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방제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9초

유류오염사고와 해양오염 방제시스템 (Oil spill accident and prevention system of marine pollution)

  • 강영승
    • 기술사
    • /
    • 제41권2호
    • /
    • pp.64-67
    • /
    • 2008
  • According to grow maritime activities in coastal zone, a threat increase to the marine environment from oil spill. The success or failure of initial effort depends on the adequacy of the plan and the ability of immediate execution. Successful response to oil spills requires critical information in real time topics, including spill data, environmental conditions, ecological factors. Diverse simulation provides tactical decision-makers with th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pollutant.

  • PDF

우리나라 다목적 대형방제선 건조의 경제적 타당성에 관한 예비평가 (A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Economic Feasibility for Building a Multi-purpose Large Oil Spill Response Vessel in South Korea)

  • 장우진;표희동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4-361
    • /
    • 2016
  • 허베이 스피리트호의 유류유출량이 씨프린스호의 것에 비해 2.5배에 불과하지만, 그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피해는 30배에 이를 정도로 대규모 유류유출의 피해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재난적 해양환경오염사고에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다목적 대형방제선의 건조에 대한 기술적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함으로써 다목적 대형방제선의 건조에 대한 당위성과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다목적 대형방제선의 기술적 타당성분석과 선진해양국의 많은 사례를 검토한 결과, 4,000톤급의 자항식 호퍼준설선 겸용 방제선을 건조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제적 타당성 분석결과, 가장 보수적인 추정의 B/C ratio는 0.82로 경제성에 미달하지만 자구적 노력을 통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중간추정치와 낙관적 추정치의 B/C ratio는 각각 2.72와 5.82로 이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방제선 배치 항만의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Port Placement of Response Vessel)

  • 장덕종;김대진;김우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810-819
    • /
    • 2017
  • 현행 방제선 배치 항만의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국내 주요 항만을 대상으로 이용실태와 위험요인의 분포현황을 조사하여 각 항만별 위험도를 평가하고 위험도 산정 값을 기준으로 전체 항만을 4단계의 위험군으로 분류하여 방제선 배치 항만의 현실화를 추구하였다. 그 결과 항만의 위험도는 대규모 석유화학 산업시설이 위치하고 있는 여수 광양항(1.85), 울산항(1.33), 대산항(1.25)이 특히 높게 나타나고, 선박 통항량이 많은 부산항(0.95), 인천항(0.83)과 최근 항만시설의 확충으로 대형선 통항량이 증가한 목포항(0.71)과 제주항(0.49), 주변에 어업권 허가건수가 많은 마산항(0.44)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위험도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난 여수 광양항을 기준으로 각 항만의 상대적 비율을 등급화하여 위험군을 4단계로 구분했을 때 최고위험군은 여수 광양항, 울산항, 대산항, 부산항이고, 고위험군은 인천항, 목포항, 제주항, 마산항이며, 중위험군은 평택 당진항, 포항항, 군산항, 동해 묵호항, 저위험군은 삼천포항, 옥계항, 장승포항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현행 법률상 방제선 배치항만은 모두 중위험군 이상의 항만이며 중위험군으로 새롭게 평가되는 목포항, 제주항, 동해 묵호항은 제외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3개 항만을 방제선 배치항만으로 새롭게 지정하여 기름오염사고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주파수 분석을 이용한 전작용 붐방제기의 진동 특성 분석 (Vibr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Boom Sprayer for Upland-use Using Frequency Analysis)

  • 김영주;이중용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4-250
    • /
    • 2003
  • 국내에 보급된 방제기는 인력분무기, 동력 분무기, 동력 살분무기, 스피드 스프레이어, 붐방제기 등이 있다. 그 중 동력경운기에 탑재하거나 트랙터에 견인되는 동력분무기를 주축으로 기계화되어 있다. 작은 입경의 분무입자로서 가급적 적정량을 균일하게 뿌릴 때 방제효율을 높일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동력분무기에 의한 액제 살포는 원거리 살포에 따라 분무입자의 입경 분포가 다양하며 대부분 분무입자가 매우 크므로 고른 살포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약액을 1000대 1로 희석하여 흠뻑 적실 정도로 다량 살포를 하여 살포효율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제 방법은 효율성, 작업능률과 환경의 오염 측면에서 상당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중략)

