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조법식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8초

송(宋) "영조법식(營造法式)" 을 통해 본 목조건축(木造建築) 평면(平面) 척도구성(尺度構成)의 고찰(考察) (Plan Dimension of the Wooden Architecture with a Special Reference of Yingzaofashi(營造法式) of Song Dynasty)

  • 이용준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3호
    • /
    • pp.119-128
    • /
    • 2005
  • In ancient times, architectural design was seen as a critical task in building technologies. Specifically, form, dimension and structural design are of significant. These aspects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to be emerged as a whole. Designing plan dimension was deemed to be the core of design technology due to its close relationship with module system. Thus, its evolution as well as development process typically represents and reflects the spirits and contents of design technologies in ancient China. In China, the materials regarding ancient architectural technology include Yingzaofashi(營造法式) of Song Dynasty and Gongchengzuofazeli(工程做法則例) of Qing Dynasty. They show many aspects concerning materials, structure, scale system and building. In Yingzaofashi, although the length of objects are decided by 'cai(材)' and 'fen(分)', there are no regulations on length, width and height of a building. However, in the construction of ancient buildings, the above mentioned basic scales are very important in both design and construction. The present paper attempt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namely, the design principles of length, with and height of ancient chinese architecture.

  • PDF

송(宋) 《영조법식(營造法式)》 중 월량(月梁) 보머리 가공 규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Manufacturing Norms of Wollyang(月梁) Head in the 《Yeongjobeosig(營造法式)》 Song Dynasty)

  • 이용준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33-40
    • /
    • 2019
  • Woolyang(月梁) is a beam which whole shape is curved like a so-called moon(月). According to the ${\ll}$Yeongjobeosig(營造法式)${\gg}$, In the case of beams installed under the ceiling of a wooden building, it is used by manufacturing them in Woolyang(月梁) for maximum visual decorative effects as the shape is exposed. In order to achieve the end of a beam that is manufacturing in Woolyang(月梁), it is important to process it in a suitable size and shape for a given situation to achieve a combination with other members around it. However, in the "營造法式", the standard of production of the Woolyang(月梁) is divided into Myeongbog(明?), Chagyeon(箚牽), Pyeonglyang(平梁), and the height of each beam head is divided into 21分$^{\circ}$, 15分$^{\circ}$, 25分$^{\circ}$, but it is not possible to look at any more specific reference. In this paper, try to consider the principle of Woolyang(月梁) manufacturing and its normative contents which were indirectly proposed in the ${\ll}$Yeongjobeosig(營造法式)${\gg}$.

송 『영조법식』의 건축계획 치수 단위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자(尺) 단위 계획설과 분(分°) 단위 계획설 간의 논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mension unit of framework on Yingzaofashi - Confrontation between Chi(尺) hypothesis and Fen(分°) hypothesis -)

  • 백소훈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3호
    • /
    • pp.7-16
    • /
    • 2022
  • Fen(分°) is the proportional dimension unit of the standard timber section on Yingzaofashi(營造法式), and there is a phrase that not only structural members but the whole structural design of a building also use Fen as the dimension unit on the book. But in fact only the section dimensions of structural members are recorded by Fen, but the design dimensions are recorded by Chi(尺) on the book. Other historical records also described the building size by Chi. So there has been long-standing debate on the phase in Chinese architectural history society, including the recent confrontation on the analysis of survey figures of the east great hall of Foguangsi temple(佛光寺 東大殿). This paper analyzes all the records about the size of structural members and section planning on the book to make various calculation and evaluation. And it makes a survey of Cai(材) as the dimension and design unit between Chi and Fen through geometric analysis. Cai might be a rough unit of measurement in terms of structural and proportional scheming on Yingzaofashi, and the full size Cai(足材) had been a building scheming module before the Song dynasty.

