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업거리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axi Revenue Analysis in Seoul (서울시 택시 운송수입금 분석에 관한 연구)

  • 이승재;김종형;최인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6
    • /
    • pp.241-251
    • /
    • 2001
  • 1999년 8월에 발표된 "택시 타코미터 자료분석을 통한 운송수입금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당시 택시 운행기록에 바탕을 두어 택시업체들의 지역적 입지를 고려한 표본을 추출하여 운송수입금과 관련하여 운행거리, 영업거리, 영업률의 요일별, 오전·오후별 분석을 실시하여 현실성을 충분히 감안한 연구가 이루어진바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좀더 정확한 운송수입금 분석을 위해 2000년에 택시조합과 협의하여 전년도 자료와 비교 분석하여 그 추이를 살피고, 지역별, 규모별 분석을 추가함으로써 현재 택시업계에서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운송수입금 전액관리제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를 마련하고자 진행된 것이다. 분석대상은 서울시 전체 택시 업체 259개 중 10%가 넘는 31개 업체의 33,967개 일주일간 타코기록을 입력하여, 운송수입금, 운행거리, 주행거리, 영업률 등 4개 항목으로 나누어 연도별, 지역별, 규모별로 구분하여 각각을 분석하였다. 분석항목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각의 분석항목에 대한 분산분석(ANOVA)을 통해 평균치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는 각 분석항목별로 요일별, 지역별, 규모별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오전·오후간의 항목별 차이는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항목에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년도에 비해 운송수입금이 증가하여 운행거리, 영업거리, 영업률도 증가 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Operational Condition of Corporation-owned and Owner-driver Taxies Using Tachometer Output Data (타코미터 자료에 의한 법인택시와 개인택시의 운행실태 비교 분석)

  • Hwang, Jeong-Hun;Yun, Dae-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4 no.6 s.92
    • /
    • pp.45-5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operational condition of corporation-owned and owner-driver taxies using tachometer output data. The empirical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lthough corporation-owned taxies have long operating mileage and service driving mileage per vehicle. the service rate of owner-driver taxies were 3.5 percent higher than corporation-owned taxies. Secondly it is found that operation mileage, service driving mileage, and service Income except non-service driving mileag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rporation owned and owner-driver taxies. In addition. there was a weak correlation between the income and non-service driving mileage of owner-driver taxies. It is concluded that owner-driver taxies joined the call-taxi association and call-taxi services decreased non-service driving mileage.

해상 기상자료 기반 낚시어선 안전성 연구

  • Choe, Hun;Seo, Gwang-Cheol;Kim, Gyeong-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14-215
    • /
    • 2018
  • 낚시관리 및 육성법에서의 영업구역은 선적항이 속한 시도지사의 관할 수역이다. 시도지사의 관할 수역이라는 모호한 영업구역으로 인하여 각 지자체의 영업구역은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 기상자료를 기반 해역별(4곳)/거리별(앞바다, 먼바다) 낚시어선 내항성능 검토를 위한 수치해석을 진행하였다.

  • PDF

Radius Restriction and Franchise Encroachment in the Korean Coffee Franchise Industry (모범거래기준과 영업지역침해: 한국 커피 프랜차이즈 산업을 중심으로)

  • Yu, Min-Hui;Kim, Ji-Yeong;Choe, Yun-Jeong
    • Journal of Regulation Studies
    • /
    • v.27 no.1
    • /
    • pp.153-188
    • /
    • 2018
  • This paper reviews the literature regarding exclusive territory restraint and encroachment and compares the development of related policies in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and South Korea. Furthermore, using coffee franchise industry data in South Korea,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the exclusive territory restraint on entry and exit of coffee shops. The results show that the growth rates of regulated brands' entry have stagnated during the implementation period of the KFTC's Franchising Best Practice Code. Moreover, the exit rates of coffee shops in two years after its entry decreased under the Best Practice Code and the revised Franchise Law.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Business by Operation Period of the Merchant : focu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of Jongno-gu (상인의 운영기간별 영업지속기간 영향요인 분석 : 종로구 역사문화거리를 중심으로)

