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역분할법

Search Result 27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2D 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Method Using the Domain Decomposition Method (영역분할법을 이용한 2차원 유한차분 시간영역법 해석)

  • Hong, Ic-Py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5
    • /
    • pp.1049-1054
    • /
    • 2013
  • In this paper, two-dimensional(2-D) Finite Difference Time Domain(FDTD) method using the domain decomposition method is proposed. We calculated the electromagnetic scattering field of a two dimensional rectangular Perfect Electric Conductor(PEC) structure using the 2-D FDTD method with Schur complement method as a domain decomposition method. Four domain decomposition and eight domain decomposition are applied for the analysis of the proposed structure. To validate the simulation results, the general 2-D FDTD algorithm for the total domain are applied to the same structure and the results show good agreement with the 2-D FDTD using the domain decomposition method.

Moving Object Segmentation Using Spatio-temporal Entropic Thresholding (시공간 엔트로피 임계법을 이용한 형태학적 이동 객체 분할)

  • 백경환;신민수;곽노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410-414
    • /
    • 2003
  • 본 논문은 비디오 시퀀스에 카메라 패닝 보상과 2차원 시공간 엔트로피 임계법을 적용하여 추출한 객체포함영역을 대상으로 영상 분할을 수행하는 이동 객체 분할 기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웨이블렛 변환에 의해 구성한 피라미드 계층 구조상에서 카메라 패닝 벡터를 추정하여 전역 움직임을 보상한다. 이후, 전역 움직임이 보상된 기준영상을 대상으로 각 프레임간에서 2차원 시공간 엔트로피 임계법을 적용하여 이동 객체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영역을 블록 단위로 추출한다. 다음으로, 2차원 시공간 엔트로피 입계법에 의해 분류된 영역을 토대로 각 블록을 움직임블록, 준 움직임 블록, 비 움직임 블록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한 검색 테이블을 작성한다. 이어서, 검색 테이블을 참조하여 초기 탐색 계층 및 탐색 영역을 적응적으로 선정함으로써 피라미드 계층 구조상에서 효율적인 고속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여 이동 객체에 해당하는 객체포함영역만을 추출한다. 최종적으로, 이렇게 추출된 객체포함영역에서 임계 기울기 영상을 정의한 후, 이를 기준 삼아 객체포함영역에 화소 단위의 형태학 기반 영상 분할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비디오 시퀀스에 포함된 이동 객체를 분할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고찰할 때, 제안된 방법은 이동 객체에 대한 상대적으로 우수한 분할 특성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저대조 경계면의 분할 특성을 제고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A Region Growing Method using Slice Image Information for a Tubular Organ (관도계 기관 분할을 위한 슬라이스영상 정보를 이용한 영역 성장법)

  • 구교범;김동성;김종효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2 no.2
    • /
    • pp.127-132
    • /
    • 2001
  • 의료 영상에서 관심 있는 부위를 3차원으로 재구성하여 보는 것은,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3차원 재구성을 위해서는 관심 있는 영역의 분할이 필수적인 선행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관도계 기관의 분할을 위해서 슬라이스 영상의 정보를 이용한 3차원 영역 성장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영역 성장법에 의해 영역을 확장시키고, 그 이웃한 슬라이스들에 씨앗점을 전달하여 재귀적으로 3차원 체적을 확장하여 영상을 분할한다. 이때, 이웃한 슬라이스간의 영역의 크기의 제약을 이용하여 새나감을 방지한다. 제안된 방법을 기관지의 분할에 적용한 결과, 새나감 없이 뾰족한 가지들까지도 성공적으로 분할했으며, 튜브의 중심 축이 고차원 곡선인 경우에도 성공적으로 분할했다.

  • PDF

Slice-based 3 Dimensional Region Growing (슬라이스 기반의 3차원 영역 확장법)

  • 구교범;김동성;김종효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643-646
    • /
    • 2000
  • 의료 영상에서 관심 있는 부위를 3차원으로 재구성 하여 보는 것은,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3차원 재구성을 위해서는 관심 있는 영역의 분할이 필수적인 선행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적 정보를 이용한 영상 분할 방법으로 슬라이스 기반의 3차원 영역 확장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영역 성장법에 의해 영역을 확장시키고, 그 이웃한 슬라이스들에 씨앗을 전달하여 재귀적으로 3차원 영역을 확장하여 영상을 분할한다. 이때, 이웃한 슬라이스 간의 영역의 크기를 이용하여 새나감을 방지한다. 제안된 방법을 튜브 형태의 기관의 분할에 적용한 결과, 새나감 없이 뽀족한 가지들까지도 성공적으로 분할 했으며, 튜브의 중심 축이 고차원 곡선인 경우에도 성공적으로 분할했다.

  • PDF

Brain Segmentation on CT Angiography with Slice Information (CT 혈관조영영상에서 슬라이스 정보를 이용한 뇌 분할)

  • Lee, Byeong-Hun;Lee, Ho;Hong, Hele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904-90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뇌 CT 혈관조영영상에서 슬라이스 정보를 이용한 뇌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뇌 분할 과정은 현재 슬라이스와 이전 슬라이스 간 분할 영역의 크기 정보를 가지고 영역 성장 단계와 전파 단계로 구분하여 수행된다. 영역 성장 단계에서는 이차원 영역성장법을 통해 뇌 분할을 수행하고 누출이 발생하는 슬라이스에 대하여 방사선 투과 기법을 통해 영역보정을 수행한다. 전파 단계에서는 이전 슬라이스에서 분할된 뇌 영역을 현재 슬라이스로 전파함으로써 장벽을 생성하고 장벽 내에서 이차원 영역성장법을 수행함으로써 누출을 최소화한다. 또한 뇌 영역과 유사한 밝기값을 형성하고 있는 미세 요소들을 제거하기 위해 이차원 연결화소군 레이블링 기법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뇌 분할을 수행한다. 본 논문의 실험을 위하여 뇌 CT 혈관조영영상을 사용하여 정확한 뇌분할 결과를 얻었다.

