성물질의 방사능 평가결과에 대한 불확도 해석)

  • 정재학;박원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562-571
    • /
    • 2003
  • A series of factors such as sampling, pretreatment measurement, volume estimation which induces uncertainty of the calculated radioactivity in liquid effluent released from a nuclear power plant were analyzed. It is innately impossible to estimate exact error of the calculated radioactivity, since most of the input parameters are determined by a single measurement and true value of the released radioactivity cannot be known. In this paper, a systematic model to calculate uncertainty of the released liquid radioactivity was developed based upon the guidance report published by the ISO in 1993, and the model was applied to a set of hypothetical batch release conditions. As a result, the Priority of each input parameter was turned out to be (1) wastewater volume, (2) sample volume, and (3) measured radioactivity of the sample. In addition,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released radioactivity was simulated by Monte Carlo method combining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each input parameter It was shown that the radioactivity released to the environment, which has been reported as a single value, has a certain form of probability distribution.

  • PDF

Optimum Balancing Using Ggenetic Algorithm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평형잡이에 관한 연구)

  • 최원호;양보석;주호진;임동수;노철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137-141
    • /
    • 1995
  • 회전기계에서 발생하는 진동 원인 중 약 60% 이상이 불평형(unbalance)에 의한 진동이다. 불평형은 기계의 과도한 진동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베어링의 수명 단축 및 소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기게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기계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부드럽고 진동이 없는 운전을 위하여 평형잡이(balancing)는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불평형은 축 중심선에 대하여 회전체의 질량 분포가 비대칭이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그 원인으로는 부품 자체가 비대칭에서 오는 설계 또는 제도 오차, 주물의 기포 및 용접의 불균일 등에 의한 재질상의 결함, 그리고 부품조립시 형상누적공차 등에 의한 가공.조립오차 등이 있다. ISO의 정의에 따르면 평형잡이는 회전체의 질량 분포를 조사하고 필요하다면 저널의 진동과 베어링의 작용력들이 운전속도에 대응하는 주파수에서 특정한 한계내에 있도록 보증하게 하기 위한 조정을 하는 과정이다. 불평형 상태에 대한 조사도 평형잡이로 표현된다. 그러나 수정이 필요하다고 간주된다면 수행된다. 모든 회전체는 초기 불평형(initial unbalance)이라 불리는 임의의 불평형을 가지고 출발한다. 완벽하게 평형이 잡힌 회전체를 달성하는 것이 평형잡이 작업의 목적은 아니다. 임의의 잔류 불평형(residual unbalance)은 항상 허용된다. 경제적인 이유에서 회전체는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적절한 허용치보다 더 이상 평형잡이를 하지 않는다. 현장에서 현장 평형잡이를 수행하게 될 경우, 가끔 계산된 수정질량이 매우 클 경우가 있다. 이때 기게의 조건상 큰 수정질량을 부착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작은 수정질량으로 평형잡이를 할 수 있다면 기계의 안정성 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향계수법(Influence Coefficient Method : ICM)의 기본 개념과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 GA)을 이용하여 회전기계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허용진동 내에서의 최적 수정질량 계산법을 제시한다.

  • PDF

Characteristics Analysis of ECT/EVT within Epoxy Spacer (스페이서 내장형 ECT/EVT의 특성분석)

  • Park, Seong-Hee;Jeong, Hae-Eun;Lim, Kee-Joe;Kang, Seong-Hwa;Jeong, Jong-Hun;Kim, Pyung-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6a
    • /
    • pp.509-510
    • /
    • 2006
  •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는 것은 오래전부터 CT(current transformer)/PT(potential transformer) 가 많이 사용되어져 왔지만, 이들은 iron core를 사용하기 때문에 포화특성이 발생하게 되어, 오차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서 현재는 로고스키코일 및 분압방식을 이용한 ECT/EVT에 대한 적용이 진행이 되고 있다. ECT/EVT는 포화특성이 없고, 선형성이 매우우수하며, 소형, 경량이라는 점에서 현재 배전반의 변화 추세를 구현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ECT/EVT를 제작하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이점은 ECT/EVT가 EPOXY SPACER에 내장이 되어 사용이 되며, 이런 사용조건하에서의 이들의 특성이 변화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EPXOY 몰딩하에서도 그 선형성을 잃지 않았으며, 원하는 오차인 ${\pm}1%$에 부합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Optimal Growth Model of the Cochlodinium Polykrikoides (Cochlodinium Polykrikoides 최적 성장모형)

