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재고

Search Result 4,52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과학영재와 인문영재의 영재성 타당화 연구

  • 심재영;김언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05a
    • /
    • pp.91-108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암묵적 방법에 의해 도출된 영재성과 명시적 이론간에 차이가 있는가\ulcorner 둘째, 과학 분야와 인문 분야에는 어떤 영재성 요인들이 있는가\ulcorner 셋째, 분야별로 영재성의 요인구조 어떤 차이가 있는가\ulcorner 연구의 방법은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첫 단계는 과학자, 학부모, 교사, 대학생을 대상으로 암묵적 이론 접근으로 영재 의미를 구명하였다. 연구의 두 번째 단계는 자연계 영재 집단 469명, 인문계 영재집단 285명에 대하여, 암묵적 이론 접근에 의해 밝혀진 영재의 특징들은 과학영재와 인문영재를 구분하는 준거가 되는지의 여부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세 번째 단계는 검증된 자료를 가지고 인문계 영재 집단과 자연계 영재 집단 간의 영재성 요인 구조상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 PDF

Change of Attitude Toward the Artistically Gifted: Seen through Newspaper Articles from 1999 to 2013 (예술영재에 대한 인식 변화: 1999~2013 신문기사 내용분석을 통하여)

  • Park, Kyungbin;Park, Hyun-Jin;Yoon, HyeJeong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3 no.5
    • /
    • pp.731-750
    • /
    • 2013
  • Conceptions toward the artistically gifted were investigated through analyzing newspaper articles from 5 major newspapers for 14 years beginning from 1999 to 2013. There were a total of 1,281 articles having to do with artistically gifted, and showed a steady increase in number of articles as the years went by. Largest number of articles were about musically gifted, and an increase in number of articles were observed following new implementations in law and policy.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policy development for the artistically gifted are discussed.

영재교육, 주요 정책방향 및 향후 과제

  • 오승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2.05a
    • /
    • pp.51-65
    • /
    • 2002
  • 올 3월1일부터 영재교육진흥법이 시행됨에 따라 영재교육이 공교육차원에서 실시되는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그간 영재교육에 관해서는 필요성을 공감하면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어 왔다. 그렇지만 1996년부터 판별도구 개발 및 영재교육 시행방안에 대한연구를 계속해왔고, 최근 사회의 급격한 변동, 그에 따라 우수인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작년부터 관계부처간 협의 및 각계의견을 수렴하여 영재교육 추진방향을 정립하게 되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인적자원개발회의(의장: 교육부총리)에서 영재교육 추진방향에 대한 정부차원의 의견을 모으는 한편, 몇 십년 전부터 영재교육을 실시해온 미국을 각 시.도교육청 담당자들과 방문하여 수업현장을 살펴보고, 이스라엘 영재학교 교장을 면담하는 등으로 영재교육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추진해 왔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올 4월 10일 인적자원개발회의에 '영재의 조기발굴 및 육성에 관한 2002년도 국가인적자원개발 시행계획'을 보고하고, 5월3일자로 부산과학고를 영재학교로 지정하면서 영재교육은 교육정채그이 한 영역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여기에서는 현재까지 정립된 국가차원의 영재교육 시행방안에 대한 설명과 함께 앞으로 영재교육이 공교육 제도 안에서 자리잡도록 하기 위한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optimism level in the sifted (영재들의 낙관성 수준에 관한 연구)

  • 윤현석;김언주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2 no.1
    • /
    • pp.77-9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rstigate the optimism level of the gifte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optimism level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gifted; and to compare the optimism level of the gofted with that of mainstream students. 332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nsisted of 45 science of gifted, 50 athletics gifted, 60 music gifted, 60 art gifted, 57 academic gifted, and 60 mainstreams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ptimism level of gifted was somewhat pessimistic. Second, the optimism levels of academic gifted and sciencd gifted was higher than that of athletic gifted and artistic gifted. Third, non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optimism level between gifted students and mainstream students.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verbally gifted education (언어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탐색)

  • 강승희;조석희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4 no.1
    • /
    • pp.91-114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necessity and establish the direction of verbally gifted education. To fulfil purposes, the following studies were carried out: (1) The necessity of verbally gifted education was reviewed based on the social, educational and personal aspect. (2) The concept of verbal talent was reviewed.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verbal talent, we called a person who has a high level of language intelligence a verbal talent. Or verbal talent can also be a person who accomplished a high level in anyone area among reading, writing, hearing, speaking, and foreign language. (3) The present condition and research states of verbally gifted education were analyzed. (4) The direction of verbally gifted education were proposed.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that suitable for The Basic course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과학영재교육원 기초반에 적합한 초등정보과학영재용 교육과정 개발)

  • Oh, Sung-Hoo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98-307
    • /
    • 2004
  • 한 개인의 입장에서도 영재성의 발휘는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민주국가와 인류공영에 크게 이바지하는 입장에서도 영재성의 발휘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영재교육을 살펴보면 국가에서 영재교육을 해야 한다고 영재교육의 중요성만 이야기했지 실제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나 교육내용을 정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보면 그 내용과 방법은 영재교육을 맡은 기관에 따라 매우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17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을 보면 대부분 프로그래밍 위주의 교육을 하고 있고, 그 교육과정도 다른 곳에 개방되어 있지 않아서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마다 교육과정 개발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10학년에 걸쳐 실시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교육내용과 방과 후 특기적성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컴퓨터 교육내용,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실제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였다. 단, 현재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재교육이 기초반과 심화반으로 나누어서 운영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초반과 심화반 중 기초반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A Study on Identification Methods for Gifted Students in the Future Society (미래사회 영재 판별 방법에 관한 연구)

