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아지각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영아기질에 대한 양육자의 지각 차이 및 기질과 양육자와의 상호작용 관계 (Relations Between Infant Temperament by Caregivers' Perceptions and Infant-Caregiver Interactions)

  • 박수빈;김숙령
    • 아동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3
    • /
    • 2005
  • Subjects were 78 12- to 35- month old infants, their mothers, and their teachers. Instruments included the Revised 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Y. H. Choi 1990) and the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M. K. Hong 1997; S. K. Kim 199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infant temperament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Infant-mother interaction differed by infant temperament in that mothers had high scores with easy infants but low scores with difficult children. On the other hand teachers maintained high interactions with difficult infants in the case of infant's rhythmicity. Infant-teacher interaction correlated with such teacher variables as teacher-infant ratio, teachers' academic backgrounds and working hours.

  • PDF

소비자의 집단구성원에 대한 지각이 소비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Group Membership Perspective on Consumer Decision)

  • 김영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5권4호
    • /
    • pp.31-47
    • /
    • 2003
  • 소비자의 집단 구성원에 대한 자아지각은 소비자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집단소비자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 상황이나 소비자 개인적 의사결정상황 등 의사결정 상황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칠까? 본 연구는 소비자가 집단의식을 인식할 때 개인적 차원과 집단적 차원에서 행해지는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검증하고, 이때, 소비자의 위험회피성향에 따라 소비자 의사결정이 어떻게 조절되는가를 2 가지 실험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미국 오레곤 주립대학교의 아시아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2 가지 실험을 실시한 결과, 집단의식을 지각한 소비자는 집단관련 의사결정은 물론 개인관련 의사결정에서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험회피성향의 조절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는 집단의식을 지각한 소비자와 집단의식을 지각하지 않는 개인적 소비자 모두 처벌에 관한 상황에서 형평성 선호와 협상적 대안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의식지각의 의사결정에 대한 위험회피성향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 PDF

산욕기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영아지각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Stress and Infant Perception of Mothers in Postpartum Period)

  • 이영은;강양희;박혜선;강인선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1-100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tress in postpartum period and perception of infant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2004 to October 15, from one women's hospital and three facilities for taking care of women's health after delivery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analyzed by SPSS/12.0 program frequency, percentage rate, mean, standard deviation, average, the maximum value, the minimum value and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1. The degree of stress of subjects was $75.6{\pm}38.3$(0-376) in average, and $.8{\pm}\;.4$(0-4) of average point, and the degree of perception of infant was $-5.8{\pm}5.6$(15-75) in average and $-\;.4{\pm}.4$(1-5) of average point. The relationship of degrees between the stress of subject and conception of infants that showed weak reverse relation(r= .210, p= .030). That is, the more the stress of subject was high, the more the perception of infant is relatively indefinite. Conclusion: As a result, The stress of mother in postpartum period was a level to be in need of management and the perception of infant was slightly negative. thus, the introduction of nursing assistance program is necessary to relive the stress of mother in postpartum period to promote the affirmative perception of infant.

  • PDF

신생아 행동평가법을 이용한 어머니 교육이 영아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aternal education of infant's behavioral characteristics on maternal perception of her infant and the infant's behavioral development)

  • 이선아;신영희;김태임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6-5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maternal perception of her infant and the infant's behavior development through maternal education designed to provide information of the capabilities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her infant. The subjects were 48 pairs of normal infants and mothers at three different hospitals, 24 pairs for the intervention group and 24 pairs of the control group.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30 to October 6,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ing. A maternal perception of her infa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more positive in the interven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 are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maternal perception for her infant and general development of the infan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method of this study may be worth utilizing in nursing practice. The practitioners of hospitals have to establish a system that it offers an education of understanding the infant's behavior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hospitalization after delivery.

  • PDF

초산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in Primiparas)

  • 김희순;오가실;신영희;김태임;유하나;심미경;정경화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290-300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in primiparas.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8 primiparas of infants aged 1-6 months who visited well baby clinics in 5 hospita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5 to June 15, 2003. Results: The mean score for parenting stress was 2.4 of a possible 5 and thus considered average. The score for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maternal perception of the infant and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he score for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of the primiparas and prenatal management. For the primiparas, social support($20\%$) and maternal perception of the infant($9\%$) were significant predictors explaining parenting stress. Conclusions: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maternal perception of the infant and increase so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primiparas in order to reduce parenting stress.

