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어용어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5초

과학기술용어(科學技術用語) 시소러스 대역(對譯) 데이터베이스 구축(構築) (A Study on Multi-Lingual Thesaurus Database Construction of Scientific and Technical Terms)

  • 김은식
    • 정보관리연구
    • /
    • 제22권2호
    • /
    • pp.1-28
    • /
    • 1991
  • 본(本) 연구(硏究)는 한글 과학기술용어(科學技術用語)의 표준화(標準化)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여 국내(國內) 과학기술(科學技術) 데이터베이스의 제작을 촉진하고, 또한 한글 전문용어(專門用語)와 이에 대응하는 영어(英語) 용어(用語) 및 일어(日語) 용어(用語)를 안내해 줌으로써 해외(海外) 데이터베이스 검색시(檢索時)에 편리한 검색(檢索) 툴로서 활용하는 데 목적(目的)이 있다. 과학기술분야(科學技術分野)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문용어(專門用語)의 한글 용어, 영어(英語) 용어, 일어(日語) 용어 시소러스에 대한 대역(對譯)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것이다. 시소러스의 이론적인 배경을 고찰하였으며, 과학기술분야(科學技術分野) 전문용어(專門用語)의 수집은 일본과학기술정보(日本科學技術情報)센터가 1987년에 발행한 $\ulcorner$과학기술용어(科學技術用語) 시소러스 영일(英日) 리스트$\lrcorner$$\ulcorner$과학기술용어(科學技術用語) 시소러스 일영(日英) 리스트$\lrcorner$를 근거자료로 하여 일어(日語) 용어(用語) 및 영어(英語) 용어(用語)에 1 대(對) 1로 대응하는 한글 용어로 번역(飜譯)하였다. 과학기술용어(科學技術用語) 시소러스 대역(對譯)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한글 디스크립터는 38,318 용어, 한글 비디스크립터는 2,870용어, 영어(英語) 디스크립터는 38,318 용어, 영어(英語) 비디스크립터는 11,910 용어, 일어(日語) 디스크립터는 38,318 용어, 일어(日語) 디스크립터는 9,789 용어이다.

  • PDF

광물·암석 용어의 어원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Origin of the Terms of Mineral and Rock)

  • 이창진;류춘렬;조준오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06-32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잘 알려진 광물과 암석의 한국어, 조선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용어의 유래를 분석하는 것이다. 광물과 암석의 영어와 중국어는 모두 표준화되어 있지만, 일본어, 조선어, 한국어 중 일부분은 표준화되어있지 않다. 한국의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용어를 표준화하기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광물과 암석 용어는 연구되지 않은 채 사용되고 있다. 광물 용어는 28가지 지질학적 성질 중 주로 화학 조성, 색, 모양, 물질을 기초로 명명되었으며, 암석 용어는 30가지 지질학적 성질 중 주로 광물 조성, 성인, 물질, 모양을 기초로 명명되었다. 124종의 영어 용어 중 23종이 사람 이름이나 지역 이름에서 기원한 것이고, 동양에서는 오직 3종만이 지역 이름에서 명명되었다. 동양 용어는 동일 영어 용어에 비해 더 복합적인 지질학적 성질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다. 복합적인 지질학적 성질을 가진 광물 용어의 경우, 영어는 2종, 동양 용어는 평균 28종으로 동양 용어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암석 용어의 경우, 영어는 5종, 동양 용어는 평균 9.25종으로 동양 용어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일부의 한국어 용어는 일본어나 영어 용어를 어떠한 고려도 하지 않고 그대로 반영되었기 때문에 학생들이 이해하기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선행적으로 용어의 의미와 적절성에 대해서 논의되어야 한다.

아직도 출판계 주변을 맴도는 일제 용어들

  • 이성수
    • 출판저널
    • /
    • 통권173호
    • /
    • pp.6-7
    • /
    • 1995
  • 인쇄 제판 제본 등 출판 전분야에 걸쳐서 일본말은 지금도 표준어처럼 쓰인다. 그런 용어를 모르면 아예 '초보자'로 무시당하기 일쑤다. 일본말인지도 모르면서 우리말로 착각하고 쓰는 용어도 적지 않다. 또 영어로 교육받은 지금의 세대들은 영어를 즐겨 사용함으로써 출판계 용어는 실로 '바벨탑'의 언어처럼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다.

