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적안녕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5초

중년 여성의 일상생활스트레스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영적 안녕과 대처기제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aily Hassl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Focusing on the Mediation and Buffering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and Coping Styles)

  • 김진이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4호
    • /
    • pp.41-75
    • /
    • 2016
  •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일상생활스트레스가 건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영적 안녕과 대처기제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시내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10여개 교회에서 40-50대 여성신도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230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경로 분석, 조절효과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상생활스트레스는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인 건강을 해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우울 수준을 높이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스트레스는 건강과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일상생활스트레스는 영적 안녕을 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치는 부분 매개 효과를 하고 있었다. 즉 일상생활스트레스는 영적 안녕을 저해하고, 저해된 영적 안녕은 신체 건강과는 연관성이 분명하지 않지만 정신건강을 해치고, 우울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스트레스가 건강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대처기제들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12개 대처기제 중에서 자기비판, 긍정적 해석, 자제 등 3개의 대처기제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 여성의 일상생활스트레스 원과 건강특성 간의 관계에의 부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천에의 함의와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적 간호중재가 노인 말기 암환자의 삶의 의미와 영적 안녕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piritual Nursing Care on Meaning of Life and Spiritual Well-Being of Terminal Cancer Older Adult Patients)

  • 윤매옥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5-144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effect of spiritual nursing care on meaning of life and spiritual well-being of terminal cancer older adult patients. Method: The study was a one group pre-posttest design. Data collection and intervention were performed from May 10 to December 20, 2007. The participants were 28 older adults in Jeonju city. Data was analyzed with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Result: Meaning of life, spiritual well-being,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spiritual nursing care (all p<.001). Meaning of life and the spiritual well-be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before and after spiritual nursing care, but it was not highly correlated after than before the spiritual nursing care. Conclusion: The study verified spiritual nursing care the improvement of the meaning of life and spiritual well-being for the terminal cancer older adult patients.

  • PDF

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 인식 (Spiritual Welling-Being, Attitude to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Care in College Students)

  • 이영은;최은아;이경은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4호
    • /
    • pp.294-305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영적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정도와 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대상자는 B 광역시에 소재한 3개 종합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를 제외한 대학생 143명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9월 1일부터 동년 9월 0일까지였다. 결과: 대학생의 영적안녕 정도는 평균 2.63(척도범위 1~4)으로 중간 정도였고, 죽음에 대한 태도는 2.74(척도범위 1~4)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약간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의 호스피스의 인식 정도는 일반적 인식에서 '알고 있다'라고 대답한 학생이 54.5%로 절반수준이었고, 호스피스 관련 교육을 '받은 적 없다'가 93.0%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호스피스를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 호스피스를 듣게 된 경로는 '종교기관'이 30명(38.5%)으로 가장 많았다. 호스피스의 목적에 대한 인식 정도는 3.90(척도범위 1~5)로 비교적 높았고, 호스피스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3.48(척도범위 1~5)로 중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의 목적에 대한 인식 정도는 호스피스인지, 추후 호스피스 수강 의향, 추후 호스피스 자원봉사 의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부모 생존 여부, 학교생활 만족도, 부모와의 관계, 호스피스 인지, 호스피스 관련교육 수강 유무, 추후 호스피스 수강 의향, 추후 호스피스 자원봉사 의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태도(r=0.175, P=0.037), 영적안녕과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r=0.203, P=0.015)은 각각 양의 상관관계였고, 죽음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 인식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일반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죽음 및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 권영은;김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62-26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우울, 영적안녕, 삶의 질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여 다양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편의표출한 충청남도 소재 2개 군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중 노인대학에 등록된 자로 인지기능에 장애가 없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187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2월부터 2015년 2월까지로 SPS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독거노인의 전체죽음불안은 2.94(${\pm}0.32$)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죽음과정의 불안 3.06(${\pm}0.32$)점, 사후죽음의 불안 2.88(${\pm}0.51$)점, 존재상실의 불안 2.75(${\pm}0.43$)점 순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의 특성에 따른 전체 죽음불안수준은 여성노인이 남성보다(t=125.39, p=.001), 나이가 적을수록(F=1.16, p=.003), 경제수준이 낮을수록(F=3.36, p=.000), 가족관계가 좋을수록(F=0.43, p=0.34), 종교가 있는 경우(t=125.39, p=.000)에 죽음불안이 높았다. 죽음불안은 우울할수록(r=.192, p=.009), 영적안녕이 낮을수록(r=-.234, p=.002) 삶의 질이 낮을수록(r=-.190, p=.009) 높았으며,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상태, 우울, 영적안녕으로 경제상태(${\beta}=-.36$, p=.000)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체 설명력은 20.3%이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감소를 위해 우울, 영적안녕,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중재프로그램과 더불어 사회보장체계가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간호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영적 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 완화간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on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toward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in Nursing Students)

