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물질 분포

Search Result 63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istribution of Air Pollutants in Northeast Asia According to Synoptic Meteorology in May 1999 (1999년 5월 종관기상 변화에 따른 동북아지역 대기오염물질의 분포 특성)

  • 김진영;김영성;원재광;윤순창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101-102
    • /
    • 2002
  • 동북아시아 지역은 전 세계적으로 인구가 조밀하고 경제발전 속도가 빠른 지역으로, 이에 따라 막대한 양의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고 있다. 이 지역의 대기오염 특성으로는 (1) 막대한 양의 인위적인 대기오염물질 배출, (2) 흙먼지의 배출, (3) 편서풍을 들 수 있다 (문길주 등, 1996).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기류이동의 변화에 따라 대기오염물질의 분포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시간으로 1999년 5월 6-7일과 5월 11-12일의 바람장 및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중략)

  • PDF

Pollution accident analysis using a hybrid hydrologic-hydraulic model(K-River & K-DRUM) (1차원수리모형-분포형 연계모형을 이용한 수질오염사고 분석)

  • Yonghyeon Lee;Hyunuk An;Ahn Jungmina;Youngteck Hur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72-472
    • /
    • 2023
  • In this study, the transport of pollutants was analyzed using the K-River and K-DRUM coupling model for water pollution accidents that occurred in the Nakdong River water system. In Korea, the necessity of a distribution model that accommodates the water circulation process and the importance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were emphasized in water quality managemen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total amount of water pollution. Therefore, in order to reflect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s, the K-DRUM distribution model, which can analyze pollution in the basin, was used. And the reproducibility of the model was improved by applying the operating rules of dams operating in the Nakdong River system.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movement of pollutants in the river, only the advection part of the advection-dispersion equation was applied to the 1D hydraulic model K-River to perform pollutant tracking. As a result of water pollution analysis, the peak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was underestimated, but the arrival time and the trend of the overall pollutant concentration were well reproduced.

  • PDF

Impact of Secondary Currents on Solute Transport in Open-Channel Flows over Smooth-Rough Bed Strips (조(粗)·세립상(細粒床)의 연속구조를 갖는 개수로 흐름에서 오염물질 수송에 대한 이차흐름 영향 분석)

  • Kang, Hyeongsik;Choi, Sung-Uk;Kim, Kyu-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1B
    • /
    • pp.73-81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the secondary currents on solute transport in open-channel flows. The RANS model with Reynolds stress model is used for flow modeling, and the GGDH(generalized gradient diffusion hypothesis) model is used to close the scalar transport equation. Using the developed model, the impact of secondary currents on solute transport in open channel flows over smooth-rough strip is investigated. Through numerical experiments, the secondary currents are found to affect the solute spreading, leading a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peak concentration and a skewed distribution of solute concentration. Due to the lateral flow of secondary currents near the free surface, the concentration at the rough strip is found to be larger than that at the smooth strip bed. The solute at the rough strip is more rapidly transported than smooth bed. A magnitude analysis of the solute transport rate in scalar transport equation is also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condary currents and scalar flux on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남해 특별관리해역의 환경오염 관리모델 연구 - 광양만 중심 연구에서의 현황과 전망