  • PDF

남북한 과학기술용어

  • 김도한
    • 과학과기술
    • /
    • 제26권6호통권289호
    • /
    • pp.85-86
    • /
    • 1993
  • 국제정세의 변화와 오랜 통일에의 염원에 따라 남북한 상호간에 많은 교류가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해방 후 분단 반세기 동안 남한과 북한은 전혀 교류가 없는 상태에서 서로 다른 길을 걸어왔기 때문에 모든 분야에서 상당한 이질감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수학의 경우에도 분야에 따른 연구상황은 물론, 용어면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인다. 우리가 별 노력없이 일본식 한자용어와 영어용어를 그대로 수용하고 있는 경향인데 반하여 북한에서는 한글화 작업에 많은 노력을 쏟아와 대부분의 수학용어들이 우리 고유의 한글로 정착되어 있다. 현재 우리의 감각에는 생소하고 어색한 단어들도 많지만 북한의 좋은 한글용어를 보완, 수정하는 등 중요 자료로 받아들여 우리의 수학용어를 체계화시킴으로써 통일된 앞날의 우리 수학발전에 기초로 삼아야 할 것이다.

  • PDF

영어 품사 및 문장요소 용어 재확립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reestablishment of English Part of Speech and Sentence Structural Elements)

  • 이재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43-48
    • /
    • 2019
  • 본 연구는 현재 영어문법 교수과정에서 흔하게 나타나고 있는 문법용어 즉, 품사와 문장구성요소 용어의 오사용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수정 및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품사와 문장요소는 어떤 문법적인 기술을 위해서도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이러한 품사와 문장요소들은 학교 문법과 일반적인 문법의 기초를 이루는 부분임에도 정확한 재단 및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중의적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품사와 문장요소를 정확히 구분하지 않은 상태로 혼용하고 있다. 영어의 품사와 문장요소는 서로 다른 것을 지칭하는 것이고 이것들을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 영어 교육을 위한 문법용어 설정에 큰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현재 학교에서 사용되는 영어교재 및 각종 수험서에서 정의하고 있는 품사 및 문장요소에 대한 정의를 논의 및 제고해 볼 필요성이 있고 이러한 논의 및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영어교육을 위한 문법용어 설정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Analysis of Modern Astronomical Terminology in the Early 1900s

  • BAHK, UHN MEE;MIHN, BYEONG-HEE
    • 천문학회보
    • /
    • 제41권1호
    • /
    • pp.63.2-63.2
    • /
    • 2016
  • 1900년대 초에 발행된 천문학 서적 2권을 중심으로 사용된 천문학 용어를 현재와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리는 두 서적에 사용된 용어에서 천문학용어, 화학원소 용어, 인물 및 지명 용어로 나누어서 현재의 과학용어사전과 비교하였다. 지금까지 사용되는 용어와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용어, 그리고 의미는 동일하지만 변화를 보인 용어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한 권의 천문학 서적에는 영어 색인이 포함되어 있어, 그 기준으로 현재와 비교하고, 나머지 천문학 서적은 본문에 나온 용어를 추려서 비교하였다. 용어를 통해서 두 권의 서적이 다른 경로로 수입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현재와 같이 용어의 통일이 없었다는 점에서 당시 천문학 교육의 한계점이 드러났다. 이 연구는 당시의 천문학 서적이나 관련 서적을 연구할 때, 한자 표기 없이 영어 어휘를 음차하여 표기된 용어를 동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 PDF

