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적간호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4초

말기암환자의 영적 안녕과 통증, 불안 및 우울과의 연관성: 예비 연구 (Associ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Pain, Anxiety and Depress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 Pilot Study)

  • 이용주;김철민;인요한;이덕철;서상연;서아람;안홍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3호
    • /
    • pp.175-182
    • /
    • 2013
  • 목적: 말기암환자의 영성은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영역이지만 아직 이에 대한 연구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해 있는 말기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영적 안녕과 통증, 불안 및 우울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방법: 서울소재 일개 대학병원에 입원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자와 연구간호사가 연구에 동의한 50명의 환자에게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하는 방법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영적 안녕지수의 측정은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Illness Therapy-Spirituality (FACIT-Sp)의 영적 상태 12문항을 이용하였으며 병원 우울불안지수는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통증지수의 측정은 BPI-K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earmans' rank test, T-test,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영적 안녕은 평균 통증 강도(r=-0.283, P<0.05), 불안 하부척도(HADS-A)(r=-0.613, P<0.05), 우울 하부척도(HADS-D)(r=-0.526, P<0.05)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보정한 뒤에도 영적 안녕은 종교유무(OR=9.193, 95% CI=4.158~14.229, P<0.001)와 불안하부척도(OR=-1.03, 95% CI=-1.657~-0.403, P=0.002)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말기암환자의 영적 안녕감은 통증, 우울, 불안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종교가 있고 우울지수가 낮은 경우 영적 안녕감의 증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추후 전향적 연구를 통한 영적 말기암환자의 영적 중재 및 영적 지지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활동 및 만족도 분석 (The Analysis of Activities and Satisfaction of Volunteers for Hospice Care)

  • 김분한;정연;박경복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5권2호
    • /
    • pp.163-171
    • /
    • 2002
  • 목적 : 본 연구는 암환자들을 위한 호스피스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일 지역 호스피스자원봉사단의 활동 내용과 만족도를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을 위한 교육 및 활동의 내실화를 기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방법 :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차 방법은 지역사회에서 2기에 걸쳐 실시한 호스피스자원봉사자 교육을 수료한 후 자원봉사단에 가입하여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2001년 1월에서 12월까지 실시한 자원봉사자 보고서 271개를 전수 분석하였다. 2차 방법은 자원봉사활동평가와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12월에 실시한 자원봉사단 활동평가회에 참여하고 본 연구에의 참여에 동의한 20명에게 조사한 설문지 20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1) 자원봉사 기록지 분석한 암환자 및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활동내용에서 보면 신체간호의 종류로는 목욕 및 몸 닦아주기(23회), 머리 감겨주기(3회), 미용(3회), 안마(18회), 마사지(26회), 혈압측정(19회) 등 21가지의 다양한 신체간호를 실시하였고 이외에도 영적 간호 임종간호 의사소통, 정서적지지, 가사일 뿐만 아니라 보건소와 환자와의 연계(13건), 병원과 환자와의 연계(25건)도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자의 반응으로서는 고마워함이 매우 컸고 자원봉사자의 방문을 기다리고 그리워함을 알 수 있었다. 2) 설문지를 통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활동 정도는 '환자의 어떠한 말도 잘 들어준다'가 평균 3.8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환자가 괴로워할 때 마음을 위로 해준다' 평균 3.40으로 높아 심리적 영역의 자원봉사 활동을 많이 하였다. 3) 종교에 따라 심리인 돌봄 영역(t=4.93, P<.05)과 영적인 돌봄 영역(t=3.80, P<.05)의 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심리적인 돌봄과 영적인 돌봄 영역의 활동이 천주교를 가진 자원봉사자들에서 가장 활발하였다. 4) 호스피스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평균 3.61로 만족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다른 사람에게 관심과 배려를 보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었다. 5)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 정도와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자원봉사자의 활동기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수로는 임종경험(r=.558, P<.05), 심리적 돌봄(r=.698, P<.01), 영적돌봄(r=.474, P<.05), 만족도(r=.651, P<.01)이었다. 신체적 돌봄과 가족 돌봄(r=.559, P<.05), 영적 돌봄과 가족 돌봄(r=.512, P<.05), 심리적 돌봄과 만족도(r=.536, P<.05)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이 다양한 영역의 호스피스 간호를 골고루 실시할 수 있도록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자원봉사자들을 위한 계속교육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about Hospice Perception of Nursing University Student)

  • 김정희;임청환;정홍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391-396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호스피스 인식의 교과과정, 인식 정도, 실습 경험, 경로, 시기, 의미, 필요성, 대상, 제공, 유형, 기관, 경험, 호스피스 이용과 호스피스 서비스 내용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측면을 파악하여 호스피스 확대와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고 일반적 특성 6문항과 호스피스 인식 24문항의 명목척도와 호스피스 서비스 내용을 측정하는데 사용된 설문지로 총 24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3-point Likert식 척도이며 각 문항에 대해 응답자는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측면에 대해 필요하다(1), 그저 그렇다(2), 필요하지 않다(3)등으로 응답할 수 있다. 본 도구의 점수 범위는 최저 24점에서 최고 72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호스피스 인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호스피스는 임종을 앞둔 말기 환자와 그 가족을 사랑으로 돌보는 행위로 환자가 남은 여생동안 인간의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삶의 마지막 순간을 평안하게 맞이하도록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 돌봐야 하며, 사별 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기 위한 총체적인 돌봄이라고 할 수 있다.