  • Moon, Hae-Ju;Lee, Myeong-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3
    • /
    • pp.61-73
    • /
    • 2017
  • A huge rent rise has forced the number of merchants out of their workplace. it has required to review the duration of business, considering recognition about social, economic, cultural characteristic of merchant. this research has indicated influence factors about the duration of business, divided into less than 5 years and more than 5 years on the basis of operation period focu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of Jongno-gu. The research results, new merchants(less than 5 years) has emerged in order of important factors : monthly sales, monthly rent, franchise, store premium, media public relations. Existing merchants(more than 5 years) has emerged in order of important factors : monthly rent, monthly sales, merchant community, store premium, floating popul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propos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ly, new measures must be needed to protect merchants and legal regulations about sharp monthly rent. Secondly, when entering the franchises, local government must review business standards with reference to the type and scale.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Business Environment by Merchant Age: Focusing on the Jongno-gu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상인 연령별 영업환경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종로구 역사문화거리를 중심으로)

  • Moon, Hae-Ju;Lee, Myenog-H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0
    • /
    • pp.559-568
    • /
    • 2017
  • recent times, the monthly rent in the Jongno-gu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in Seoul has rapidly increased, because of the presence of large-scale franchises and the entry of private investment into the traditional and local businesses focusing on Bukchon, Seochon, Insa-dong, and Samcheong-dong. As a result, the business environment for these merchants has worsened, due to the increasing economic burden. In order to maintain the business environment of the merchant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potential for establishing a regional commercial area,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commercial areas and to improve the locational, economic, cultural and political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rchants' satisfaction with the business environment as a function of their age, by considering three age groups, viz. 30-49, 50-59, and more than 60, considering the locational, economic, cultural and political environment of the merchants.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business environment, the merchants in their 30s and 40s placed more emphasis on the traffic accessibility, floating population, store premium and monthly rent than the other age groups.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business environment, the merchants in their 50s placed more emphasis on the cultural organization, artist activities, expansion of community support facilities, and banning of franchises in certain locations than the other age groups.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business environment, the merchants over 60 years old placed more emphasis on the walking accessibility, monthly sales, merchant community, preserv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and commercial protection of the government than the other age groups.

집중취재 2 - 와플기 시장의 돌풍을 노린다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Vending industry
    • /
    • v.10 no.1
    • /
    • pp.66-68
    • /
    • 2010
  • 자동판매기 시장의 부진은 사업 아이템에 대한 심각한 고민을 수반하기 마련이다. 정통 자판기가 부진을 보이는 상황에서 그래도 유관아이템을 찾아 사업 다각화를 꾀해가는 것도 난세를 생존해 가는 비결이다. 이런 측면에서 최근 식품영업용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식품영업용기기란 자동판매기처럼 완전자동은 아니지만 반자동형태로 기계를 통해 사람이 조리 식품을 만들어주는 기계이다. 기계를 통해 간편하게 만들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자판기 시스템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고, 사람이 재료를 넣고 반자동으로 이용한다는 점에서 자판기와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슬러시, 소프트아이스크림기, 팝콘자동기, 솜사탕제조기, 와플기기, 뻥튀기기기 등의 품목을 들 수 있다. 이들 아이템은 자판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을 투자해 '샵 인 샵' 형태로 영업을 진행하며 수익을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자판기 시장은 부진한 반면 상대적으로 식품영업용기기 시장이 늘고 있다는 사실은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반자동이라고 해도투자부담이 낮고, 실용적인 아이템에 대한 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것이다. 일반식품자판기 분야를 놓고 보면 식품영업용기기기가 경쟁자이자 상호 공생의 관계에 있다 할 수 있다. 일반식품자판기의 상품화 방향에 있어 식품영업용기기의 실용적인 장점은 취하고, 반자동의 한계를 보완한다면 시장성이 지금보다는 좋아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식품영업용기기 시장 추이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런데 식품영업용기기도 주기적인 트렌드에 의해 인기를 끄는 제품이 달라진다. 지난해에는 와플기와 팝콘자동기가 인기를 끌었었다. 와플기는 간단하게 간식거리를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샵 인 샵' 아이템으로 인기를 모았다. 이러한 동향 탓에 와플기의 시장경쟁도 치열해 지고, 좀 더 새로운 제품에 대한 니즈 역시 커지고 있다. 이번에 소개할 다원푸드의 웰빙 찰보리 와플기는 기존 와플기와는 재료와 방식에 있어 완전 차별화를 한 제품이다. 건강지향의 니즈에 맞게 찰보리를 재료로 했고, 와플형태도 스틱방식으로 마든 제품도 있어 먹기에도 편하게 했다. 과연 이 찰보리 와플기가 와플시장의 새로운 돌풍을 일으킬 수 있을까?