  • Cho, Hong-Yeon;Cho, Beom 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6 no.4
    • /
    • pp.217-224
    • /
    • 2014
  • Cochlodinium polykrikoides is a typical harmful algal species which generates the red-tide in the coastal zone, southern Korea. Accurate algal growth model can be established and then the prediction of the red-tide occurrence using this model is possible if the information on the optimal growth model parameters are available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between the red-tide occurrence and the rapid algal bloom. However, the limitation factors on the algal growth, such as light intensity,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are so diverse and also the limitation function types are diverse. Thus, the study on the algal growth model development using the available laboratory data set on the growth rate change due to the limitation factors are relatively very poor in the perspective of the model. In this study, the growth model on the C. polykrikoides are developed and suggested as the optimal model which can be used as the element model in the red-tide or ecological models. The optimal parameter estimation and an error analysis are carried out using the available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data sets. This model can be used for the difference analysis between the lab. condition and in-situ state because it is an optimal model for the lab. condition. The parameter values and ranges also can be used for the model calibration and validation using the in-situ monitoring environmental and algal bloom data sets.

Estimating the Influence of the Riffle and Pool on the Habitat of Fish (여울과 소의 형성 조건에 따른 어류 서식처 환경 영향)

  • Sung, Young-Du;Park, Bong-Jin;Lee, Sam-Hee;C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07-101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어류 생태계 유지를 위해 필요한 생태학적 추천유량을 산정하고, 어류의 서식처 환경인 여울과 웅덩이의 형성조건을 검토함으로써 '작용'인 '흐름'과 '응답'인 '하상구조'와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하천인 금호강에서는 하상변동이 활발한 자연 상태를 벗어나 하상의 이동성 상당히 둔화된 상태이며, 저수로내 여울과 웅덩이도 대표어종이 서식할 수 있는 자갈하상 구조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금호강 상류에 영천댐 건설의 영향이 어느 정도 미치고 있음을 유황분석 결과를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댐과 같은 수공구조물의 건설로 인하여 하도가 고정화된 상태에서 장기간에 걸치게 되면 여울과 웅덩이와 같은 하상구조가 축소되거나 소멸되어 금호강에서의 대표어종 서식처 환경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금번 연구결과, 금호강에서 어류의 생식에 필요한 생태학적 추천유량 $8.2m^3/sec$가 필요하였으며, 어류의 서식처 환경인 여울과 웅덩이를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250m^3/sec$ 이상의 유량이 연간 한번 이상 흘러야 하고, 2.5년 내지 3년 마다 약 $500m^3/sec$ 정도의 유량이 흐를 필요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 대상지점에서 흐름과 하상구조를 하천생태계와 연계해서 볼 때, 생태추천유량은 어디까지나 대표어종이 서식할 수 있는 최소조건에 불과하다. 대표어종이 장기간에 걸쳐 서식할 수 있는 하상구조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대표어종이 선호하는 여울과 웅덩이가 필요하다. 결국 대표어종이 서식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생태추천유량 확보와 아울러 대표어종이 선호하는 하상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도의 이동성을 유발할 유황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대상으로 연중 발생하는 큰 호우사상에 대해 임의의 강우관측소를 결측지점으로 가정하고 주변의 강우관측소로부터 각각의 방법을 이용해 가중치들을 산정하여 결측지점의 강우량 값을 보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각의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결과에 대해 실측값과 보정값의 오차정도를 평균절대오차법(Mean Absolute Error)과 제곱평균제곱근오차법(Root Mean Squared Error)에 의해 산정하여 보정 방법간의 효율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9년, 그리고 2010년${\sim}$2019년까지 총 4구간으로 나누어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예상한 바와 같이 후반기 20년 동안에 세 가지 지표가 취약해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 동안에는 더욱 취약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를 보임에 따라 그 정책적 효과는 때로 역기능적인 결과로 초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최소한 주식시장(株式市場)에서 위탁증거금제도는 그 제도적 의의가 여전히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통상 과열투기 행위가 빈번히 일어나 주식시장을 교란시킴으로써 건전한 투자풍토조성에 저해된다는 저간의 우려가 매우 커왔으나 표본 기간동안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주식시장 전체적으로 볼 때 주가변동율(株價變動率), 특히 초과주가변동율(超過株價變動率)에 미치는 영향이 그다지 심각한 정도는 아니었으며 오히려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은 미국시장에 비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해 왔다고 볼 수 있다.36.4%)와 외식을 선호(29.1%)${\lrcorner}$ 하기 때문에 패스트푸드를 이용하게 된 것으로 응답 하였으며, 남 여 대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다. 응답자의 체형은 ${\ulco

