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예비 중등 교사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5초

강원지역 수학과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 Gangwon-do who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 오주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379-39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a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 in mathematics. Th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data collected from 126 preservice teachers in Gangwon-do who major in mathematics. The data collected include experience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The data have been analyzed by reliability tes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Most of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 in mathematics have had no experience of multiple cultures. But they have shown a high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 their experience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Furthermore, the female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are much more high than the male preservice teachers'. Th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sex has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중등수학 예비교사 교육에서 협동마이크로티칭의 활용 가능성 탐색 (The utilization of cooperative microteaching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이봉주;윤용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3호
    • /
    • pp.399-41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using cooperative microteaching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it after actual application case.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at cooperative learning came into the highlight as a good method to cultivate teachers' competencie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s well as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20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articipated in their cooperative microteaching and 16 of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showed that the merits of cooperative microteaching are to ease the burden of preparing for class, to discuss how to teach mathematics, to debate what lesson is better, to receive valuable feedback form their peer, and so on. Also, it provided them with the chance for self-improvement in that they kept to make up for the week points in their teaching behavior. Meanwhile, they wanted longer time to experience their teaching and their own lesson.

현직 및 예비 지구과학교사의 '별의 진화'에 대한 개념 이해 분석 (Analysis of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In-service and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about 'Stellar Evolution')

  • 하민경;손정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38-547
    • /
    • 2019
  • 본 연구는 현직 및 예비 지구과학교사의 H-R도와 별의 진화에 대한 개념 이해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개념 지위 분석틀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이해 가능성 영역에서 현직교사의 비과학적 용어 사용이 다수 발견되었고, 그래프작성에서 낮은 과학적 탐구 능력과 개념에 대한 비과학적 비유가 발견되어 교수 과정에서 잘못된 개념 전달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예비교사는 중등교육과정 연계 문항에서 다수의 오류를 보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학교 현장에 적용이 더 잘 될 수 있도록 예비교사 교육 과정의 개선이 필요하겠다. 개연성 영역에서, 두 집단 모두 별의 진화가 갖는 우주론적 의미를 이해하고 있었으나, 예비교사의 별의 실제기작에 대한 설명이 구체적이지 않았다. 유용성 영역에서, 현직교사는 지구과학의 학문적 특성을 반영한 교육적 고민을 하고 있었고, 지식을 현실 문제해결에 활용, 적용하려는 경향이 높았다. 반면, 예비교사는 높은 무응답률을 보여 H-R도와 별의 진화를 실용적 개념으로 파악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두 집단 모두에서 H-R도와 별의 진화에 대한 비과학적 개념이 다수 발견되어 교사 교육 및 교수 학습 계획 수립 시 주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성 중심 교수 모형에 대한 이해와 실천이 예비 중등 과학교사의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Understanding and Practices of Character-centered Instruction Model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wareness of Character Education)

  • 박지훈;강유진;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279-295
    • /
    • 2021
  • 이 연구는 인성 중심 교수 모형의 적용이 예비 과학교사의 인성 교육과 과학 교과에서의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예비 과학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인성 교육과 과학 교과에서의 인성 교육에 대한 사전 인식조사를 하였고, 1학기 동안의 강좌를 통해 인성 중심 교수 모형인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CoproC) 모형 및 인성 교육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이후 사후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인식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예비 과학교사의 일반적인 인성 교육에 대한 사전 인식은 대체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과학 교과에서의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인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역시도 과학 교과 자체의 특성으로 인한 역량의 개발보다는 특정 내용 및 소재와 인성 교육을 연결지어 생각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CoproC 모형에 대한 경험은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성에 대한 관점을 역량적 관점으로 변화시켰으며 이에 따라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교사양성기관에서 예비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인성 교육 방법에 대한 교육은 인성 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켜 장기적으로 학교 현장에 효과적인 인성 교육의 정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예비 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 (Narrative Inquiry on Student-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with Extra Curricular Science Classes of a High Schoo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Constructed by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오필석;이선경;이경호;김찬종;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46-5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26명의 예비 중등 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분석하여 그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예비 과학 교사들은 과학반 지도 경험을 계기로 교과 내용 지식의 중요성에 대해 자각하고 이를 스스로 학습할 뿐만 아니라, 가르치는 상황에서 그들의 교과 내용 지식은 과학 내용을 교수법적으로 전환하는 문제에까지 이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은 또 학생들과의 관계에 관한 지식과 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교수법적 지식을 몸소 체득하였고, 새로운 수업의 맥락에서 과학의 본성을 새삼 발견하였다. 이와 더불어 예비교사들은 실제 교육 경험을 통해 교사로서의 자아에 관한 지식과 장차 과학 교육 현장에서의 교육적인 실천에 관련된 지식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실제적인 지도 경험을 통해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은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계발하기 위한 토대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과정과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과학 교사 교육 및 관련 연구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수학 교과 독서 지도를 위한 교사 교육 실행 - 예비 교사 교육 사례를 연계한 현직 교사 연수 -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r the Teaching of Content Area Reading in School Mathematics)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3호
    • /
    • pp.471-48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 독서의 이해'를 주제로 수학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교사 연수는 교과 독서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심화하고 효과적인 교과 독서 지도의 실천을 유도하고자 계획되었다. 특히, 연수 과정에서는 예비 수학 교사 교육의 지도 내용을 현직 수학 교사 연수 과정에 접목시키면서 교과 독서 지도에 대한 실천 사례를 구체적으로 예시하였다.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교과 독서 지도를 의미있게 실천하는 다양한 방법을 접하면서, 자신의 지도 경험을 반성적으로 되돌아보고 이전보다 개선된 지도 방법을 탐색해 나가는 학습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 교사 양성 기관과 중등학교 현장에서의 실천 사례가 공유되면서 교사 교육자나 교사 모두에게 개선된 교육 실천을 위한 학습 경험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교사 연수의 실행 과정과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한다. 나아가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제언을 하였다.

