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염된 공기

검색결과 882건 처리시간 0.026초

수소/액체연료/공기의 연소특성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for Hydrogen/Liquid Fuel/Air Mixture)

  • 임복빈;백승원;김광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93-29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수소/액체연료/공기의 연소특성에 대해 CFD상용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프로그램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소/공기의 난류 비예혼합 화염에 대한 반응물과 생성물의 몰분율을 Barlow실험 결과와 비교하였고, X축 방향의 온도분포를 Flury의 실험 값과 비교하여 값이 물리적으로 근사함을 확인하였다. 혼합분율(Mixture Fraction)과 확률밀도함수(PDF)의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화염진단과 오염물질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간 종들의 몰분율을 확인하였다. 수소/액체연료/공기에 대해서는 화염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연료와 산화제의 속도비 변화(100,10,1,0.1)로부터 산화제속도가 연료속도 보다 클 경우 고속 측인 산화제에 의해 연료의 확산이 지배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화염의 온도분포가 최고가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소과정 중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수치적으로 해석하여 최저의 오염농도를 가질 수 있는 속도 비를 찾아 낼 수 있었다. 수소/공기와 수소/액체연료/공기의 온도 장 비교를 통하여 수소/액체연료/공기의 혼합물이 대체에너지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조립상 촉매(MnO$_2$)와 활성탄을 이용한 DBD방식 공기청정기에서의 발생 오존 분해특성 (Characteristics of Ozone Decomposition for DBD-type Air Cleaner Using Pelletized MnO$_2$ Catalyst and Activated Carbon)

  • 변정훈;지준호;강석훈;황정호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174
    • /
    • 2002
  • 실내 공기질은 재실자의 건강과 쾌적성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작업능률에도 영향을 미치며, 산업화와 자동차의 증가로 인한 대기오염은, 실내 공기질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에너지 절약을 위한 건물의 밀폐화와 환기율의 감소로 실내공기오염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이는 결국, 보다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공기정화 시스템의 필요로 이어지며, 그런 의미에서 현재 많은 상용 공기청정기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중략)

  • PDF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실내공기 중 오염물질 분포현황 (Distribution and Classifica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in Public Facilities)

  • 김윤신;엽무종;이철민;박원석;이태형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0-311
    • /
    • 2003
  • 현대산업이 고도화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공기 오염이 심화되고, 건물이 밀폐화되며, 제품이 정밀화됨에 따라 제어해야 할 오염물질이 늘어나고 있으며 급격한 산업발전과 도시화 및 에너지 소비의 급증으로 인하여 대기오염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인이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하루 중 9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실내공기질은 실외와는 달리 실내의 오염원과 실외 오염물질의 유입에 의해 오염될 경우 쉽게 정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재실자들의 건강까지도 위협하고 있다(환경부, 1999). (중략)

  • PDF

스킨답서스에 LED와 Fan을 이용한 실내공기정화 시스템 (The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LED and Fan for Epipremnum aureum)

  • 김태현;박준모;김수찬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67-173
    • /
    • 2018
  • 빛이 부족하고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실내에서 식물의 지상부와 지하부를 활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식물의 공기정화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지상부는 청색과 녹색의 LED를 조합한 혼합광과 자연광에 가까운 고연색 LED를 각각 조사하고 지하부의 토양을 필터로 활용하고자 팬을 이용하여 강제 순환하였다. 광원과 팬이 결합된 실내공기정화 시스템이 식물만 배치된 경우보다 오염된 공기를 단시간에 가장 많이 제거하였다. 실내 공기정화 시스템의 혼합광과 고연색광 두 가지의 경우에서 식물만 배치된 경우보다 미세먼지는 각각 14%, 14.2%, TVOC는 7.5%, 9.4% 로 더 크게 감소하였다. 팬을 15분 동안만 가동한 실험에서도 TVOC가 97.8%로 크게 감소하였다. 식물의 광합성과 토양을 필터로 활용하는 것이 오염된 공기를 짧은 시간에 정화시킬 수 있었고 팬의 일시적인 가동으로도 지속적인 가동의 효과를 얻었다.

난류유동 압력경계조건을 가진 실내공간에서의 오염물질 거동에 관한 수치적 예측 (A Numerical Prediction of Contamination Behavior in a Room under the Turbulent Flow and Pressure-Based Boundary Conditions)

  • 이재헌;노홍구;김광영;오명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272-1281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압력형 경계조건을 취급할 수 있도록, 속도 경계조건만을 취급 하는 전형적인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실제 상황에 가까운 실내 공간 내부의 유동장을 예측하였다. 이때 난류 흐름방식의 강제 대류를 해석하기 위한 지배방정식으로서는 저레이놀즈수 K-.epsilon. 난류 모델을 도입하였다.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영향을 받는 유동장이 예측된 후에는 실내에 존재하는 오염원의 갯수를 변화시키면서 실내 공간 에서의 오염 물질 분포를 수치적으로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내공간은 2차원 이라 가정하였으며 유동은 정상유동이라 간주하였다. 또한 실내 공간을 채우는 공기 량에 비하여 오염 물질의 양은 그 질량비가 0.1% 이하로서 상대적으로 아주적으므로, 오염된 공기의 밀도는 오염되지 않은 공기의 밀도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