중국 영파 보국사(保國寺) 대전의 7포작 양초양앙(兩抄兩昻) 공포의 외출목거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truding Distance of Seven-Layered Gongpo of Baoguosi Main Hall in Ningbo China)

  • 이정아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2호
    • /
    • pp.7-1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imensions of the Protruding distance of Seven-layered Gongpo of Baoguosi Temple Main Hall in Ningbo, China, and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dimension through the "Yingzaofashi(營造法式)" and other similar cases. Through this study, it is clarified that the "Yingzaofashi" stipulates the limited use of the structural role of Ha-ang, but Baoguosi Temple Main Hall has expanded the structural role of Ha-ang actively by increasing the total Protruding Distance and effectively controlling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layer where Ha-ang is placed. And as a result, the effect of lowering the total height of the protruding part was confirmed.

부록 공정주법칙례(工程做法則例)의 해제(解題)와 권(卷)1 부분(部分)의 주석(註釋) (Appendix The Annotation of 『Gongchengzuofazeli (工程做法則例)』, and Commentary on its First Volume)

  • 한동수;동건비;이성호;양희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2호
    • /
    • pp.82-119
    • /
    • 2010
  • "공정주법칙례(工程做法則例)"는 건물의 영조표준을 통일하고 공정관리제도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청나라 옹정(雍正) 12년(1734년) 공부에서 간행한 책이다. 영조표준을 만들기 위해 두구(斗口)를 기준으로 한 부재 하나하나의 치수가 기록되어 있으며, 공정관리를 위한 여러 비용의 기록 또한 존재 한다. 현재 이러한 기록들은 당시의 건축기술 및 건축환경을 짐작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건축사학계는 북송 시기에 간행된 "영조법식(營造法式)"의 연구에 집중된 경향이 있어 "공정주법칙례"는 그 중요성은 인정 받고 있으나 아직 번역 작업조차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공정주법칙례"의 기본적인 내용들을 서두에 밝히고, 권1의 원문을 번역하여 소개함으로써 이후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중국 당(唐).송(宋) 목조건축의 하앙 결구기법 변천 연구 (The Study of the Techniques of the Xia-ang Structure in China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y)

  • 장헌덕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6호
    • /
    • pp.115-129
    • /
    • 2011
  • The bracket sets which are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roof, has to meet both requirements which are structural functions and act as an ornamental element. Therefore the bracket sets differ in many types from time and space and has done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with many studies being presented. The first form of the bracket set has been found in the bronze table relics in zhong shan wang ling (中山王陵). Through the Eastern Han dynasty (A.D. 25-220) it became more specific in the shique (石闕) and huaxiangshi (畵像石) in the Han dynasty (206 B.C.-A.D. 220). Afterwards, as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the bracket construction techniques shown in the Mogao Caves, Yungang Grottoes, and Longmen Grottoes has given much help for understanding the building techniques of wooden architecture. Especially the Xia-ang structure seen in the Mogao caves shows a vast development in wooden structure and a typical building would be the main hall of Fo Guang Shan monastery in Mt. Wutaishan from the Tang dynasty (A.D. 618-907). This accumulated techniques is inscribed in the 'Ying Zao Fa Shi (營造法式)' wooden structure designs which was published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A.D. 960-1127) and many buildings were constructed following this technique after the publication. During this period, it is assumed that Baek-jae (B.C.18-A.D.660) in the Korean peninsula also used the Xia-ang technique, but there havn't been many studies on this field. In this thesis it is introducing the development of the building techniques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Xia-ang wooden architecture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y.

한중 목조건축 도리 결합방식 변천(變遷)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nsition of Purlin Coupling Method of Korean and Chinese Ancient Wooden Constructions)