  • PDF

On the Reconstruction of the Sound Field Using the Regularized Equivalent Source Method (정규화된 등가음원법을 이용한 음장의 재구성)

  • Jeon In-Youl;Ih Jeong-Gu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13-21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형상을 가진 음원으로부터 방사하는 음장을 등가음원법 (equivalent source method)을 이용하여 재구성한다. 일반적인 등가음원법의 기본 원리는 진동하는 물체의 표면 또는 내부에 등가음원을 분포시켜서 등가음원의 강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각 등가음원의 강도는 음원의 경계 조건이나 측정된 음장 음압을 통해서 구할 수가 있으며 사용된 등가음원의 차수, 개수 그리고 위치 등은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변수들이다. 기존의 HELS (Helmholtz equation least square) 방법은 한 곳의 위치에 다양한 차수로 이루어진 등가음원을 사용하여 각 차수의 계수를 구하는 방법으로써 구형에 가까운 음원에 대해서 좋은 결과를 보이나 음장의 결과가 최대 차수의 선택에 따라서 큰 오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정규화 기법을 사용하여 음장을 재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등가음원의 최적 차수를 구하고, 음원 내부에 최적 차수로 이루어진 등가음원을 여러 개의 점에 위치시켜서 재구성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정규화된 등가음원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표면 일부가 진동하는 구에 대한 수치 해석 및 청소기 모델에 대한 음장 재구성 실험 을 수행하였다.

  • PDF

Revisiting Clock Synchronization Problems: Static and Dynamic Constraint Transformation for Correct Timing Enforcement (실시간 제약 조건의 동적/정적 변화를 통한 클록 동기화 문제 해결)

  • 유민수;홍성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68-7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클록들을 주기적으로 동기화하는 분산 실시간 시스템에서 주어진 태스크의 시간 제약(timing constraint)을 변환시는 구가지 기법을 제안한다. 전형적인 이산 클록 동기화(discrete clock synchronization)알고리즘은 클록의 값을 순간적으로 보정(correct)하여 클록의 시간이 불연속적으로 진행학 한다. 이러한 시간상의 불연속성은 태스크의 시작제한시간(release time)이나 종료시한(deadline)과 같은 이벤트를 잃어버리거나 다시 발생시키는 오류를 범하게 한다. 클록 시간의 불연속성을 피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연속 클록 동기화(continuous clock synchronization) 기법이제안되었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기에는 많은 오버헤드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연속 클록 동기화는 PLL (Phase-Locked Loop)을 이용한 별도의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속 클록 동기화 기법을 사용하는 대신, 태스크의 시간 제약을 동적으로 변환시키는 DCT (Dynamic Constraint Transformation) 기법을 제안하였다. DCT는 소프트웨어 으로 구현이 가능하여 새로운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이산적으로 동기화된 시스템에서 클록 시간의 불연속성에 의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서, 클록의 물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동기화된 클록들이 상한된(bounded from the above)오차(skew)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오차는 지역 클록(local clock)에 대해 만족될 수 있는 임의의 실기간 제약 조건이 전역 클록(global clock)에 대해서는 만족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먼저 두 가지의 스케줄링 가능성, 지역적 스케줄링 가능서(local schedulability)과 전역적 스케줄링 가능성(global schedulability)을 정의하고, 실시간 제약을 정적으로 변환시키는 SCT (Static Constraint Transformation)기법을 제안하였다. SCT를 통해 지역적으로 스케줄링 가능한 태스크는 전역적으로 스케줄링이 가능하므로, 단지 지역적 스케줄링 가능성만을 검사하면서 스케줄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Creep Characteristics of Unconsolidated Shale (미고결 셰일의 크립 특성)

  • Chang, Chan-Dong;Zoback, Mark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195-200
    • /
    • 2006
  • Laboratory creep experiments show that compaction of unconsolidated shale is an irrecoverable process caused by viscous time-dependent deformation. Using Perzyna's viscoplasticity framework combined with the modified Cam-clay theory, we found the constitutive equation expressed in the form of strain rate as a power law function of the ratio between the sizes of dynamic and static yield surfaces. We derived the volumetric creep strain at a constant hydrostatic pressure level as a logarithmic function of time, which is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The determined material constants indicate that the yield stress of the shale increases by 6% as strain rate rises by an order of magnitude. This demonstrates that the laboratory-based prediction of yield stress (and porosity) may result in a significant error in estimating the properties in situ.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