  • 장만;신경순;최진우;최동림;이택견;현상민;오재룡;심원준;권개경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9-14
    • /
    • 2002
  • 우리나라의 남해안과 서해안과 같이 해안선의 굴곡이 많고 강의 하류 부분에 위치한 연안 해양은 육지로부터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강 하류에 위치한 항만은 이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한 도시와 각종 산업시설과 대규모 부두 시설에 의해 직접 오염물질이 유입되고, 반 폐쇄적인 지리적인 조건으로 오염 물질의 외부 확산이 적게 일어남으로써 각종 유해 오염물질의 최종 종착지이자 오염물질의 보유고 역할을 하고 있다. 본 과제의 주요 목표는 오염지역의 오염물 이동 및 생태계 구조 변화에 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해 오염우심해역 관리를 위한 오염과 생태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지침서 (오염물 분포, 이동, 순환 등) 제시하고, 오염물질의 순환과정에서 수생-저서생태계의 연계성 규명하며, 더 나아가서 국가실천계획 (NPA) 이행을 위한 기반 확립이다. 본 연구과제의 결과는 항상 오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연안역관리를 위한 지표자료를 제공하며, 앞으로 국제적으로 규제될 각종 유기오염물질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Investigation of Effects of Weir on the Pollutant Mixing in Rivers (하천에서 보가 오염물질 혼합 거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Jung, Sung Hyun;Seo, Il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0-20
    • /
    • 2021
  • 하천에서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로 인하여 오염물질이 유입되었을 경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오염운의 도달시간과 농도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종방향의 혼합거동이 중요한 넓은 범위의 하천을 대상으로 오염물질의 이송을 예측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1차원 Fickian 모형을 사용한다. 그러나 실제 하천에서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였을 경우, 대부분의 농도분포는 오염물질의 저장대효과로 인하여 긴 tail 부분을 갖는 왜곡된 분포를 갖게 된다. 이러한 저장대 효과는 여러 하천내의 다양한 불규칙성으로부터 발생하나, 국내 하천에 많은 보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천 내부에 설치된 수리구조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인공적인 저장대 효과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 수리실험과 수치 모의를 통하여 노치가 존재하는 보주변에서의 흐름 특성과 오염 물질의 이송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보의 지형 및 수리적 인자가 저장대 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리 실험을 통한 넓은 범위에서의 수평방향 흐름장과 농도장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광역 계측방법인 Large Scale Particle-Image-Velocimetry (LSPIV) 기법과 Planar-Concentration-Analysis (PCA) 기법을 각각 유속과 농도 측정을 위해 적용하였다. 더 많은 보의 지형 및 수리적 조건에 따른 저장대 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RANS) 모형을 통해 모의조건을 확장 적용하였다. 측정 및 모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치가 존재하는 보의 지형 및 수리적 인자가 저장대 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저장대 영역 면적의 크기는 노치사이의 간격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노치의 높이의 경우에는 크게 민감하지 않은 경향을 나타냈다. 추적물질의 체류 시간은 노치사이의 간격과 보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유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여 질량교환계수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프루드 수와 레이놀드 수 모두 질량교환계수와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냈으나 저장대 영역의 면적의 크기와는 낮은 관계성을 나타냈다.

  • PDF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concentration of asbestos in buildings (건물의 실내공기 중 석면 분포 특성)

  • 김윤신;이철민;박원석;문정숙;엽무종;이태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427-428
    • /
    • 2003
  • 현대인의 경우 대부분이 하루 중 80% 이상의 시간을 어떤 형태의 가정, 사무실, 공공건물, 학교, 병원, 지하시설물, 상가, 음식점, 자동차, 지하철 등의 실내공간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와 노약자, 병약자들의 경우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는 실정에 있어 실내공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실내환경에는 대기환경과는 달리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매우 다양한 오염물질들은 복합적인 배출원에서 기인되며 그 배출량은 물질에 따라 상당히 편차가 있을 뿐 아니라 오염물질 농도분포 역시 시간적, 공간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실내공기의 상태는 일차적으로 외부공기의 영향을 받게 되고 이차적으로는 담배연기, 스토브, 오븐, 시멘트, 건축자재, 페인트 및 벽면의 입자상 물질 등과 같은 실내오염원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오염상태가 심해진다. (중략)

  • PDF

Effect of infow contaminants on Sediment in the Heung-bu reservior during the Raining Season (강우시 유입된 오염물질이 흥부 저수지내 퇴적물에 미치는 영향)

