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 of Attitude Toward the Artistically Gifted: Seen through Newspaper Articles from 1999 to 2013

예술영재에 대한 인식 변화: 1999~2013 신문기사 내용분석을 통하여

  • Received : 2013.10.10
  • Accepted : 2013.10.26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Conceptions toward the artistically gifted were investigated through analyzing newspaper articles from 5 major newspapers for 14 years beginning from 1999 to 2013. There were a total of 1,281 articles having to do with artistically gifted, and showed a steady increase in number of articles as the years went by. Largest number of articles were about musically gifted, and an increase in number of articles were observed following new implementations in law and policy.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policy development for the artistically gifted are discussed.

예술영재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999년 7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4년 2개월간의 국내 주요일간지에 실린 예술영재 관련 신문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5개 주요일간지의 예술영재 관련 기사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사의 건수는 모두 1,281건이 나타났고, 기사의 양은 전체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영재교육진흥법이 시행된 2002년, 예술영재학교 설립 추진 계획이 발표된 2007년, 예술영재를 비롯한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지원을 다룬 특별법 제정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된 2009년 이후 꾸준히 높게 나타났다. 예술영재 영역별 관심의 정도는 음악영재 37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무용영재 61건, 미술영재가 61건, 문학영재 21건으로 음악영재에 대한 관심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분석유목별 기사의 양은 예술영재의 특성과 활동에 대한 기사 597건으로 가장 많았고, 예술영재 교육정보에 대한 기사 193건, 예술영재를 위한 사회 환경에 대한 기사 176건, 정책의 의의와 가치에 대한 기사 164건, 그리고 정책의 현황과 동향에 대한 기사 151건이었다. 정책의 의의와 가치에 대한 기사의 내용은 영재교육 예술영재교육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필요하다는 인식이었지만 과도한 교육열에 대한 우려와 예술영재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예술영재 분야별 판별 기준,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 등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며 또한 예술영재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철학 개선이 필요하다는 논지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현 외 (2004). 대중 매체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한나래.
  2. 김재은 (2006). 예술영재 육성의 방략. 한국예술영재학회(편저). 예술영재교육(122-135). 서울: 미진사.
  3. 박경빈 (2012). 한국 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영재학회, 22(4), 821-839. https://doi.org/10.9722/JGTE.2012.22.4.823
  4. 박도순 (2001). 교육연구방법론. 서울: 문음사.
  5. 반현, 김남이, 노혜정 (2010). 한국 경제에 관한 국내외 언론보도경향 비교분석연구. 한국언론학회, 54(5), 397-422.
  6. 백중열 (2008). 초등미술교육의 현황과 미술영재의 육성방안. 한국미술교육학회, 22(2), 211-227.
  7. 송도선 (2005). 동양 사상에 담긴 영재의 개념. 교육문제연구, 22, 95-117.
  8. 오레지나 (2007). 예술영재 육성을 위한 교육기관 모형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9. 오수정 (2008). 인터넷 영향력과 신뢰도 상승-신문 정기구독률 지속적 하락. 신문과 방송, 7월호, 146-149.
  10. 유일상 (2006). 신문의 기능과 신문관계법. 한국언론법학회, 5(1), 143-189.
  11. 이정규, 김현철, 이윤옥 (2005). 영재의 인지적 특성 연구-3개영역별(문과, 이과 예술) 영재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9(4), 953-971.
  12. 이혜영, 강영혜, 박재윤, 김태은, 한준 (2007). 교육비전 중장기 계획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3. 조석희, 박성익, 이윤미, 허경철, 박찬규 (2006). 모든 학생을 위한 수월성 교육. 한국교육개발원.
  14. 정진원 (2011). 음악영재교육과정 모형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반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40(1), 1-31.
  15.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언론수용자의식조사.
  16. 영국의 예술영재교육 교사지침서 (2006).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참고자료 1.
  17. Berelson, B. (1959). The state of communication,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23(1), 1-6. https://doi.org/10.1086/266840
  18. Gagne, F. (2008). Building Gifts Into Talents-Talent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MGT. News & Science, 19, 27-30.
  19. Gardner, H. (1993). Frames of mind. Fontana Press.
  20. Gardner, H. (1993). Creating minds. New York: BasicBooks.
  21. Gardner, H. (2006). Multiple Intelligences: New Horizons. New York: BasicBooks.
  22. Marland, S. P. Jr. (1971).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Volume I: Report to th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by the U.S. Commissioner of Education.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3. Tannenbaum, A. J. (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24. Renzulli, J. S. (2005). Equity, Excellence, and Economy in a System for Identifying Students in Gifted Education Programs. Retrieved May 3, 2010, from http://www.gifted.uconn.edu/ nrcgt/nrconlin.html.
  25. 한국언론진흥재단 카인즈 http://www.kinds.or.kr/
  26. 조선일보 아카이브 http://srchdb1.chosun.com/pdf/i_archive/
  27. 중앙일보 미디어 검색 http://find.joins.com/mediaSearch/
  28. 최종검색일자(2013.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