암환자의 호스피스 간호 요구와 삶의 질 (Needs of Hospice Care and Quality of Life for Cancer Patients)

  • 서인선;신미화;홍세화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3권2호
    • /
    • pp.89-97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와 삶의 질을 파악하여 호스피스 간호 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 되었다. 방법: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10월부터 2007년 3월까지이며 전라북도 소재 1개 대학 병원에 입원한 암환자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Kang과 Kim이 개발한 암환자의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 측정도구와 Tae 등이 개발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는 4점 만점에 평점 3.11점이었으며 가족지지 영역이 3.1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이 심리적 영역이 3.12점, 신체적 영역이 3.10점, 영적 영역이 3.05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삶의 질은 10점 만점에 평점 5.25점이었으며 영적 영역이 5.84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 심리적 영역이 5.18점, 신체적 영역이 5.06점, 사회적 영역이 5.01점의 순이었다. 대상자의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와 삶의 질은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나는 역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395, P=0.000),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 4개 영역 중 신체적 요구가 삶의 질과 가장 강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r=-0.388, P= 0.000). 대상자의 특성별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는 종교(t=6.02, P=0.016), 암 투병기간(F=3.45, P=0.019)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삶의 질은 월수입(F=3.38, P=0.021), 암 병기(F=8.10, P=0.000), 항암화학요법(t=6.09, P=0.01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호스피스 간호 요구를 파악하여야 하며, 동시에 종교, 암 투병기간, 월수입, 암 병기 등과 같은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함을 제안하다.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역할 변화 경험 (Nurse's Experience of Changing Role in the Hospice Unit of Medical Ward)

  • 김현주;구정일;변준혜;김수미;최화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1권1호
    • /
    • pp.30-41
    • /
    • 200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역할 변화 경험이 무엇인지 조사하여 호스피스서비스의 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사용한 질적 연구로서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내 일 대학병원의 호스피스병동 간호사 12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06년 5월에서 7월 사이에 3차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사용된 연구 질문은 "호스피스 환자를 돌보면서 경험한 역할변화는 무엇인가?", "호스피스 간호를 하면서 변화된 역할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반응은?" 이었으며 3차 인터뷰에서는 위의 두 가지 질문과 함께 "호스피스 환자를 간호하면서 경험한 부담감과 어려움을 위한 해결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을 추가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Kruger(1998)가 제시한 분석과정에 따라 4단계 지침을 이용하였다. 결과: 1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가 경험한 역할 변화는 '기계적인 간호에서 인간적인 간호로의 변화', '임종을 지키는 간호', '가족지지 및 상담', '팀워크 조율' 등의 4개 범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병동에서 근무할 때와 비교하여 심리사회영적인 부분과 가족을 배려하는 진호실무의 질적향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2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변화된 역할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과 반응은 두려움, 난감함, 성숙, 부담감, 미안함, 뿌듯함, 감정이입, 우울 등 총 8개의 범주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사들이 개인적으로 삶과 죽음에 대한 성숙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3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두려움, 난감함, 부담감, 미안함 등의 부정적인 경험의 감소를 위한 해결책은 호스피스 간호를 수행하기 전에 간호사 인력에 대한 체계적인 호스피스 교육이 필요하고 호스피스 전용병상의 형태보다는 독립 호스피스 병동의 개설이 필요함을 강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간호하는 간호사들은 자신들의 경험을 통해 신체적인 면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영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전인간호, 가족을 배려하고 팀�p을 중시하는 발전된 간호를 수행하게 되었으며 개인적으로도 삶과 죽음을 이해하게 되는 성숙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호스피스간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독립적인 호스피스 병동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호스피스 병동에 근무하게 된 간호사들이 사전에 적절한 호스피스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 PDF

