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재교육원 프로그램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Online Education Program for Disadvantaged Informatics Gifted Students (소외계층 초등 정보영재학생을 위한 머신러닝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Kim, Seong-Won;Kim, Jiseon;Ryu, J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33-63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소외계층 초등정보영재를 위한 온라인 머신러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정보영재 전문가가 개발하였으며, 인공지능 교육 전문가가 검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15차시로 구성하였으며,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 데이터 수집 및 표현, 모델 선택, 훈련, 평가, 실생활 사례 제작, 예측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 모형은 이재호와 홍창의(2009)의 문제 중심형 e-PBL 학습 모형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소외계층 초등 정보영재에 적용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소외계층 초등정보 영재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수학영재 프로그램 분석 - 전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2002{\sim}2005$년 수학기초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Park Jong-Ryul;Jang Mi-Ra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06.04a
    • /
    • pp.173-188
    • /
    • 2006
  • 전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은 1998년부터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영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2002년${\sim}$2005년에 전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반에서 수학영재교육에 사용했던 프로그램에 대해 수학 영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구성체제와 주제별 내용 및 활동, 프로그램의 특징을 분석하고 주제별 프로그램에 패한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를 설문하여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수학영재교육을 더욱 개선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 수학영재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삼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Online Educational Program for Disadvantaged Students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Kim, Seong-Won;Kim, Jiseon;Ryu, J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07-208
    • /
    • 2019
  •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통하여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영재교육의 활성화가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전체 학생 중에서 영재교육의 대상자 수의 비율도 증가하였으며, 영재교육 대상자 중 소외계층의 비율도 증가하였다. 일반 영재학생과 다르게 소외계층 영재 학생은 경제적, 문화적, 지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선행 연구에서는 소외계층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외계층 중학생을 위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총 20차시이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 수학, 정보 교과의 교육 내용을 기반으로 주제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주제를 기반으로 기초-심화로 이루어진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교과별 역량 개발을 위하여 탐구 과제를 구성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소외계층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 PDF

Effects of University-based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on the Science Career Orientation of Gifted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이 영재들의 과학진로지향에 주는 영향 분석)

  • Noh, Hyeonah;Choi, Jaehyeo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5 no.4
    • /
    • pp.493-509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university-based science education programs on the gifted's science career orient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74 students who had university-based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on 2014. They took 'Science Career Orientation' tests and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 had a cluster analysis about pre scores on 'Science Career Orientation' as a variable. We analyzed the satisfaction level and effect of science career decision by groups after the program. As results,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cluster analysis. University-based science education program helped the increase of science career orientation in the categories indicating the low scores of the groups. They showed high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ffects of science career decision, and the programs affecting their science career decision and satisfaction about that were different by groups. Satisfaction level and effects of science career decision are highly correlated.

The Percep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of a University-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 toward Its Educational Programs (대학교 부설 영재교육원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 영재들의 인식)

  • Kang, Kyung-Hee;Chung, Choong-D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2 no.4
    • /
    • pp.751-759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secondary gifted students of a university-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toward its educational programs. This study surveyed 184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the secondary gifted educational programs of a university-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gifted educational programs. The students also said that the programs have provided more knowledge to them and improved their creativity. It is significant to examine how students currently participating in gifted educational programs perceive the programs and how they are influenced by the programs. Therefore, improvement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future gifted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rawn based on the collection of the results of perception surveys from each gifted education center.

An Analysis on the Math Camp Programs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Case of the Education Centers for the Gifted i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초등 영재교육원 수학 영재캠프 프로그램 분석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 영재교육원 사례를 중심으로-)