남북한 과학기술용어

  • 박찬모
    • 과학과기술
    • /
    • 제26권12호통권295호
    • /
    • pp.90-93
    • /
    • 1993
  • 지난 호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컴퓨터용어는 아직 순화단계에 있어 남한에서도 통일된 것이 없고, 같은 영어 낱말을 여러 가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로 「interrupt」를 정익사판 컴퓨터용어사전에는 「인터럽트」로 영어발음을 그대로 우리말로 표기한 반면, 다른 용어사전에서는 「가로채기」, 「개입중단」등으로 되어 있다. 현재 남한에서 발간 된 컴퓨터용어 관련자료로는 크라운사, 교학사, 대은사 및 정익사 발행의 컴퓨터용어사전과 하이텔 이용자 모임순화안, 서울대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 HDTV용어사전,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지능연구센터안, 교육부 편수자료 등이 있고 1993년 1월에 발간된 문화체육부의 전산기 기본용어 순화시안이 최신 것이라 하겠다. 이곳에서는 주로 1990년 정익사에서 출판한 한국정보과학회편 「컴퓨터용어사전」과 1986년 북한의 과학, 백과사전 출판사에서 발간한 전웅편저「전자계산기프로그람용어사전」을 참조하여 비교하였고, 참고로 문화체육부에서 내어놓은 순화시안도 함께 병기하였다. 지면상 모든 용어를 비교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여 남한과 북한에서 서로 다르게 부르는 용어 중 일부분만을 다음 표에 나열한다.

  • PDF

식, 방정식, 항등식이라는 용어의 의미에 관한 연구 (A Review on Meaning of Expression, Equation and Identity)

  • 김진환;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1호
    • /
    • pp.27-4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인 식, 방정식, 항등식의 의미에 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식, 방정식, 항등식과 그 각각에 해당하는 영어 용어 expression, equation, identity의 의미를 우리나라 교과서와 미국 교과서에서 찾을 수 있는 용례에 기초하여 분석한다. 특히 우리나라와 미국 교과서에서 방정식(equation)과 항등식(identity)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다. 우리나라 교과서에서는 이 용어들의 정의에서 다소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 또한, 이 용어들의 정의와 그들에 해당하는 영어 용어의 정의 사이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불명확성과 차이는 방정식, 항등식의 교수 학습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교육과정 차원에서 이들 용어의 개념을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용 지도서 등을 통해 교사들이 식, 방정식, 항등식과 이들에 해당하는 영어 용어의 정의 특성과 그 구분 방법을 충분히 습득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 PDF

사방공(砂防工) 용어(用語) 제정(制定)에 관(關)한 기초적(基礎的) 연구(硏究) (Scientific Terms in Soil Erosion Control Measures and Structures)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3-48
    • /
    • 1973
  • 임학분야(林學分野)의 과학기술용어제정(科學技術用語制定)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고 또 전국(全國)의 국토(國土)가꾸기사업장(事業場)에서 사용(使用)되고 있는 부당(不當)한 사방공(砂防工) 용어(用語)를 바로잡기 위하여 주요(主要) 사방공(砂防工)(기본공(基本工) 30개(個) 준기본공(準基本工) 4개(個) 및 부속공(附屬工) 4개(個) 총공법(總工法) 279)에 대한 한자어용어(漢字語用語), 우리말용어(用語), 영어용어(英語用語)의 순(順)으로 용어집(用語集)을 만들었다.

  • PDF

남북한 과학기술용어

  • 최승언
    • 과학과기술
    • /
    • 제26권4호통권287호
    • /
    • pp.90-93
    • /
    • 1993
  • 북한의 천문학용어는 한글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살별(혜성)」과 같이 전통적인 우리말을 사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우리의 용어는 일본의 용어를 전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 북한의 용어는 그들의 주체성에 입각하여 일본식 용어에서 탈피하고 있다. 그렇지만 순한글용어와 한자식 용어가 혼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북한의 용어는 두음법칙이 없어 역을 력이라고 표기하는 등 우리와의 맞춤법이 약간 다르다. 그리고 외래어의 표기에 있어서도 우리와는 많이 다르다. 우리는 영어식 발음을 따르고 있는데 반해 북한은 러시아식 발음을 따르고 있다. 어원의 비교를 위해서 일본, 중국 용어도 첨가하였다. 중국은 일본식 용어와는 다른 중국 독자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고유명사를 제외하고, 외래어는 모두 뜻에 맞는 한자용어로 바꾸었다. 위성과 소행성, 성단, 별자리 등의 천체의 명칭도 적절한 중국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