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적간호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2초

액션러닝 기반 영적간호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영적요구, 영적안녕 및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Action Learning on Spiritual Needs,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홍세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85-29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액션러닝에 기반을 둔 영적간호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영적요구, 영적안녕 그리고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단일군 사전 사후 설계이며 연구 참여자는 간호대학생 2학년이었다. 학생들은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16회에 걸친 액션러닝 기반 영적간호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가설검증은 SPSS WIN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액션러닝 기반 영적간호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영적요구를 감소시키고,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역량을 증진시켰다. 아울러 총체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전문적인 간호사의 역량 강화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추후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 액션러닝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Spiritual Car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Ferrell, Betty R.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4호
    • /
    • pp.215-220
    • /
    • 2017
  • 영적간호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중심에 있다. 심각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에 직면한 환자는 신앙, 희망 및 실존적 관심과 관련하여 중요한 요구를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영성, 영적 평가 및 영적간호 중재의 정의를 포함하여 이러한 간호의 핵심 측면들을 검토하는 것이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 영적간호와 관련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현재의 문헌 자료들을 조사했다. 점점 더 많은 증거들이 양질의 완화의료의 핵심 영역으로서 영적간호의 중요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문헌은 포괄적인 환자 및 가족 평가의 핵심 측면으로서 영적 평가의 중요성을 뒷받침한다. 영성은 다른 실존적 문제들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관심도 포함한다. 향후 연구 및 임상시험은 영적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최선의 지원 모델을 검증해야 한다.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감, 영적간호역량, 죽음에 대한 태도와의 융합적 관계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spiritual nursing competence, and attitude toward death of nursing students)

  • 윤순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71-378
    • /
    • 2022
  • 본 연구는 기독교대학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감, 영적간호역량, 죽음에 대한 태도 정도를 알아보고 변인 간의 융합적 관련성 및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C 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185명을 편의표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종교적 안녕감은 전공만족도가 매우 만족하는 학생의 경우, 성적이 상 수준의 학생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영적간호역량은 여학생, 전공만족도가 매우 만족하는 경우, 성적이 상 수준의 학생에서 높게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태도는 남학생에서 높게 나타나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영적안녕감은 영적간호역량, 죽음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간호대상자에게 영적인 건강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영적안녕감 강화 중재 방안 및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Education for Spiritual Care Competence Reinforcement of Nursing Students)

  • 임현정;박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261-27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2017년 2월 27일부터 5월 19일까지 J시 소재 간호대학생 83명이 연구에 참여하여 실험군 42명과 대조군 41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영성교육은 자기 인식과 영성 및 간호의 영적 차원으로 구성되어 1회에 120분씩, 5주 동안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확인하였고 가설 검증은 χ2-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로 분석하였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수의 변화는 실험군의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영성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영성과 자아정체감, 영적 안녕과 삶의 만족도 및 영적간호역량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성교육을 시행하고 5주 후에도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이에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은 전인간호를 위한 영적 간호교육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활성화를 위한 실증적인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 (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for Cancer Patients)

  • 윤매옥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2호
    • /
    • pp.72-79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영적간호교육과 영적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전주시에 소재한 1개 기독교종합병원의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209명을 대상으로 2008년 9월 17일부터 30일까지 구조화 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PC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특성별 변수간의 관계는 t-test와 ANOVA, Duncan test, 변수간의 상관관계분석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영적안녕 정도는 평균 63.41 (도구범위: $20{\sim}80$점), 평균평점 3.17로 중상정도로 나타났고, 영적간호수행 정도는 평균 26.96 (도구의 범위: $15{\sim}60$점), 4점 만점에서 평균평점 1.80으로 중하 정도로 나타났다. 영적안녕의 하위영역 중 종교적 안녕은 평균 32.07 (평균평점 3.21), 실존적 안녕이 평균 31.34 (평균평점 3.13)로 종교적 안녕이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영적안녕과 하위영역인 종교적 안녕, 실존적 안녕 간에 모두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959, P=.000; r=.940, P=.000) 그 중에서 종교적 안녕과 더 높은 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안녕에서는 학력, 신앙생활기간, 예배참여정도, 종교가 삶에 미치는 정도, 믿음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간호수행에서는 연령, 결혼, 학력, 간호사역할, 임상경력, 신앙생활기간, 예배참여정도, 종교가 삶에 미치는 정도, 믿음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영적안녕과 영적 간호수행 간에는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r=.353, P=.000), 하위영역인 종교적 안녕(r=.331, P=.000), 실존적 안녕(r=.342, P=.000) 각각에서도 영적 간호수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영적안녕은 중상수준으로 비교적 높았으나 영적간호수행은 중하수준을 보여주었으며,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은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또한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은 교육, 신앙생활기간, 예배참여정도, 종교의 중요성, 믿음정도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간호사들의 교육수준을 높이며, 신앙적인 삶을 권장하고, 예배참여와 개인의 믿음성장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 PDF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에 관한 연구 (Spiritual Well-Being and Perception of Death in Nursing Students)

