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Construction and the Artificial Mountain Theory of Amisan in the Gyeongbok Palace

경복궁 아미산의 조영과 조산설(造山說)에 관한 고찰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reconsider the theory that the renowned Amisan(峨眉山) terraced garden at north of Gyotaejeon(交泰殿) was artificially made, by reviewing the historical records and drawings.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Amisan was made of the digged soil from Gyeonghoeji(慶會池). But several arguments about artificial mountain theory of Amisan that completely not be found in historical records have been rai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inherent contradiction in existing opinion, the discordance between the time of building Gyeonghoeji and Gyotaejeon, the existence of the mountain range which connect Baekaksan and Amisan appeared in Dohyeong(圖形), historical documents written in the years of kingdoms of Youngjo(英祖) and Gojong(高宗), a high position seen from Heungbogjeon(興復殿) in the north Amisan through the wall in the east but impassable, an opinion about realization Amisan as geomantic term of Amisa(蛾眉砂) at the time of Gyeongbok Palace reconstruction, and preservation of the mountain range in Gyeongbok Palace that comes from the result of the arguments in main mountain of Gyeongbok Palace in the year of Sejong(世宗).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why the slop in the north of Gyotaejeon was named as Aminsan and why the artificial mountain theory is appeared and made a conclusion that the Amisan comes from the change of the pronunciation of the geomantic term "Amisa", and modeling the yijing[意景] of Amisan which is a sacred place of Taoism and Buddhism in Sichuan[四川] of Chinaand the view of construction to mean defeating a spirit of smallpox which had to be cured. And it seems to be a result which retroactively applied the artificial mountain theory of Amisanis the technique of 'constructing mountain with digged pond dir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Gyeonghoeji and Amisan. The greater part of mountain range which was connecting with Baekaksan and Amisan was seriously disconnected with large scale of exposition by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1915. But low slope is kept about 70 meters along the trail northeast of Gyotaejeon.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the range has not been entirely destroy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elevation analysis, discontinuous slope form certain axis is found, so the mountain range of Amisan is approximately estimated. This basic research about the mountain range of Amisan might provide a critical clue about restoration of topography in Gyeongbok Palace.

본 연구는 사료 및 도상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경복궁 교태전 북쪽의 아미산 화계가 인공산이라는 기존의 주장을 재검토하고 반론을 제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회지를 판 흙으로 아미산을 조산했다는 논리는 그간 정설로 여겨졌으며, 의심 없이 대부분의 경복궁 관련 논저와 단행본에서 반복되어 기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료에서 전혀 발견되지 않는 아미산 조산설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하였는데, 기존 주장에 내재된 논리적 모순, 경회지 축조시기와 교태전 건립 시점의 불일치, 영조와 고종 연간에 제작된 도형사료에서 나타난 백악산과 아미산을 잇는 산줄기의 존재, 아미산 북쪽에 있는 흥복전에서 동쪽 담장을 경계로 높은 위차를 보이고 통행기능이 없다는 점, 중건 당대에 아미산을 풍수적인 아미사(蛾眉砂)로 인식하고 있는 것과 세종 연간에 경복궁 주산논쟁 결과 조치된 경복궁 내맥의 보존에 관한 주장이 그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교태전 북쪽의 언덕이 아미산으로 불러지게 된 기원과 잘못된 조산설이 등장하게 된 원인을 규명하였는데, 풍수용어 아미사가 음변되어 아미산이 되었다는 것을 밝히고, 중국 사천에 있는 도불(道佛)성지인 아미산을 모방한 의경의 조성과 천연두신을 퇴치하기 위한 벽사적 의미의 아미산 조영관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아미산 조산설은 천지조산(穿池造山)식 조경법식을 경회지와 아미산에 소급시킨 것으로 보이며, 1980년대를 전후로 주장이 등장하게 된 것으로 조사 되었다. 백악산과 아미산을 잇는 용맥은 일제가 1915년 경복궁에 개최한 대규모 박람회를 기점으로 상당부분 절토되었으나, 교태전 동북쪽에 위치한 탐방로를 따라 낮은 둔덕이 약 70m 가량 이어져 있어 일제 강점기에 이 지맥이 아주 없어진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표고분석 결과 녹산에서 아미산까지 불연속적인 언덕이 일정한 축을 이루는 것이 발견되어 아미산의 용맥을 대략적으로 가늠해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아미산 용맥에 관한 기초연구를 통해 향후 경복궁 지형복원의 주요한 단서를 제공하려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제희(2009). 정통 풍수지리 교과서 3. 서울: 문예마당
  2. 김대호(2007). 일제강점 이후 경복궁의 훼철과 활용. 서울학연구. 29: 83-131
  3. 김현욱(2003). 조선왕조실록에 의한 한양의 입지와 도성관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문화재관리국(1984). 조선조왕궁 중요건축물지정조사서(I). 서울: 문화재관리국.
  5. 문화재청(1995). 경복궁, 침전지역발굴조사보고서. 대전: 문화재청.
  6. 문화재청(2006). 사진으로 보는 경복궁. 대전: 문화재청.
  7. 문화재청(2007). 경복궁 변천사(상). 대전: 문화재청.
  8. 박경자(2009). 조선시대 정원. 서울: 학연문화사.
  9. 박정해(2009). 명십삼릉 -풍수지리와 건축-. 서울: 문예원.
  10. 鮮又日(1916). 朝鮮總督府始政五年記念共進會實錄. 京城: 博文社.
  11. 承政院日記.
  12. 신영대(2007). 풍수지리학원리. 서울: 경덕출판사.
  13. 윤국병(1978). 조경사. 서울: 일조각.
  14. 윤장섭(1978). 한국건축사. 서울 : 東明社.
  15. 윤정(2005). 18세기 경복궁 유지의 행사와 의례. 서울학연구. 25: 191-225.
  16. 이혜원(2008). 경복궁 중건 이후 전각구성의 변화.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장영훈(2004). 서울풍수. 서울: 도서출판 담디.
  18. 정동오(1986). 한국의 정원. 서울: 민음사.
  19. 정약용 저, 김남일, 안상우, 정해렴 역(2009). 마과회통. 서울: 현대실학사.
  20. 정우진, 심우경(2011). 창경궁 후원이용의 역사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71-89.
  21. 朝鮮博覽會京城協贊會(1930). 朝鮮博覽會京城協贊會報告書. 京城: 朝鮮博覽會京城協贊會.
  22. 朝鮮王朝實錄.
  23. 朝鮮總督府(1915). 朝鮮古蹟圖譜10. 東京: 朝鮮總督府.
  24. 朝鮮總督府(1916). 始政五年記念朝鮮物産共進會報告書第1卷. 京城: 朝鮮總25督府.
  25. 朝鮮總督府(1988). 朝鮮地形圖集成. 서울: 경인문화사.
  26. 朱純嘏撰, 續修四庫全書編纂委員會編(1995). 續修四庫全書: 子部醫家類. 1012.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7. 村山智順저, 최길성 역(1990). 조선의 풍수. 서울: 민음사.
  28. 최창조(1984). 한국의 풍수사상. 서울: 민음사.
  29. 한동수, 정종구(2007). 1945년 이후 경복궁 연구의 성과와 과제. 서울학연구. 29: 1-29.
  30. http://db.itkc.or.kr
  31. http://local.daum.net
  32. http://sjw.history.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