  • Lim, Kyeong-Jin;Park, Man-Goo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4 no.1
    • /
    • pp.81-10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 and design of the seven math camp programs for students of the education centers for the elementary gifted students. The analysis focused on the goals, content, and evaluations utilized in the math camp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etween the goals set for each camp, and they mainly focused on the goals in affective domain. Second, the content of math camp programs was focused on enrichment rather than acceleration. Most of the programs were focused on geometry, whereas fewer programs were focused on measurement, probability and statistics. Based on the Analysis, we found that only nine out of 27 programs applied level-wised or individual exercise programs. Third, all centers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carried out evaluations of their math camp programs. However, a specific evaluation plan was not established for the math camp program plans. We suggested the direction of math camp programs as follows. First, the goals should reflect on the intended outcomes of the math camp programs. Also, the goals of math camp programs need to be distinctive from general education goals. Second, the programs should contain harmonious contents with enrichment and acceleration and must include various reactions and task commitment. The math camp programs need to include references and an appropriate information for the gifted students to encourage self-directed learning. Third, a more specific evaluation plan for math camp programs needs to be developed for effective education for the gifted students.

  • PDF

초등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학적 학습 태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제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수학반 기초과정을 중심으로 -

  • Kim, Hae-Gyu;Kim, Dae-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341-35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서 트레핑거의 자기 주도적 학습 모형과 렌줄리의 3부 심화학습모형을 이용하여, 제7차 초등수학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기본적인 개념뿐만 아니라, 영재교육과정과 관련된 주제들을 중심으로 초등 수학 영재아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을 자체 개발하여, 개발된 영재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하기 전과 이수 후의 수학적 학습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제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수학반 아동들을 대상으로 사전 ${\cdot}$ 사후 수학적 학습 태도를 분석하였다.

  • PDF

${\cdot}$ 도 교육청 영재 심화 교수 ${\cdot}$ 학습 자료개발에 관한 연구

  • Lee, Sang-Won;Bang, Seung-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171-197
    • /
    • 2004
  • 1999년 교육개발원에서는 초 ${\cdot}$ 중학교 영재 교육과정 시안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와 수학과 영재 교육과정 시안에 관한 보고서를 발간하였는데 이 보고서에 초 ${\cdot}$ 중학교 수학과 영재 교육과정 시안이 제시되어 있다. 이 영재 교육과정 시안으로써 그 내용에 상응하는 수학 교수 ·학습 자료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영재 교수 ${\cdot}$ 학습 자료개발 및 영재교사 연수가 본격적으로 확대,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2002년${\sim}$2003년 2년간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영재학생을 위한 교수 ${\cdot}$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왔다. 이런 취지를 바탕으로 지금 우리에게 영재 교육의 시급한 문제는 초 ${\cdot}$ 중등에 필요한 다양한 영재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마련한 교재개발 지침에 따라 2005학년도 교수 학습 자료를 중학교중심으로 영재 교육 프로그램을 구현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in Mathematics or Science (수.과학 영재학생을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 Kang, Ji-Yeon;Lee, Jae-Ho;Jin, Suk-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5 no.3
    • /
    • pp.469-48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ecognition and opinions of gifted students, as well as their parents and teachers, on applying the artistic components to current educational programs for high ability students, gifted in mathematics and/or scienc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84 gifted students, 59 parents, and 23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area.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a) More than 1/4 of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or sciences reported that they are talented in both math/science and arts, (b) most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believe that arts education is useful for cultivating academic talents of gifted students, (c) 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prefer 'Science and Arts School for the Gifted' to 'Science School for the Gifted', if both options are available.

  • PDF

A Study on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election and Educational Program Operation in Jeju (제주지역 초등 정보영재 선발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 Byeon, Sun-Hee;Kim, Jong-Ho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1a
    • /
    • pp.164-169
    • /
    • 2006
  • 각 나라의 경쟁력은 기존의 자원이나 자본이 아닌 뛰어난 인재들의 두뇌에서 나올것이라는 앨빈 토플러의 말이 이미 현실이 되어 우수한 두뇌를 갖기 위한 치열한 전쟁의 시대가 전개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가 21세기 첨단지식기반의 정보화 세계화 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고급 인적자원을 조기에 발굴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고도의 지식정보 사회에 적응하고 국가간 경쟁력에서 앞서나가려면 정보과학영역에서의 영재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고도의 정보사회에 부응할 수 있게 17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및 여러 영재교육기관에서 정보과학 영재를 선발하여 교육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 논문에서는 제주지역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과 다른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정보 영재 선발에 관련된 제반 사항 및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에 대하여 연구하여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