  • PDF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Domestic Research Trends of Teacher Knowledge in Mathematics)

  • 송근영;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265-287
    • /
    • 2013
  • 본 연구는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연구경향을 교사지식의 개념,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내용영역의 측면에서 상세하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4년(1999-2012) 동안 국내 수학교육 관련 9개 학술지에 게재된 교사지식에 관한 연구물을 대상으로 5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지식의 개념 중 PCK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한 반면 PCK의 하위요소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주제는 교사지식의 실태 분석에 편중되어 있었고,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가 양적 연구보다 다소 많았으며 혼합연구는 저조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 교사가 중등 교사보다 조금 많았고, 예비교사와 경력교사는 비슷하였다. 내용영역 측면에서는 초등은 수와 연산 영역이, 중등은 함수 영역이 가장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추후 연구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중학교 영재학생과 예비교사의 영(0)에 관한 인식과 오류 (Conceptual errors related to zero by secondary school gifted student and preservice teachers)

  • 박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4호
    • /
    • pp.357-369
    • /
    • 2007
  • Teachers and students' knowledge of zero was investigated through data collected from 16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nd 20 gifted secondary school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these teachers and students had an inadequate knowledge about zero. They exhibited a reluctance to accept zero as an attribute for classification, confusion as to whether or not zero is a number, and stable patterns of computational error. Although leachers and researchers have long recognized the value of analyzing student errors for diagnosis and remediation, students have not been encouraged to take advantage of errors as learning opportunities in mathematics instruction. The article suggests using errors as springboards for inquiry in action, discusses its potential contributions to mathematics instruction by analyzing students and preservice teachers errors related to zero.

  • PDF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전기 자동차 만들기 동영상 강의 컨텐츠 분석 (Content analysis of video lecture on making electric car for prospective teachers)

  • 이은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443-44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상에서 수행된 실습 수업 방식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전기 자동차 만들기'수업 주제로 실습 수업을 설계하였으며, 온라인 동영상 강의 컨텐츠 3편을 제작하였다. 동영상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해 교수용 홈페이지 제작, 수업에서 사용할 동영상 제작, 과거 촬영하거나 제작해 두었던 동영상 준비, 실습 재료 준비, 실습 활동 관련 교과서 준비 등 다양한 교수학습자료를 사전에 준비하였다. 동영상 강의 컨텐츠는 CODTRA 분석 방법을 이용 하였으며, 분석 코드는 '동영상에서 제시된 교수학습자료'와 '교수자가 행하고 있는 상태'이었다. 분석 결과는 CODTRA 다이어그램에 의해 분석 코드를 시간에 따라 도식화하여 도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중등학교의 기술 교과나 공업계 교과에서 온라인 실습 수업을 위한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학교현장실습이 중등 예비수학교사들의 교사의 지식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친 영향 (Effect of teaching practicum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 changes about teacher's knowledge)

  • 심상길;이강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4호
    • /
    • pp.351-363
    • /
    • 2015
  • In this study, 45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ere surveyed about how the perception of knowledge through teaching practicum have changed and how the knowledge learned in college and teaching practicum helped to format teachers' knowledge and analyzed survey's resul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felt the knowledge for understanding students were needed the most and considered the experiences from teaching practicum were more useful than the knowledge learned from college classes. However, they had low appreciations on connecting knowledge on learned contents with real-life or other subjects and on necessity of knowledge of using various learning tools or mathematical materials in class. Also, they have answered the knowledges from college classes and teaching practicum were useless in those areas. Especially, they pointed out that guidance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um were insufficient in instructing. Therefore, we suggest the following two to improve the teaching abilit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rough teaching practicum. First, college and secondary school cooperating programs such as class-observation and student-mentor system connected with local society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 special re-training program for guidance teachers of teaching practicum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