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양액

Search Result 90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reparation of Cellular Liquid from Brown Seaweeds for Functional Tonic Products (기능성 음료의 개발을 위한 갈조류 생세포액의 제조)

  • 강영주;류근태;김효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5 no.1
    • /
    • pp.94-103
    • /
    • 1996
  • 기능성 해조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미역, 톳 및 다시마를 저온하에서 마쇄, 원심분리, 한회여과를 거쳐 생해조 세포액을 얻었으며, 각 해조 생세포액의 성분 분석과 색차 측정 및 관능검사를 통하여 품질평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원심분리 후 한외 여과에 의한 생세포액의 수율은 생해조에 대하여 6.8~56.5% 였으며, 톳과 미역의 수율은 높았으나 다시마는 수율이 낮았다. 해조액을 한회여과한 다음 동결건조한 시료의 회분 합량은 28~60%였으며, 조단백 함량은 12.7%~6.7%정도 였는데 미역과 톳은 다시마 보다 각 성분의 함량이 많았다. 알긴산과 chlrophyll 및 carotenoid 은 한회여과막에 의하여 대부분 제거되었으나 톳의 polyphenol은 30K 한외여과막에 의해서도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았다. 다시마와 톳 생세포액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 였으며, 미역의 경우는 alanine, aspartic acid, valine이었다. 해조 생세포액중의 무기 질은 칼륨의 함량이 특히 높았으며 양이온의 경우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 철, 아연, 망간, 구리순으로 함유 되어있었다. 음이온으로는 $Cl^{-}$,$SO_{4}^{2-}$,$HPO_{4}^{2-}$,$NO_{3}^{-}$의 함량이 높았으며, I와 Br의 함량은 다시마가 톳과 미역에 비하여 높았다.

  • PDF

Antioxidative Effects of Common and Organic Kale Juices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 착즙액의 항산화 활성)

  • Kim, Jong-Dai;Lee, Ok-Hwan;Lee, Jong Seok;Park, K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3 no.5
    • /
    • pp.668-674
    • /
    • 2014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conventionally and organically cultivated kale juices against oxidative damage in $LLC-PK_1$ cells. The DPPH, NO, $O_2{^-}$, and ${\cdot}O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organically cultivated kale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ventionally cultivated kale juice. Oxidative damage induced by AAPH (2,2'-azobis(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SNP (sodium nitroprusside), pyrogallol, and SIN-1 (3-morpholinosydnonimine) led to loss of cell viability and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in LLC-PK1 cells, whereas treatment with vegetable juices, especially organically cultivated kale juices,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and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ganically cultivated kale juices have protective roles against oxidative stress induced by free radic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