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토양복원

Search Result 38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토양 정밀 조사에 의한 폐광산 주변 토양의 오염 부지 특성 규명

  • 차종철;이정산;이민희;최정찬;김진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346-349
    • /
    • 2003
  • 광산 및 폐광산으로부터의 오염 및 유해영향에 대한 보고와 관심이 대두되면서 휴ㆍ폐광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북 군위군의 고로 폐광산 주변 중 광미 및 광폐석으로 오염된 것으로 생각되어지는 하천 및 농경지에 대한 오염 정도와 분포를 규명하기 위하여 토양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토양 오염 정밀조사 지침에 따라 총 741개의 토양 시료 분석 결과 Cu, Cd, Pb은 토양오염 우려 기준에 훨씬 미치지 못하였지만 As는 표토 및 심토 구간(0-30cm)에서 토양 오염 우려 기준 농도를 상당 수 초과하여 하천 및 농경지의 복원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합리적인 복원물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배경치 농도(1.23mg/kg), 토양오염우려기준 40%농도(2.4mg/kg), 토양오염우려기준농도(6mg/kg), 토양오염대책기준농도(15mg/kg)별로 오염 등급을 나누어 오염 지도를 작성하고 각 등급별 복원목표에 따라 복원이 필요한 면적과 복원대상물량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는 오염토양의 복원을 목적으로 국내에서 최초로 실시된 대규모의 토양정밀조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이 결과는 실제 고로 폐광산지역의 복원 사업설계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유류 오염 토양 복원을 위한 Biopile 적용성 연구

  • 조미영;김무훈;이두명;최우진;최진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326-32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유류 오염 토양의 복원에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난 Biopile 공법을 오염 토양에 적용하였을 경우,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이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45일간 의 Biopile 실험 결과, 공기 주입 및 영양분 주입 후 TPH의 감소율이 최대 64.75 %까지 나타났다. 또한 공기만을 주입하였을 경우에도 제거율이 약 33 %를 나타내었다. TPH가 6,000 mg/kg인 인공 오염 토양을 사용하여 Biopile 공법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30일 반웅 후 43.46 %의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오염 토양의 균주를 순화/분리 하였을 때 오염 토양 내에 고 활성의 유류 분해 미생물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유전자 역시 확인되어 자체적으로 생물학적 분해능을 가지고 있는 토양으로 나타났다.

  • PDF

Bioremediation Efficiency of Oil-Contaminated Soil using Microbial Agents (토양미생물 복원제를 이용한 유류로 오염된 토양의 복원)

  • Hong, Sun-Hwa;Lee, Sang-Min;Lee, Eun-Young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39 no.3
    • /
    • pp.301-307
    • /
    • 2011
  • Oil pollution was world-wide prevalent treat to the environment, and the physic-chemical remediation technology of the TPH (total petroleum hydrocarbon) contaminated soil had the weakness that its rate was very slow and not economical. Bioremediation of the contaminated soil is a useful method if the concentrations are moderate and non-biological techniques are not economical.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dditives on TPH degradation in a diesel contaminated soil environment. Six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conduced; (i) diesel contaminated soil, (ii) diesel contaminated soil treated with microbial additives, (iii) diesel contaminated soil treated with microbial additives and the mixture was titrated to the end point of pH 7 with NaOH, (iv) diesel contaminated soil treated with microbial additives and accelerating agents and (v) diesel contaminated soil treated with microbial additives and accelerating agents, and the mixture was titrated to the end point of pH 7 with NaOH. After 10 days, significant TPH degradation (67%) was observed in the DSP-1 soil sample. The removal of TPH in the soil sample where microbial additives were supplemented was 38% higher than the control soil sample during the first ten days. The microbial additives were effective in both the initial removal rate and relative removal efficiency of TPH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H and temperature, also affected the activities of microbes lived in the additives, so the pH calibration of the oil-contaminated soil would help the initial reduction efficiency in the early periods.

