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규원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3초

벼의 오믹스 정보기반 GWAS 사례연구

  • 김규원;유지민;피탁탄사쿨 룽나빠;김동희;남정례;추상호;박상원;안일평;최용수;조유현;이영상;문중경;박용진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16
    • /
    • 2017
  • PDF

다공성 금속판의 pore size에 따른 관성임팩터의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f Impactor Using Porous Metal Substrate in Various Pore Sizes)

  • 정정선;권순박;이규원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5-156
    • /
    • 2002
  • 관성임팩터(inertial impactor)는 입자의 관성을 이용하여 기류로부터 입자를 분리하는 장치이며 입자를 입경별로 포집하는데에 높은 효율을 가지며 작동하기에 간편하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임팩터는 입자의 되튀김(bouncing), 재유입(reentrainment), 그리고 과적(overload)과 같은 입자와 충돌판의 상호작용에 의한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충돌판의 표면에 그리스(grease) 또는 오일(oil)을 코팅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중략)

  • PDF

Ne gas intercalation in trilayer graphene

  • 오하나;어규원;신은하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4회(2015년)
    • /
    • pp.408-411
    • /
    • 2015
  • Trilayer graphene에 비활성기체 중 하나인 Ne 원자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density functional theory calculation을 이용해서 연구하였다. ABA stacked trilayer graphene의 $4{\times}4$ super cell에서 top surface에 adsorption되는 경우와 trilayer 내부에 intercalation 되는 경우에 대하여 energy를 계산하여 Ne 원자들의 안정한 위치를 찾았다. Adsorption의 경우 hollow site가 가장 안정하였고 intercalation의 경우에도 top layer의 hollow site의 아래가 가장 안정하였다. 또한 Ne 원자 2개가 adsorption되는 경우의 adsorption energy를 통하여 Ne 원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예측하였다.

  • PDF

화학흡착(CVD)법에 의한 TiC 흡착시 하경사(TiN, TiCN)이 피복 길항합금의 항면력, 흡착력 및 공패수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derlayer(TiN, TiCN) on Transverse Rupture Strength, Bonding Strength and Cutting Tool Life of Cemented Carbide Coated with Titanium Carbide by CVD Process)

  • 이건우;오재현;이규원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6-16
    • /
    • 1991
  • Generally brittle eta phase produced during TiC deposition has a effect on the TRS (transverse rupture strength ; though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eta(η), phase for the improvement of tool life. At this experiment some properties (TRS, bonding strength, tool life, eta phase)have been investigated by inserting TiN or TiCN underlayer between TiC layer and substrat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by inserting underlayer eta phase were decreased and TRS was increased, but the bonding strength was decreased. 2. the diffusion of W, Co from the substrate was hindered by the underlayer. 3. TiC layer with TiCN underlayer had the finsest grain size. 4. by inserting underlayer (TiCN or TiN) the tool life was improved and especially notch and crater wear resistance was greatly improved.

크리깅 방법을 기반으로 한 레이더 강우강도 오차 조정 (The Adjustment of Radar Precipitation Estimation Based on the Kriging Method)

  • 김광호;김민성;이규원;강동환;권병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27
    • /
    • 2013
  • 정량적인 강수량 추정은 기상학 수문학적 연구와 활용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량적 강수량 추정을 위하여 레이더 강우의 지리통계적 오차 구조 함수를 공동크리깅에 적용하여 레이더 강우강도를 조정하였다. 레이더 강우강도의 오차는 공동크리깅의 주변수로서 지상 우량계와 레이더의 강우강도의 차이로 산출되었다. 지상 우량계 강우장은 공동크리깅의 이차변수로서 정규크리깅에 의해 산출되었다. 레이더 강우강도의 오차 분포는 실험적 베리오그램으로 결정된 이론적 베리오그램을 공동크리깅에 적용하여 생성되었고, 레이더 강우강도 조정을 위하여 레이더 강우강도의 오차 분포를 레이더 강우장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하여 국지적으로 호우가 발생하였던 2009년 7월 6일에서 7일까지의 강우 사례를 선정하였다. 오차가 조정된 1시간 레이더 누적강우량과 지상 우량계 누적강우량의 상관성은 조정 전에 비하여 0.55에서 0.84로 향상되었고, 평균제곱근오차는 7.45에서 3.93 mm로 조정되었다.