  • 안은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45-51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영적 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 완화간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설계 연구이다. 일개 대학 간호학과 3학년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총 6주간 30시간의 간호윤리교육을 실시하였고 교육 전과 후에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윤리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영적 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간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가져오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본 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선행연구에서 실시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또한 죽음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변화를 가져오지는 못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이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Education for Spiritual Care Competence Reinforcement of Nursing Students)

  • 임현정;박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261-27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2017년 2월 27일부터 5월 19일까지 J시 소재 간호대학생 83명이 연구에 참여하여 실험군 42명과 대조군 41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영성교육은 자기 인식과 영성 및 간호의 영적 차원으로 구성되어 1회에 120분씩, 5주 동안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확인하였고 가설 검증은 χ2-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로 분석하였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수의 변화는 실험군의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영성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영성과 자아정체감, 영적 안녕과 삶의 만족도 및 영적간호역량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성교육을 시행하고 5주 후에도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이에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은 전인간호를 위한 영적 간호교육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활성화를 위한 실증적인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Death Perception, Spiritual Well Being and Terminal Care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 양진희;신성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10-520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 되었다. 연구 대상은 노인요양병원 6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81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2015년 7월 16일부터 2015년 8월 1일 까지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은 평균 4.30점, 영적 안녕은 평균 3.40점,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평균 3.84점이었고,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종교, 총 임상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적 안녕은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47), 영적 안녕이 평균 평점 1단위 증가할 때마다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상'그룹에 속할 확률이 Odds비 1.702로 나타났다. 노인요양병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간호중재 개발이 요구되며, 임종간호 스트레스 감소를 통해 임종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자녀관계가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영적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cultural adaption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piritu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

  • 윤은영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7호
    • /
    • pp.83-11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자녀관계가 영적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을 통해 아동의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7개 지역에 위치한 200개의 다문화교육 중점학교와 다문화 예비 초등학교 4-6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대상으로 119개의 대상학교에 재학중인 706명이 포함되었으며, 아동의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매개효과와 유의성 검증을 위해서 Sobel 검정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우선,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자녀관계는 아동의 영적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을 높이는 직접적 영향을 보였으나 아동의 문화적응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자녀관계는 아동의 영적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을 높임으로써 문화적응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암 환자의 질병.치료관련 요인에 따른 불편감과 영적안녕에 관한 연구 (Symptom Distress and Spiritual Well-Being in Patients with Cancer according to Illness and Treatment)

  • 배수현;박정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57-465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symptom distress and spiritual well-being in patients with cancer according cancer diagnosis, metastasis, treatment stage, number of hospitalizations and treatment modality. Method: The participants, 285 patients being treated in one of ten general hospitals either as in- or out-patients, completed the McCorkle and Young(1978) Symptom Distress Scale translated and adapted by Uhm(1986) and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by Paloutzian and Ellison(1982) translated by Choi(1990).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June 19 to September 30, 2006. Results: For symptom distr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cancer diagnosis(p=.018), metastasis(p=.000), treatment stage(p=.000), number of hospitalizations(p=.000), and treatment modality(p=.002). For spiritual well-being,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r cancer diagnosis(p=.002). Patients with ovarian/uterine cancer had the lowest spiritual well-being. Conclusion: For patients with cancer, symptom di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illness and treatment factors, in particular, stage of illness, while for spiritual well-being, patients with uterine ovarian cancer had the lowest spiritual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decrease symptom distress in patients according to treatment stage and to promote spiritual well-being, particularly in women with ovarian/uterine canc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