  • Lee, Jae-Ho;Ryu, Ji-Young;Jin, Suk-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5 no.2
    • /
    • pp.307-317
    • /
    • 2011
  • Identifying gifted students in the valid metho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filed of gifted education. The Identification processes should be based on the theoretically sound definition of the gifted. However, the concept of giftedness varies according to the culture and philosophy of each society. Furthemore, we do not have any direct measure for evaluating students' giftedness. So far. there is no satisfactory single tool which is universally accepted as an absolute identification method. Recently,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are regarded as the channel for entering prestigious high schools as well as competitive colleges by many parents in Korea. As the result, education business for preparing young students to be accepted to gifted programs are growing rapidly.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1)analyze the problems in the current identification methods, (2)establish the strategies for identifying gifted students whom the future society needs, and (3)suggest the procedures and tools which can be adapted for the proposed identification methods.

  • PDF

20년 후 자화상 분석을 통한 과학 영재의 미래 직업에 대한 연구

  • 심규철;박상태;박종석;변두원;김여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05a
    • /
    • pp.159-160
    • /
    • 2003
  • 본 연구는 과학 영재들이 생각하는 "0년 후의 자화상"분석을 통해 그들이 바라는 미래 직업 또는 희망, 그 이유, 그리고 그에 대한 확신 등을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K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중등기초과정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 정보 등 6개 분야 입학생 86명(남 56명, 여 3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내용은 과학 영재들에게 20년 후의 자신의 모습을 자유 서술 방식으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과학 영재들이 자신의 미래의 꿈의 실현이나 직업에 대한 확신 또는 자신감을 갖고 있는 비율은 전체의 74% 수준이었으며, 남자 영재가 62%로 여자 영재의 88%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earson $X^2$=4.405, p<0.05). 또한, 과학 영재들의 미래의 희망 직업에 대한 조사에서는 자신이 속한 과학 영재분야와 관련된 직업은 29.2%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며, 의사나 한의사 등 의학 계통에 종사하고자 하는 비율이 32.6%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외에도 사업 경영, 교사, 법조인 및 정치인, 외교관 등 다양한 직업에 대한 희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성별과 상관없이 동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Pearson $X^2$=9.570, p>0.05). 과학 영재들이 미래 직업으로 관련 과학분야에 대해 응답한 것을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 정보 등 과학영재 분야별로 비교하여 보면, 수학 영재들이 54,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화학 분야 40%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과학 영재들이 가장 선호하였던 의학 분야에 대해서는 지구과학 영재들이 61.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물리 영재들이 38. 9%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래의 자신의 직업을 선택한 이유는 첫 번째가 사회 봉사와 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생활의 안정을 꼽고 있었다. 이외에도 과학적 업적 달성을 위해, 자신의 꿈(이상) 실현을 위해 등의 이유를 들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남자 영재와 여자 영재들간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거의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Pearson $X^2$=2.186, p>0.05). 우수한 능력을 소유한 영재들이 과학관련 분야를 선호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의 과학 발전은 그리 낙관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영재들을 과학 관련 분야로 이끌어 그들이 소유한 영재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일 것이다. 이룰 위해서는 과학 영재들이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더욱 높여야 하며 그 능력을 과학관련 분야에 발휘하도록 하기 위한 국가적, 사회적, 교육적 노력이 필요하다. 노력이 필요하다.

  • PDF

Gifted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in General Schools and Educational Institute for the Gifted (영재학생의 일반학급 및 영재교육기관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

  • Cho, Sung-Shin;Yoo, Mi-Hyun;Yeo, Sang-Ihn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1 no.2
    • /
    • pp.465-48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the gifted students with general students.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conducted to 76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125 genera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t the general cla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gifted students showed a little higher school life satisfaction score than the general students' (p<.05). The score of gifted class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Second, the score of gifted class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ifted education institute students' (p<.05). Third, school life satisfaction score of gifted students in a gifted cla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a general class (p<.05). Forth, regarding the gifted students'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irls and boys. Regarding the grades of the gifted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5th and 6th grader (p>.05).

Identification Model Development for Gifted Students Based on Clas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영재학급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 영재판별모형 개발 연구)

  • Ryu, Ji-Young;Jung, Hyun-Chul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0 no.1
    • /
    • pp.257-28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dentification model for gifted students, based on clas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The definition, issues and methods of identification were examined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Gifted identification model based on clas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consists of 4 steps: The first is the collection of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on students, and the second is the evaluation of the students' portfolios with the rubric that has the criteria of rating scales on each information. At the third, students are observed in the class. Then the students are interviewed for the evaluation of their cognitive and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At the fourth, the identification committee makes a final decision for the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after considering all the results from the steps. This model will be helpful to identify gifted students who are regarded to have potential abilities, especially 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