  • Jung, Hee-Jin;Choi, I-Song;Lee, Tae-Ho;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78-108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날로 심각해지는 흥부지역 농업용수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데이터의 확충 및 현황 파악을 위하여 흥부지구 강우시 저수지내의 퇴적물 상태를 조사 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저수지 퇴적물에 의한 내부오염 발생여부 및 저수지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퇴적물에 의한 오염 방지 및 필요수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준설여부를 검토함으로 써 흥부지역 농업용수의 수질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조사연구는 1) 저수지 내 퇴적물 추정량, 2) 퇴적물의 입도분포 및 유기물질 무기물질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본 조사연구 결과는 퇴적물의 준설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인자로 인식되는 저수지의 퇴적속도, 저수지 내 퇴적물의 용적량, 잠재적 오염물질의 함유량에 대한 연구 자료로서, 앞으로 흥부저수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에 있어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수질개선 사업의 수행 시 설계 인자로 반영 하고자 한다.

  • PDF

Distribution and Classifica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in Public Facilities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실내공기 중 오염물질 분포현황)

  • 김윤신;엽무종;이철민;박원석;이태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10-311
    • /
    • 2003
  • 현대산업이 고도화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공기 오염이 심화되고, 건물이 밀폐화되며, 제품이 정밀화됨에 따라 제어해야 할 오염물질이 늘어나고 있으며 급격한 산업발전과 도시화 및 에너지 소비의 급증으로 인하여 대기오염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인이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하루 중 9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실내공기질은 실외와는 달리 실내의 오염원과 실외 오염물질의 유입에 의해 오염될 경우 쉽게 정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재실자들의 건강까지도 위협하고 있다(환경부, 1999). (중략)

  • PDF

Modeling 2D residence time distributions of pollutants in natural rivers using RAMS+ (RAMS+를 이용한 하천에서 오염물질의 2차원 체류시간 분포 모델링)

  • Kim, Jun Song;Seo, Il Won;Shin, Jaehyun;Jung, Sung Hyun;Yun, Se H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7
    • /
    • pp.495-507
    • /
    • 2021
  • With the recent industrial development, accidental pollution in riverine environments has frequently occurred. It is thus necessary to simulate pollutant transport and dispersion using water quality models for predicting pollutant residence tim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field experiment in a meandering reach of the Sum River, South Korea, to validate the field applicability and prediction accuracy of RAMS+ (River Analysis and Modeling System+), which is a two-dimensional (2D) stream flow/water quality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flow analysis model HDM-2Di and the water quality analysis model CTM-2D-TX accurately simulated the 2D flow characteristics, and transport and mixing behaviors of the pollutant tracer, respectively. In particular, CTM-2D-TX adequately reproduced the elongation of the pollutant cloud, caused by the storage effect associated with local low-velocity zones. Furthermore, the transport model effectively simulated the secondary flow-driven lateral mixing at the meander bend via 2D dispersion coefficients. We calculated the residence time for the critical concentration, and it was elucidated that the calculated residence times are spatially heterogeneous, even in the channel-width dire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2D water quality model could be the accidental pollution analysis tool more efficient and accurate than one-dimensional models, which cannot produce the 2D information such as the 2D residence time distribution.

Simulation of Visibility Distribution using MESOPUFF II in Korea (MESOPUFF II를 이용한 우리나라 시정분포 모의)

  • 김유근;이화운;배주현;이수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68-169
    • /
    • 1999
  • 시정 모델에 대한 연구로는 국외의 경우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의 연구사업으로서 이루어진 바가 대부분이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모델을 적용하여 시정을 연구한 바가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시정분포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급격한 풍향 변화나 오염물질이 장거리로 수송됨에 따라 수 시간씩 소요되는 것에 따른 오염물질의 화학적 변형과 건ㆍ습성 침적을 고려할 수 있는 MESOPUFF II 모델(EPA, 1990)을 이용하였으며, 모델에 의해 계산되어진 황산염과 질산염 농도의 시정 환산을 통해 우리나라의 시정분포를 모의하였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