  • PDF

Domain Decomposition Method for Elasto-Plastic Problem (탄소성문제 적용을 위한 영역분할법)

  • Bae, Byung-Kyu;Lee, Joon-S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8
    • /
    • pp.3384-3390
    • /
    • 2011
  • This paper describes a domain decomposition method of parallel finite element analysis for elasto-plastic structural problems. As a parallel numeral algorithm for the finite element analysis, the authors have utilized the domain decomposition method combined with an iterative solver such as the conjugate gradient method. Here the domain decomposition method algorithm was applied directly to elasto-plastic problem. The present system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ree-dimensional elasto-plastic structural problems.

A Study on Image Segmentation using Fractal Image Coding - Fast Image Segmentation Scheme - (프랙탈 부호화를 이용한 영상 영역 분할에 관한 연구 - 고속 영역 분할법 -)

  • 유현배;박지환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4 no.4
    • /
    • pp.234-332
    • /
    • 2001
  • For a method improving fractal image segmentation which is a new application of fractal image coding, YST scheme have proposed an image segmentation scheme using labeling based on periodic points of pixel transformation and error-correction of labels by iterating fractal transformation. The scheme generates the high quality segmentation, however, it has the redundancy in the process of labeling and correction of labels.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labeling algorithm based on orbit of pixel transformation and restricted condition on iterating process of fractal transformation.

  • PDF

Parallel Finite Element Analysis System Based on Domain Decomposition Method Bridges (영역분할법에 기반을 둔 병렬 유한요소해석 시스템)

  • Lee, Joon-Seong;Shioya, Ryuji;Lee, Eun-Chul;Lee, Yang-Chang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2 no.1
    • /
    • pp.35-44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an application of domain decomposition method for parallel finite element analysis which is required to large scale 3D structural analysis. A parallel finite element method system which adopts a domain decomposition method is developed. Node is generated if its distance from existing node points is similar to the node spacing function at the point. The node spacing function is well controlled by the fuzzy knowledge processing. The Delaunay triangulation method is introduced as a basic tool for element generation. Domain decomposition method using automatic mesh generation system holds great benefits for 3D analyses. Aa parallel numerical algorithm for the finite element analyses, domain decomposition method was combined with an iterative solver, i.e. the conjugate gradient(CG) method where a whole analysis domain is fictitiously divided into a number of subdomains without overlapping. Practical performance of the present system are demonstrated through several examples.

A Study on Glass Tile Generation for Stained Glass Rendering (스테인드 글라스 렌더링을 위한 유리 타일 생성에 관한 연구)

  • Nah, Hyeon-Cheol;Gi, Yong-Jea;Yoon, Kyung-H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246-125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영역 분할 알고리즘과 3차 스플라인 보간법을 이용하여 스테인드 글라스 렌더링을 위한 개선된 유리 타일 생성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먼저 유리 타일의 초기 형태를 추출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에 Mean shift 분할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Mean shift 분할 알고리즘은 영상의 각 픽셀(pixel)에서의 지역 밀도 최대 점(local density maximum)을 찾아 클러스터링(clustering)하는 알고리즘으로 영상을 효과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분할된 영역에서 영역을 사용자 입력으로 병합하고, 영역에서 부적절한 형태를 없애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형태론적 연산(morphological operation)을 이용하였다. 추출된 영역으로부터 유리 타일의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추출된 각각의 영역에 3차 스플라인 보간법(cubic spline interpolation)을 적용하여 경계가 완화된 영역과 납틀(leading)의 형태를 얻는다. 그 다음 영역을 스플라인 곡선(spline curve)을 이용하여 재분할하고, 각 영역에 변환(transformation)된 색상을 적용하여 최종적인 유리 타일을 만들어낸다. 본 연구에서는 3차 스플라인 보간법을 이용하여 실제 스테인드 글라스에서 생길 수 있는 부드러운 경계를 갖는 유리 타일의 형태를 만들어 이를 스테인드 글라스 렌더링에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기존의 영역 분할 알고리즘에 형태론적 연산만을 적용하여 유리 타일의 형태를 생성하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유리 타일의 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영역에 재분할 과정을 거쳐서 작은 유리 타일이 모여서 이루는 조형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daptive Domain/Boundary Decomposition Method for Computational Efficiency of Thermo-Elasto-Viscoplastic Damage and Contact Analysis (열탄점소성 손상 및 접촉 해석의 효율화를 위한 적응성 영역/경계 분할 기법)

  • Kim, Sung-Jun;Kim, Jong-Il;Shin, Eui-Sup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72-7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열탄점소성 손상과 접촉 문제의 효율적인 해석을 위하여 적응성 영역/경계 분할법을 제안하였다. 적응성 영역/경계 분할법은 시간 증분 또는 반복 기법 단계에서 열탄점소성 손상과 같은 재료 비선형성을 감안하여 부영역을 재설정하며, 접촉에 따른 경계 비선형성은 경계면을 통하여 부영역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분할한다. 분할된 각각의 부영역과 경계면을 기준으로 유한요소 정식화를 수행하며, 공유면 및 접촉 공유면의 연속 구속 조건을 처리하기 위하여 벌칙 함수 기법을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재료 및 경계 비선형성은 일부 부영역과 접촉 경계면에서 계산되는 유한요소 행렬에 국한된다. 수치 실험을 통하여 적응성 해석 알고리듬의 기본적인 특성과 효율성 향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