  • PDF

위험도에 기반한 HNS 방제자원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sponse Resource Model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Based on the Risks of Marine Accidents in Korea)

  • 이은방;윤종휘;정상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857-864
    • /
    • 2012
  • 국내 해상 위험 위해물질(HNS)에 대한 해상물동량과 해양사고의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해역 및 위험분야 별 위험도를 조사한 결과 울산항, 여수항, 대산항 순으로 위험 유해물질에 의한 화재위험, 건강위험, 환경위험이 높게 평가되었다. 국내 HNS 사고 대응태세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서 폭발위험, 화재위험, 생리적 위험에 취약한 실정을 파악하고 전문 방제자원의 확충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일본의 방제자원 및 배치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해상 위험 위해물질 유출사고 특성에 선순환적으로 대응하고 평가된 위험도를 저감하기 위한 방제자원의 규모와 종류를 설정하였다. 평가된 위험도를 기반으로 국내 해역에서 HNS 사고 대비 대응을 위한 남해, 서해, 동해 3곳의 거점기지와 인천을 비롯한 9곳의 일반기지를 제안하고 거점기지와 일반지지의 HNS 방제자원 모델을 설계하였다.

일본의 해양유탁 방제체제와 방제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apanese Maritime Oil Spillage Management System and Activities)

  • 최영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7-417
    • /
    • 2002
  • 유조선의 대형화에 따른 해양유탁사고의 대형화에 대비하기 위해 일본의 석유관련 기업들은 1973년부터 다각적인 상호지원체제를 갖추기 시작했다. 1990년부터는 석유연맹이 정부의 보조를 받아 하부기구로 유탁대책부를 설치하고 방제기자재 관리 운영과 효과적인 방제를 위한 연구조사활동을 실시해 오고 있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1995년에 OPRC협약의 규정에 맞추어 국가긴급계획을 도입하고 관련 행정기관 사이에 연락체제를 구축했으며 경비구난부의 해상방재과를 주무부서로 하여 방제기자재 정비업무와 민간관련기관의 연락 및 조정업무를 담당해 오고 있다. 일본 정부는 1997년 Nakhodka호 난파사고 이후 더욱 방제체제를 강화해 오고 있다.

배 검은별무늬병균(Venturia nashicola) 감염특성과 방제기술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Pear Scab (Venturia nashicola): A Review)

  • 최으뜸;송장훈;서호진
    • 식물병연구
    • /
    • 제29권2호
    • /
    • pp.101-107
    • /
    • 2023
  • 배 검은별무늬병을 일으키는 원인 병원균은 Venturia nashicola는 국내를 포함한 일본, 중국, 대만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대표적인 병이다. 이 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주로 화학적 방제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관리가 되고 있었다. 하지만 지속인 화학적방제는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병원균의 저항성 출현을 야기하여 보다 지속 가능한 관리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V. nashicola의 생환 및 감염 특성을 이해하고 과거부터 이어져온 달력형 방제나 특정 계통의 살균제 연용에서보다 기상환경조건에 따라 능동적인 방제시기 설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배 검은별무늬병인 V. nashicola의 병환, 감염특성 그리고 방제체계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보다 효과적인 방제관리체계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고자 다양한 연구결과들을 리뷰하였다.