국지 우량계 보정 방법을 이용한 레이더 강우 조정 (Adjustment of Radar Precipitation Estimation Based on the Local Gauge Correction Method)

  • 김광호;이규원;강동환;권병혁;한건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5-130
    • /
    • 2014
  • 우리나라에서 악기상으로 인한 재해 유발 가능성이 높아짐으로써, 방재 및 수자원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국지성 강한 강우에 대한 방재를 위해서는 강우량을 정량적으로 관측 및 예측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추정 오차의 지구통계학적 유효반경을 LGC 방법에 적용하여 레이더 추정강우를 조정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지구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레이더 강우의 실제오차에 대한 유효반경을 결정하였고, LGC 방법을 기반으로 여름철 집중호우 네 사례의 레이더 강우를 조정하였다. 여름철 집중호우 사례의 레이더 1시간 누적강우량과 총누적강우량의 오차는 조정 후 각각 약 40%와 60% 이상 개선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여름철 국지적으로 강한 강우 현상의 레이더강우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Streptococcus pyogenes 유래 cyclomaltodextrinase 유전자의 발현 및 효소 특성 (Functional expression and enzymatic characterization of cyclomaltodextrinase from Streptococcus pyogenes)

  • 장명운;강혜정;정창구;오규원;이은희;손병삼;김태집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08-215
    • /
    • 2017
  • Streptococcus pyogenes ATCC 700294 유전체로부터 cyclomaltodextrinase (SPCD)로 예상되는 유전자를 발견하였다. SPCD는 총 56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66.8 kDa의 효소이며, 기존에 알려진 CDase 계열 효소들과 37% 미만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SPCD 유전자를 클로닝하였으며, 대장균 내에서 카복시 말단에 6개의 histidine 잔기가 결합된 dimer 형태로 발현 및 정제되었다. SPCD는 pH 7.5, $45^{\circ}C$의 반응조건에서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eta}$-cyclodextrin, starch, maltotriose를 기질로 반응하여 maltose를 주산물로 생성하였다. 또한 pullulan을 panose 단위로 분해하며, acarbose를 glucose와 acarviosine-glucose로 가수분해하는 CDase 계열의 효소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SPCD는 다른 효소에 비해 저분자 소당류인 ${\beta}$-cyclodextrin에 대한 활성이 매우 높고, starch 및 pullulan과 같은 고분자 기질에 대해 매우 낮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maltotriose 분해 활성이 매우 낮은 반면 acarbose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가수분해 활성을 가지나, 당전이 활성은 매우 낮아 다른 CDase 계열 효소들과 구별된다.

기상청 기상레이더 관측망을 이용한 합성 하이브리드 고도면 강우량(HSR)의 정확도 검증 (Accuracy Evaluation of Composite Hybrid Surface Rainfall (HSR) Using KMA Weather Radar Network)

  • 류근수;정성화;오영아;박홍목;이규원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496-510
    • /
    • 2017
  • 본 연구는 기상청의 기상레이더 관측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고도면 강우추정 기법 기반의 새로운 정량적 합성강수량 추정 방법을 제시한다. HSR기법은 지형클러터, 빔차폐, 비 기상 에코 및 밝은 띠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하이브리드 고도면의 반사도를 합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HSR 합성반사도는 정적 HSR (STATIC)과 단일편파레이더에 대한 퍼지로직 기법과 이중편파레이더에 대한 시선방향 질감 기반의 품질관리 절차를 사용하는 동적 HSR (DYNAMIC) 합성으로 구분된다. STATIC과 DYNAMIC은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10개의 강우 사례에 대해 기상청 현업용 합성강우(MOSAIC)와 비교검증 하였다. 차폐 영역에서 STATIC, DYNAMIC, MOSAIC의 상관계수는 각각 0.52, 0.78, 0.69이며 평균 상대 오차는 각각 34.08, 30.08, 40.71%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