  • 차주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4호
    • /
    • pp.22-47
    • /
    • 2014
  • 본 연구는 한중 고건축 내부 가구(架構) 중 소슬재의 위치와 도리와 보의 결합 형태를 분석하여 동아시아 목조구조 체계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동아시아 국가인 한국과 중국의 고대 목조건축은 서까래와 도리, 그리고 보를 결합하여 건물의 윗부분을 구성하고 기둥과 결합하여 건물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목조 구조 체계의 원리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세부적인 기법상의 차이가 지역성과 시대성, 국가성을 띠고 있다. 중국건축 내부 가구 중 도리와 보의 결합 형태와 차수(叉手), 탁각(托脚)의 지지점 위치가 시대에 따라 차이점을 보이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에 따라 세부 수법이 다른 것으로 보인다. 15세기 이후 건축에서는 차수와 탁각이 없어지는 현상을 보이며 특히, 탁각은 명대 관식건축에서는 완전히 없어졌으며 주된 이유는 도리와 보의 결합 방식의 차이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5세기 이전에는 도리와 보가 서로 떨어져 결합되고 있었으나, 15세기 이후는 도리와 보가 서로 결합하고 보의 단면적이 비약적으로 커져 도리 좌굴을 방지하는 수법이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 탁각의 경우 당 오대 시기에는 탁각의 상부 위치를 봤을 때 도리와 직접적인 결합은 없으며, 도리의 좌굴을 방지하는 부재보다 내부 가구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부재라고 볼 수 있다. 송대 이후 원대까지도 송 "영조법식"의 기록과 다른 건축물이 많은 것으로 보아 탁각의 적용 여부는 지역, 혹은 장인의 수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원대 이전 우진각 지붕의 측면 도리 부근과 팔작 지붕 합각 아래 구조에서도 탁각이 있는 것 보아 종단면과 횡단면에서 모두 볼 수 있는 부재이며, 지지점의 위치를 보아 도리를 직접 지지하는 부재라기 보다 우진각 지붕의 측면 구조나 팔작 지붕의 측면 합각 구조의 안전성에 기여하는 부재로 보인다. 한국건축 중 고려시대에 반 'ㅅ'자형 소슬재(중국명: 탁각[托脚])가 유행하지 않은 이유는 도리의 좌굴을 방지하는 기법(도리 받침재)이 널리 유행하여 반 'ㅅ'자형 소슬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도리가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을 선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도리는 도리+장혀+도리 받침재+보의 구성을 보여 도리가 직접 보와 결구되지 않는 특징이 있으며, 조선시대 이후 도리가 보의 단면적의 범위에 속해 도리가 좌굴 되는 현상을 방지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15세기 이후 중국건축에서도 같은 모습을 보이며, 15세기 이후 도리 좌굴에 대한 세부 기법이 한중 양국의 지역성과 국가성을 뛰어 넘어 보편성을 가진 예라 생각된다. 조선중 후기 건축에서 지붕부의 하중을 줄여 주는 방법인 덧걸이 수법이나 덧서까래 사용은 도리에서 보로 전달되는 하중을 줄여주어 도리 좌굴을 감소시켜 주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조선시대에 건물을 영조하는 장인들의 도리 좌굴을 방지하는 또 다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한중 고건축 도리와 보의 결합 구조와 소슬재의 연구는 고려시대 이전 건축을 복원, 설계하는 연구에 기초적인 연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궁궐 정전건축 기둥 안쏠림기법 고찰 (The Study on the Anssolim Technnique of Columns of Main-hall Architectures in Korean Palaces)