영적간호중재가 호스피스 환자의 영적안녕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송미옥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3권1호
    • /
    • pp.42-55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on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level of the hospice patients. Metho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62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 the hospice care unit from July 28, 2002 to October 31, 2002 in D city K hospital. Subjects were 31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31 members of the control group. It was devis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as given by using the therapeutic use of self, Scripture, prayer, Hymn and music, use of church community involvement and refer to pastors according to assessment of patients' spiritual need for 3 weeks(total 12 times and 1 hour per each intervention). Sangsoon Choi(1990) and Jungho Kang(1996)'s spiritual well-being scale, which was modified from Palautzian and Ellison(1982)'s spiritual well-being scale, was used to investigate patients' spiritual well-being. To investigate level of depression, OkHyun Song(1977)'s Depression Scale, which was modified from Zung(1965)'s Depression Inventory, was used. Data were analyzed by x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SPSS/Win 10.0 program. Results: 1.The 1st hypothesis, 'total spiritual well-being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ill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as supported(F=6.28, p=0.015, Interaction: p=0.000). 2.The 1-1st sub-hypothesis, 'religious well-being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ill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as supported(F=12.75, p=0.001, Interaction: p=0.000). 3.The 1-2nd sub-hypothesis, 'existential well-being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ill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as supported(F=6.87, p=0.016, Interaction: p=0.000). 4.The 2nd hypothesis, 'depression level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ill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as supported(F=10.45, p=0.002, Interaction: p=0.000). Conclusion: From the above results,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as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spiritual well-being state and decrease depression level for the hospice patients. In the future, when the spiritual intervention, which the researcher developed, applied on nursing field, the hospice patients can have comprehensive well being including spiritual well being and peaceful dying life.

  • PDF

간호학생의 영적안녕, 희망 및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 최상순;김정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31-342
    • /
    • 1998
  • Nurses evaluate the physical, emotional, and spiritual well-being of a person when conducting an assessment and forming a plan of care. Nursing is a holistic approach to health and well-being. Implication for Nursing Practice : nurses must assess and support intrinsic religiosity and promote spiritual well-being in peoples coping with severe diseas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self-esteem the differences between nursing students of christian university and nursing students of non-christian university. The measurment tools for spiritual well-being, hope anf self-esteem were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as prepared for computer analysis and analyzed using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s. General characteristics,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self-esteem a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For hypothesis testing t-test, Pearson correlation a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for spiritual well-being in the nursing students was 79.52 of a possible range of 20-120. And the mean score for hope was 58.18 of a possible range of 29-116, the mean score for self-esteem was 112.29 of a possible range of 30-150. 2. 'Nursing students of christian university will demonstrate higher spiritual well-being than the nursing students of nonchristian university' was rejected(t=1.01, p=.96). 3. 'Nursing students of christian university will demonstrate higher hope than the nursing students of nonchristian university' was rejected(t=1.71, p=.05). 4. 'Nursing students of christian university will demonstrate higher self-esteem than the nursing students of nonchristian' was rejected(t=1.53, p=.12). 5. 'The higher spiritual well-being, the higher hope' was rejected(r=-.664, p=.000). 6. 'The higher spiritual well-being score, the higher self-esteem' was supported(r=.487, p=.000).

  • PDF

일 지역 간호사의 임종기 치료 선호도 (The Preference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 of Korean Nurses)

  • 김현숙;김신미;유수정;김명옥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3권1호
    • /
    • pp.41-49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임종기 동안의 치료 및 간호와 관련한 간호사 자신의 선호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PCEOL-K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본 도구는 미국에서 개발되고 한국판 표준화를 거친 도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본 연구 참여를 허락한 일 종합병원의 간호사 200명이었으며 총 177매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결과: 본 연구 대상 간호사들은 임종기 치료 및 간호에 있어 통증관리 및 영적 요구지지에 대한 긍정적 선호도를, 의료인에 의한 치료 결정에 대해서는 부정적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간호사들은 임종기 치료 및 간호에서 개인의 자율성, 통증관리, 영적 요구 지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앞으로 다양한 집단, 즉 의사, 환자, 가족들을 대상으로 각 집단별 선호도를 확인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임상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영적안녕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Spiritual Well-Being,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 한미영;손수경;권수혜;최정화;최금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21-2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tent of and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spiritual well-being,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Methods: The subjects were 201 clinical nurses from three different general hospitals in B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6 to August 9, 2012 and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heff$\acute{e}$ test, and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mean scores of self-efficacy, spiritual well-being, and job stress were moderate, 3.50, 3.58, and 3.44 respec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marital status, influence of religion, the number of night shifts per month, motives for choosing nursing as a career,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Spiritual well-being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all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arital status and type of religion. There was a significantly wea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piritual well-being, an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tres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spiritual well-being.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ffective strategies to foster spiritual well-being is needed to enhance clinical nurses' self-efficacy, which should equip clinical nurses to better deal with job stress in their work places.

영적 간호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Spiritual Care Empowerment Program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Nursing Students)

  • 김진;차남현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5권2호
    • /
    • pp.117-12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a spiritual care empowerment (SCE)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80 nursing students (41 in the experimental and 39 in the control group) recruited from the D and S universities. The SCE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ased on the Zimmerman's Psychological Empowerment Model.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9 sessions of a SCE program. Sessions were 90 minutes each, held twice per week for 5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using SPSS/WIN 18.0. Results: Intrapersonal (self esteem and existential well-being), interactional (empathy), and behavioral (spiritual care competence) compon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SCE program c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ly, the SCE program would be applied to the nursing curriculum that enhances students' psychological empower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