  • PDF

A Study on the Mathematical Programming Approach to the Subway Routing Problem (지하철 차량운용 문제에 대한 수리적 해법에 관한 연구)

  • Kim, Kyung-Min;Hong, Soon-Heum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7.11a
    • /
    • pp.1731-1737
    • /
    • 2007
  • This paper considers subway routing problem. Given a schedule of train to be routed by a railway stock, the routing problem determines a sequence of trains while satisfying turnaround time and maintenance restrictions. Generally, the solution of routing problem is generated from set partition formulation solved by column generation method, a typical integer programming approach for train-set. However, we find the characteristics of metropolitan subway which has a simple rail network, a few end stations and 13 departure-arrival patterns. We reflect a turn-around constraint due to spatial limitations has no existence in conventional railroad. Our objective is to minimize the number of daily train-sets. In this paper, we develop two basic techniques that solve the subway routing problem in a reasonable time. In first stage, we formulate the routing problem as a Min-cost-flow problem. Then, in the second stage, we attempt to normalize the distance covered to each routes and reduce the travel distance using our heuristic approach. Applied to the current daily timetable, we could find the subway routings, which is an approximately 14% improvement on the number of train-sets reducing 15% of maximum traveling distance and 8% of the standard deviation.

  • PDF

A Study of Road Freight Mode Choiice Model (도로 화물운송 수단선택모형에 관한 연구)

  • 이현애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496-505
    • /
    • 1998
  • 물류활동에서 운송부분이 차지하는 중요성은 기업의 경영자층에게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데, 이는 경쟁 환경 때문이다. 경쟁환경에서는 'Output Logistic' 즉, 운송활동의 수행정도에 따라 물류활동의 성패가 결정된다. 따라서 기업물류활동의 근간인 운송활동의 주요 결정요인과 선택형태를 알아보고, 이들이 실제로 기업의 물류활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해보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더구나 우리 나라의 현재의 경제여건에서는 물류비에 대한 효율화 작업이 필요한데 반해 그 동안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SP 자료를 이용한 가상적 상황하에서의 화주의 선택행태를 분석하였으므로 실제 선택한 수단간의 gap을 극복할 수 없었다. 기업은 운송수단의 선택시 복잡한 결정과정을 갖는다. 이는 운송부문이 총물류비용에서 차지하는 중요도 때문이다. 기업의 운송관리자는 화물을 출하할 때마다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다. 즉, 일부는 조직 체계나 다른 계약 여건에 따라 이전과 동일한 수단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에는 매번 출하시 마다 최적의 운송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새로운 결정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화주의 수단선택행태를 실제 RP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단선택모형의 적용 및 분서결과를 살펴보면 상당히 attractive한 결과를 발견할 수 있는데 각 품목별 추정 값이 운송거리에 대해서는 음으로 운송비용에 대해서는 양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운송거리가 길수록 효용은 감소하고 운송비용이 커질수록 효용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 분석결과가 올바른 결과를 도출하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여기서 알수 있는 것은 운송거리와 운송비용이 각각 주요한 변수라는 것이다.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logilikelihood 값을 구하여 $\rho$^2분석을 시행하였다. 여기서는 각 품목별로 $\rho$^2값이 약 0.15~0.3의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모형의 설명력이 어느 정도 있다는 것이 아울러 증명이 되었다.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에서는 영업용 차량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곧 영업용 화물차량을 적재중량별로 구분하는 것이 별 의미가 없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자가용 차량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회사는 다른 운송전문업체에 화물운송을 의뢰하게 되므로 출하중량에 따라 화물차량을 구분하는 것에 대해서 그다지 큰 고려를 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가 있다.

  • PDF

Truck Destination Choice Behavior incorporating Time of Day, Activity duration and Logistic Activity (출발시간, 통행거리 및 물류활동 특성을 고려한 도착지 선택행태분석)

  • Sin, Seung-Jin;Kim, Chan-Seong;Park, Min-Cheol;Kim, Han-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7 no.1
    • /
    • pp.73-81
    • /
    • 2009
  • While various factors in passenger and freight demand analysis affect on destination choice, a key factor, in general. is an attractiveness measure by size variable (e.g., population. employment etc) in destination zone. In order to measure the attractiveness, some empirical studies suggested that disaggregate gravity model are more suitable than aggregate gravity model. This study proposes that truck travelers trip diary data among Korean commodity flow data could be used to estimate the behaviors of incorporating trip departure time, activity duration and attractiveness in destination. As a result, the main findings of size and distance variables coincide with the conventional gravity model having a positive effect of population variable and a negative effect of distance variable. Due to disaggregate gravity modeling, the unique findings of this study reports that small trucks are more likely to choose short distance and early morning, morning peak and afternoon peak departure time choice. On the other hand, large trucks are more likely to choose long distance and night time departure time cho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