기획: 수의사처방제 실시를 위한 소 진료체계 준비 및 방역 인프라 구축 방안

  • 김두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46권9호
    • /
    • pp.790-800
    • /
    • 2010
  • 축산물의 항생제 잔류와 내성균의 출현 등으로 동물약품 안전사용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여 축산 식품의 안전성 향상과 항생제 내성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농림수산식품부 및 보건복지부를 비롯한 관련 정부 부처와 소비자단체의 노력의 결실로 2007년 12월 6개 관련부처는 "국가항생제내성관리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수의사처방제의 시행을 권고한 바 있으며,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2008년 7월에 "식품안전종합대책"을 통하여 2011년부터 "수의사처방제"를 도입하겠다고 정책을 발표하였다. 지난 7월 12일에는 수의사처방제의 도입을 위한 입법과정의 일환으로 심재철의원의 주관 하에 각계 대표가 참가한 상태에서 국회에서 토론회가 개최되어 각계의 의견수렴의 과정을 거쳤다. 농림수산식품부와 대한수의사회는 수의사처방제의 2011년 도입을 목표로 입법화과정과 사전 준비를 추진하고 있다. 본 연제에서는 항생제를 비롯한 동물용 의약품에 오염되지 않은 안전한 축산물을 공급하여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수의사처방제의 도입에 따른 준비를 위하여, 2009년도 농림수산식품부의 용역연구의 결과 중 (1) 우리나라 소 진료 분야 종사 수의사 실태 및 수의사 처방제 도입 시 필요한 소 진료전문수의사 적정 인원 수 예측, (2) 소 진료전문수의사 양성 방안 및 수의사의 질 향상 유지를 위한 재교육 방안, (3) 우리나라의 소 진료 임상체계 개편 및 국가 동물질병 방역정책과 유기적 연계 방안을 요약 정리하였다. 그리고 본 연제는 소 진료전문수의사들이 수의사처방제 추진과정을 이해함으로서 향후 추진될 수의사처방제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수의사처방제의 추진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의사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PDF

고품질 작물 재배를 위한 자동화 정량 방제 제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ed Quantitative Spray Control System for High Quality Crop Cultivation)

  • 오승호;양성욱;김형찬;김도현;도양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67-274
    • /
    • 2017
  • 최근 농업 분야에 IT 기술이 결합되면서 농업자동화 시스템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농작물의 생육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도 이들 중 하나이다. 농작물의 병충해로 야기되는 피해를 방제하는 작업은 농민들의 미흡한 방제 효과에 대한 염려 때문에 수동방제나 반자동방제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람이 유해한 약물에 노출되거나 약제 과다 사용으로 인한 낭비 및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농약제조회사에서 제시하고 있는 권장 농약 살포량을 기준으로 경작면적에 따른 방제량을 계산하여 정량 방제를 가능하게 하는 자동화정량방제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동화정량방제시스템의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수동방제 및 반자동방제의 경우와 비교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자동화된 시스템이 약제의 과다 사용을 줄일 수 있었으며, 수동방제에 버금가는 방제효과를 얻어 기존의 방제작업을 대체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살균제의 배추 뿌리혹병 방제효과 (In Vivo Antifungal Activities of Various Fungicides against Plamodiophora brassicae)

  • 장경수;김진철;임희경;조광연;최경자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22-428
    • /
    • 2005
  • 배추 유묘를 Plasmodiophora brassicae 오염토에 이식하고 약제 용액을 폿트(35 $cm^2$)에 관주처리 하는 방법으로 기존 살균제 44종의 배추 뿌리혹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실험하였다. 뿌리혹병 방제용 살균제인 fluazinam, flusulfamide 및 cyazofamid는 폿트 당 0.63 mg 처리구에서 모두 9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난균류 병해 살균제인 ethaboxam과 cymoxanil은 폿트 당 5 mg 처리 시에 배추 뿌리혹병을 완전히 방제하였다. 그러나 cymoxanil은 고농도 처리에서 배추에 심한 약해를 유발하였다. 잿빛곰팡이병 방제용 살균제인 dichlofluanid와 procymidone도 폿트 당 2.5 mg 처리 시에 배추 뿌리혹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였다. 광범위살균제인 chlorothalonil, quintozene과 trichlamide도 2.5 mg 처리 시에 각각 85%, 100%, 100%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는 대부분 배추 뿌리혹병에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나, 이들은 배추 유묘의 생육을 억제하는 약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선발된 7종 살균제의 배추 뿌리혹병 방제효과를 비교하여 실험한 결과, 이들 중 ethaboxam은 가장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며 fenarimol, pocymidone, nuarimol, chlorothalonil 순으로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