토양 세척법을 이용한 하천 퇴적토 복원 설계

  • 이정산;차종철;이민희;이정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342-345
    • /
    • 2003
  • 비소로 오염된 폐광산주변 하천 퇴적토 오염 복원을 위한 토양세척법의 복원효율을 규명하였다. 세척액에 대한 비소제거 효율을 규명하기 위해 오염된 3종류의 하천 퇴적토에 대하여 초산, 구연산, 염산 각 0.01, 0.05, 0.1, 0.5, 1N 수용액과 증류수(pH 5.41)에 대한 세척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세척 효율은 염산과 구연산 용액의 경우 0.05N 이상에서 저농도의 구연산을 제외하고 99.9% 이상의 제거효과를 나타내었다. 초산의 경우 1N의 경우에도 36%와 71%의 낮은 세척 효율을 보였으며, 증류수로 세척한 경우에는 20% 내외의 세척 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세척 효율은 본 오염지역의 복원목표를 토양오염 우려기준의 40% 농도(2.4mg/kg)로 설정하여 하천퇴적토를 복원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결론적으로 오염 퇴적토의 농도 분포에 따라 적절한 세척액을 선택한다면 세척 효과를 훨씬 증대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한 세척효율 결과는 연구지역을 포함한 전국 각지의 폐광산 복원공정 설계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유류 오염 토양의 생물학적 토양복원 설계를 위한 사전 조사 및 이를 이용한 현장복원

  • 김국진;고일원;이광표;이철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322-32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경유와 윤활유로 오염된 토양에서 유류분해능이 우수한 분해균주 5종을 분리하여 동정하였고. 분리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실험실 및 현장 Pilot Test 수행으로 현장 복원에 필요한 설계인자를 도출하여 실제 현장 토양복원에 적용하였다. 미생물의 투입량은 2.0 $\times$ $10^{6}$ CFU/g 이상으로 투입하고, 투입 영양분의 조성은 오염된 탄소원의 몰비 농도와 비교하여 질소원으로는 황산암모늄, 요소, 질산암모늄 등을 질소 몰수로 첨가하구 인산원으로는 인산칼륨, 이인산칼륨 등을 인산 몰수로 공급하여 토양의 C/N/P 비율이 100:10:1~ 100:1:0.5 범위 이내로 조절되도록 오염 토양에 영양분을 공급하였으며, 경작 횟수는 3회/주 이상으로 수행하여 오염토양 TPH 5,000ppm을 40일 동안 2,000ppm 이하로 복원하였으며, 이때 생분해상수 k는 0.0229/day로 확인되었다.

  • PDF

토양복원기술의 선진 동향과 시사점

  • 천정용
    • Environmental engineer
    • /
    • s.174
    • /
    • pp.22-26
    • /
    • 2001
  • (1) 토양오염의 특성과 현황 - 토양오염은 지하에서 일어나는 오염문제이므로 눈으로 직접 확인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한번 오염되면 복원을 위해서 많은 시간과 경제적 노력이 필요함 - 우리나라에서는 폐광지대 그리고 공업단지 내 유류 저장시설 주변 토양이 중금속과 유기화합물로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남 (2) 오염토양 정화기술의 분류와 주요기술 - 오염토양 정화기술은 크게 비원위치 기술과 원위치 기술로 분류되며 각각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 PDF

토양경작법(Landfarming)을 이용한 유류오염토양의 복원효율 평가

  • Jeon Gwon-Ho;Han Wan-Su;Jeong Hyeon-Seok;Seo Chang-Il;Park Je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219-222
    • /
    • 2005
  •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 대해 토양경작법(Landfarming)을 적용하여 복원효율을 평가하였다. 복원 초기에는 주로 휘발에 의한 오염물질의 저감이 이루어졌으며, 이 후 미생물성장에 필요한 토양뒤집기와 질소원 영양물질의 공급으로 인해 미생물수가 복원초기에 비해 약 200배 증가하면서 약 30여일 경과 후 초기 20,000ppm에서 복원목표인 TPH의 토양오염우려기준 2,000ppm의 이하인 1,910ppm으로 감소하였다. 시간이 경과할수록 탄소원 섭취기질 부족으로 완만한 오염물질 감소속도를 나타내면서 최종적으로 TPH를 측정한 결과 1,288ppm으로서 제거효율 94%이상을 나타내었다.