  • 김덕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2호
    • /
    • pp.40-59
    • /
    • 2010
  • 기둥 안쏠림 기법은 아직 구체적으로 규명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으므로 관련 연구에 한계를 초래하고 있다. 선행 조사연구 자료가 희박한 상황에서 안쏠림 기법은 3차원적 정밀 실측조사를 통해서 알아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 궁궐 정전은 제도를 준수해 세운 건물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안쏠림 기법을 파악함에 적절한 대상으로 판단, 고찰하여 몇 가지 중요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조사 고찰한 궁궐 정전에서 안쏠림은 어칸 기둥에서 가장 크게 가해져 있고, 점차 귀기둥에 이르면서 작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나 있다. 2. 중층 정전에서 층단주로 세워진 2층 처마기둥은 어칸에서 가장 큰 치수로 건물 안쪽을 향해 들여세우기 되어 있으며 점차 귀기둥에 이르면서 들여세우기 치수가 작아지는 독특한 기둥배치 방식이 밝혀졌다. 이러한 2층 처마기둥 들여세우기는 어칸의 경우 1층 초석부터 2층 처마기둥 하단까지의 높이에 해당하는 안쏠림 크기에 따라 이루어져 있음으로 밝혀졌다. 3. 중층 정전에서 2층 처마기둥 안쏠림은 1층 처마기둥에 비해 대체로 1/3 내지 1/4 정도로 작게 적용되어 있음으로 고찰되었다. 안쏠림은 1층과 마찬가지로 어칸 기둥에서 가장 크게 가하고, 점차 귀기둥에 이르면서 작게 감소시켜 적용하는 기법이 내재되어 있음으로 파악되었다. 4. 궁궐 정전에서 안쏠림은 어칸 기둥에서 가장 큰 치수로 적용되어 있으며, 점차 귀기둥에 이르면서 작아져 수렴되는 독특한 기법이 고찰되었다. 이러한 안쏠림 기법은 송(宋) "영조법식(營造法式)"과 차별되는 한국건축 고유 기법일 가능성이 있음으로 점쳐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궁궐 정전을 대상으로 한정적인 고찰에 그치고 있으나, 고건축 기둥 안쏠림에 대해 기법 측면에서 새롭게 조명하였으며, 기술사 연구에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다. 제한적인 일부 건물에 대한 고찰 결과는 보편성을 지니기 어려움을 인정하나, 직접 실측조사 작업을 수행한 궁궐 정전만을 대상으로 하여 정치한 고건축 기법분석에 대한 오차범위를 좁히고자 하였다.

경복궁 아미산의 조영과 조산설(造山說)에 관한 고찰 (Studies on the Construction and the Artificial Mountain Theory of Amisan in the Gyeongbok Palace)

  • 정우진;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2-89
    • /
    • 2012
  • 본 연구는 사료 및 도상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경복궁 교태전 북쪽의 아미산 화계가 인공산이라는 기존의 주장을 재검토하고 반론을 제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회지를 판 흙으로 아미산을 조산했다는 논리는 그간 정설로 여겨졌으며, 의심 없이 대부분의 경복궁 관련 논저와 단행본에서 반복되어 기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료에서 전혀 발견되지 않는 아미산 조산설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였는데, 기존 주장에 내재된 논리적 모순, 경회지 축조시기와 교태전 건립 시점의 불일치, 영조와 고종 연간에 제작된 도형사료에서 나타난 백악산과 아미산을 잇는 산줄기의 존재, 아미산 북쪽에 있는 흥복전에서 동쪽 담장을 경계로 높은 위차를 보이고 통행기능이 없다는 점, 중건 당대에 아미산을 풍수적인 아미사(蛾眉砂)로 인식하고 있는 것과 세종 연간에 경복궁 주산논쟁 결과 조치된 경복궁 내맥의 보존에 관한 주장이 그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교태전 북쪽의 언덕이 아미산으로 불러지게 된 기원과 잘못된 조산설이 등장하게 된 원인을 규명하였는데, 풍수용어 아미사가 음변되어 아미산이 되었다는 것을 밝히고, 중국 사천에 있는 도불(道佛)성지인 아미산을 모방한 의경의 조성과 천연두신을 퇴치하기 위한 벽사적 의미의 아미산 조영관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아미산 조산설은 천지조산(穿池造山)식 조경법식을 경회지와 아미산에 소급시킨 것으로 보이며, 1980년대를 전후로 주장이 등장하게 된 것으로 조사 되었다. 백악산과 아미산을 잇는 용맥은 일제가 1915년 경복궁에 개최한 대규모 박람회를 기점으로 상당부분 절토되었으나, 교태전 동북쪽에 위치한 탐방로를 따라 낮은 둔덕이 약 70m 가량 이어져 있어 일제 강점기에 이 지맥이 아주 없어진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표고분석 결과 녹산에서 아미산까지 불연속적인 언덕이 일정한 축을 이루는 것이 발견되어 아미산의 용맥을 대략적으로 가늠해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아미산 용맥에 관한 기초연구를 통해 향후 경복궁 지형복원의 주요한 단서를 제공하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