  • 이현주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7권1호
    • /
    • pp.29-36
    • /
    • 2004
  • 목적: 임종환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는 그들의 남은 삶의 기간동안 겪게 될 고통이나 삶의 질을 결정하게 되는 중요한 요소로써 간호제공자의 그것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연구들은 주로 대상자에만 초점을 두어 진행을 해왔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제공자 입장에서의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를 파악해 보고자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가 영적안녕 상태와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5월부터 6월 사이 일 대학 간호학생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와 영적안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총 191부를 수거하여 이 중 응답이 누락되지 않은 175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죽음인식에 대한 태도와 영적안녕 상태는 기술적 통계를 사용해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인식태도와 영적안녕 상태는 t-test, ANOVA를 사용해 분석하였고,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와 영적안녕 상태의 관계분석에는 Pearson's correlation을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영적안녕 상태는 $50.9943{\pm}10.7235$이며, 종교와 경제활동 유무에 따른 영적안녕 상태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는 $20.4914{\pm}2.6280$이었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영적안녕 상태 간에는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61, P=.000). 결론: 본 연구를 통해서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 상태와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 간에 상호관련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임종과정을 경험하는 대상자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에 간호제공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더불어 고려해본다면 영적간호 교육에서 대상자 뿐만 아니라 간호제공자의 영적안녕 상태와 죽음에 대해 인식하는 태도 또한 교육내용에서 중요하게 다뤄져 할 부분임을 시사하는 바라고 여겨진다.

  • PDF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and Spiritual Health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 지순일;유혜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4호
    • /
    • pp.232-240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G 광역시 일 종합병원에 종사하는 근무하는 238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종간호태도, 영적건강, 결혼유무, 총 임상경력 순이었으며,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좋을수록, 기혼일수록, 총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은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대하여 52.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임종간호태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완화시키기 위해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HIV/AIDS 환자의 영적 안녕과 영적 요구도 조사 (A Research of the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Needs of HIV/AIDS Patients)

  • 곽지현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1호
    • /
    • pp.14-19
    • /
    • 2009
  • 목적: HIV/AIDS환자의 영적 안녕과 영적 요구 정도를 파악하여 간호실무 면에서 HIV/AIDS 환자의 영적 건강 사정과 영적 간호 중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방법: HIV/AIDS 환자의 영적 안녕과 영적 요구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관계성 조사연구(Correlation Survey Research)이며, 연구 대상은 20세에서 70세 사이의 HIV/ AIDS 환자 51명이다. 결과: 1. HIV/AIDS환자의 영적 안녕 점수는 평균 54.59점이었고, 영적 안녕의 하위 영역인 실존적 안녕은 27.78점, 종교적 안녕은 26.80점으로 모두 중 정도 이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HIV/AIDS환자들은 자신의 영적인 안녕 상태에 대해 중 정도로 지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종교적 안녕보다 실존적 안녕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2. HIV/AIDS환자의 영적 요구 점수는 평균 108.67점이고 영역별로는 사랑과 관심에 대한 요구가 37.80점, 의미와 목적을 갈망하는 요구가 42.35점, 용서받고 싶은 요구가 28.51점으로 의미와 목적을 갈망하는 요구, 사랑과 관심에 대한 요구, 용서받고 싶은 요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3. 영적 안녕과 영적 요구의 상관 관계에서 HIV/AIDS환자의 총 영적 안녕과 총 영적요구는 약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344, P=0.013). 영적 안녕의 하위영역인 실존적 안녕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종교적 안녕과는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HIV/AIDS환자의 영적 안녕과 영적 요구는 중 정도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영적 안녕과 영적 요구간의 약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HIV/AIDS환자들은 의미와 목적을 갈망하는 요구도가 높으므로 이에 대한 영적 간호를 제공하여 현재 위기 상태의 경험에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도록 하여 실존적 영적 안녕 정도가 증진되도록 지지하고, 앞으로 대상자 수를 확대한 연구와 영적 안녕을 증진시키는 간호 중재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하리라고 사료된다.

  • PDF

부산.경남 지역 간호학생과 간호사의 영적 요구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iritual need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nurses in Busan and Gyungnam province)

  • 조현;심은경;권영채;지재훈;배영희;우영옥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89-193
    • /
    • 2011
  • 본 연구는 2011년 9월부터 10월까지 부산 경남지역의 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총 153명 간호대학생 총 147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수집하였으며, 300 를 배부하여 자료가 불충분한 100 부를 제외하고 최종 200부를 분석하였다. 조사자의 직접방문을 통한 개인별 면담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사람보다는 불건강한 즉 질병에 노출된 가능성이 많은 사람들을 간호대상으로 하는 간호학생과 간호사의 영적 요구도를 파악하고 비교하기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의 영적 요구 도를 파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간호대상자의 영적간호에 더욱 효율적이고 체계화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