  • PDF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Decision of Remediation Scope for Arsenic Contaminated Farmland Soils and River Deposits Around Goro Abandoned Mine, Korea (토양 정밀 조사에 의한 고로폐광산 주변 비소오염 토양 및 하천퇴적토의 오염도 평가 및 오염 토양 복원 규모 설정)

  • 차종철;이정산;이민희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6 no.6
    • /
    • pp.457-467
    • /
    • 2003
  • Soil Precise Investigation(SPI) for river deposits and farmland soils around Goro abandoned Zn-mine, Korea was performed to assess the pollution level of heavy metals(As. Pb, Cd, Cu) and to estimate the remediation volume for contaminated soils. Total investigation area was about 950000 $m^2$, which was divided into each section of 1500 $m^2$ corresponding to one sampling site and 545 samples for surface soil(0-10cm in depth) and 192 samples for deep soil(10-30cm in depth) from the investigation area were collected for analysis. Concentrations of Cu, Cd, Pb at all sample sites were shown to be lower than Soil Pollution Warning Limit(SPWL). For arsenic concentration, in surface soils, 20.5% of sample sites(104 sites) were over SPWL(6mg/kg) and 6.7%(34 sites) were over Soil Pollution Counterplan Limit(SPCL: 15mg/kg) suggesting that surface soils were broadly contaminated by As. For deep soils, 10.4% of sample sites(18 sites) were over SPWL and 0.6%(1 site) were over SPCL. Four pollution grades for sample locations were prescribed by the Law of Soil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Pollution Index(PI) for each soil sample was decided according to pollution grades(over 15.0 mg/kg, 6.00-15.00 mg/kg, 2.40-6.00 mg/kg, 1.23-6.00 mg/kg). The pollution contour map around Goro mine based on PI results was finally created to calculate the contaminated area and the remediation volume for contaminated soils. Remediation area with over SPWL concentration was about 0.3% of total area between Goro mine and a projected storage dam and 0.9% of total area was over 40% of SPWL. If the remediation target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to over background level concentration, 1.1% of total area should be treated for remediation. Total soil volume to be treated for remediation was estima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hickness of contaminated soil was 30cm. Soil volume to be remediated based on the excess of SPWL was estimated at 79,200$m^3$, soil volume exceeding 40% of SPWL was about 233,700 $m^3$, and soil volume exceeding the background level(1.23 mg/kg) was 290,760 TEX>$m^3$.

미생물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오염토양 복원기법과 현장적용성에 관한 연구

  • 송태을;상병인;김만호;황종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7.05a
    • /
    • pp.120-123
    • /
    • 1997
  • 오염토양 복원의 신기술로서 미생물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생물학적 정화법(Bioremediation)의 표준화된 절차와 현장적용 결과를 제시하였다. 적절한 양분과 수분 그리고 산소를 공급하여 유류 오염물질의 생물학적 제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었으며 특히 유류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미생물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오염된 토양을 단기간 내에 복원하는데 상당히 효과적인 기술임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현장적용 기술의 개발을 통하여 국내외적으로 당면하고 있는 토양오염문제를 해결하는데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reatability Study of Phenanthrene Contaminated Soil using Heme and Hydrogen Peroxide (Heme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Phenanthrene 오염토양 처리에 관한 연구)

  • 염혜정;강구영;박갑성;임남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7.05a
    • /
    • pp.92-96
    • /
    • 1997
  • 고농도로 오염된 난분해성 유해오염물질은 토양계에 존재하고 있는 미생물에 대한 독성과 낮은 활성도로 인하여 복원기술 발전에 제한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pH 4.8과 pH 7.7인 토양에 Phenanthrene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후 heme 촉매와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오염토양을 복원하는 기술에 대한l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Heme과 과산화수소를 오염토양에 첨가한 뒤 30일 반응후 토양내 존재하고 있는 Phenanthrene 초기농도 약 400 mg/kg soil에 대한 분해율은 pH 4.8과 7.7 오염토양내 각각 50%와 67%이었다. Heme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복원기술은 중성 오염토양에서 약 3일후 67% 빠르게 분해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