  • PDF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결혼만족도 및 가정환경 탐색 -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Infant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Family Environment Focused on Employment Status)

  • 김진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63-79
    • /
    • 2015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가족환경의 제반여건이나 심리적, 물리적 환경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어떤 요인들이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 살펴보았다. 첫째,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가정환경 변인을 분석한 결과, 먼저 양육환경에서는 비취업모가 취업모에 비하여 양육스트레스가 높으며 남편의 양육협조를 받지 못했다. 또한, 어머니의 개인변인에서 취업모의 자아존중감이 비취업모에 비해 높은 편인 반면, 비취업모는 우울감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아버지 개인 변인에서 남편이 지각하는 부부갈등 수준이 아내가 취업한 경우에 높았다. 아동변인에서는, 비취업모가 자신의 자녀가 좀 더 부정적인 정서를 보이며 까다로운 편이라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모의 자녀가 발달 상태에 있어서는 정상발달 범주에 포함되는 비율이 더 높았다. 둘째, 부인의 취업여부와 관계없이 부부갈등은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남편의 양육협조와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취업여성의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인의 최종학력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영아기 가정의 가정환경을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비교 모색하였고, 어떤 변수들이 영아기 자녀의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영아울음소리에 대한 임산 부부의 정서적 지각 (Emotional Perceptions of Pregnant Women and Husbands on Babies' Cries)

  • 김연정;정미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89-98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consciousness of husbands and wives on babies' cries and its factors which have impacts on their emotional perceptions. For this study, infants' cries were recorded with the participation of 136 pregnant women and 76 husbands, and they conducted self-evaluations regarding their emotional perception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stimulus used to exhibit the cries of infants were from eighteen recorded cry sample under three situations (hunger, pain, and mother's absence) with six healthy infants (three male and three female) who are over six months. Also, this study deal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ssessment an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fathers.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child-rearing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motional cry perceptions of husbands and wives, and there was no sex difference in their emotional cry perceptions. A change of recognition, "being parents," has impacts on emotional cry perceptions, but the major factors increasing these impacts depend on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pregnant women and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임신 및 출산, 양육 변인에 관한 연구: 2002년과 2007년 실태 비교를 중심으로 (Prevalence Study of Mothers' Perception on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Comparison Between Years 2002 and 2007)

  • 김양은;조복희;정민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8-8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36개월 미만 첫 자녀를 둔 어머니 270명(2002년 183명, 2007년 87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임신 및 출산, 양육지식과 양육스트레스 수준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1)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KCDI)(Larsen & Juhasz, 1985), 2) 양육스트레스(김기현, 강희경, 1997)와 양육관련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초통계와 신뢰도 검사, t-test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2년에 비해 2007년에는 결혼 후 첫 자녀를 임신 하는 시기는 빨라졌고, 자연분만으로 출산을 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었다. 출산 시 남편이 분만실에서 같이 출산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아졌으며, 산후조리는 친정이나 시댁에 의존하던 비율이 줄어들고, 산후조리원이나 고용인을 두고 조리를 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었다. 반면, 남편의 육아에 대한 참여 수준은 2002년과 2007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어머니의 양육지식 수준은 2002년에 비해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스트레스는 2002년에 비해 더 높은 수준으로 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난 5년간 의 영아모의 임신 및 출산에 관한 여러 환경의 변화를 살펴본 것으로, 향후의 변화추이를 예상해 볼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Mother's Parenting Stress)

  • 양미선;김양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29-24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아동발달에 관한 지식과 자녀발달을 위해 행하는 양육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지식과 행동의 수준의 차이에 따라 지각되는 양육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 영남, 호남 지역에 거주하는 18~36개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s 적률상관계수,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녀발달과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영역별 양육행동 중 인지발달에 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양육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집단별 비교에서도 영역별 적합한 양육행동을 많이 행하지 못하는 하위집단이 중상위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양육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