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상 자극

Search Result 366,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Small animal brain functional MRI study using light stimulation (광자극을 이용한 소동물 뇌 fMRI 연구)

  • Kim, Wook;Park, Yong Sung;Ko, In Ok;Kang, Kyung Joon;Kang, Joo Hyun;Lim, Sang Moo;Woo,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95-29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LED 광 자극이 뇌의 어느 영역을 자극하여 신경신호를 전달하는지에 관해서 관찰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광 자극에 의한 뇌 영역의 활성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험용 소동물과 영상장비인 9.4T MRI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 하였다. 실험용 소동물은 Balb/c 마우스를 이용하였으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획득 방법 중 하나인 에코평면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뇌 영상을 획득 하였다. 획득한 영상을 바탕으로 뇌 영역의 자극 정도를 확인해보기 위해 영상처리기법인 재편성(realignment), 일치(co-registration), 표준화(normalization), 평활화(smoothing) 방법으로 영상을 전처리 하고, statistical parametric map (SPM12)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광자극이 소동물 뇌 영역 중 하나인 상구(Superior colliculus)영역과 대뇌의 시각피질 (visual cortex, V1) 영역에서 자극을 일으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 Auto-range Fast Bilateral Filter Using Adaptive Standard Deviation for HDR Image Rendering (HDR 영상 렌더링을 위한 적응적 표준 편차를 이용한 자동 레인지 고속 양방향 필터)

  • Bae, Tae-Wuk;Lee, Sung-Hak;Kim, Byoung-Ik;Sohng, Kyu-I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4C
    • /
    • pp.350-357
    • /
    • 2010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uto-range fast bilateral filter (FBF) for high-dynamic-range (HDR) images, which increases computation speed by using adaptive standard deviations for range filter (RF) of FBF in iCAM06. Many images that cover the entire dynamic range of the scene with different exposure times are fused into one High Dynamic Range (HDR) image. The representative algorithm for HDR image rendering is iCAM06, which is based on the iCAM framework, such as the local white point adaptation, chromatic adaptation, and the image processing transform (IPT) uniform color space. FBF in iCAM06 uses constant standard deviation in RF. So, it causes unnecessary FBF computation in high stimulus range with broad and low distribution. To solve this problem, the low stimulus image and high stimulus image of CIE tri-stimulus values (XYZ) divided by the threshold are respectively processed by adaptive standard deviation based on its histogram distribution.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reduces computation time than the previous FBF.

Analysis of Online Game Addciton with fMRI (fMRI를 이용한 온라인게임 중독 특성 분석)

  • Nam, Sang-Chun;Song, Ki-Sa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3 no.6
    • /
    • pp.35-42
    • /
    • 2010
  •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game addiction have been analyzed using fMRI. The fMRI images are taken from six target subjects who are around 20 years old, right-handed, and undergraduate male students with online game stimulations. The images are processed using SPM5, and statistical analysis showed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online game stimuli produces an activation in BA18 of brain,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activation intensity of BA18 area and the addiction index value is very highly as .94. Seco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is .75 between addiction index of subjects and activation index of the mesencephalon. From these observations, we found that the online game stimuli were processed as visual stimuli by subjects' brain, and the subject's brain with bigger addiction index processes more actively from the online game stimuli. Also, the online game stimuli activate the mesolimbic system, and therefore these findings may contribute for comparing the mechanism between general addiction and online game addiction.

  • PDF

Response of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in the Vestibular Loss Using Videooculograph (영상 안진기를 이용한 전정 기능 소실 환자에서의 Galvanic 전정 자극 반응의 관찰)

  • 김수찬;남기창;김덕원;배미란;이원상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c
    • /
    • pp.2741-274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전기 전정 자극(GVS,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이 일측 전정 기능 소실 환자에게서 정상인과 어떠한 특이성을 보이는가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실험대상은 14 명(남:5, 여:9)의 일측 전정 기능 소실 환자(경와우절제술 12 례, 전정신경 절제술 2 례)로 자극 방법은 bipolar 로 하여 전류 세기를 1mA에서 3mA 까지 달리하며 실험하였다. GVS 에 대한 반응은 영상 안진기(VOG, Videooculograrh)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정상 기능이 있는 측면으로의 자극에 대해서는 정상인과 동일한 반응을 보였으나 일측 전정 기능 소실(unilateral loss)을 갖는 환자의 경우 병변이 있는 쪽에 음의 자극, 없는 쪽에 양의 자극을 가하였을 경우에는 대상자 모두에게서 어떠한 안진 반응도 일어나지 않았다. 자극 후 안진의 경우 정상인은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나 피검자들에게서는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Image Recogni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etinal Cells (망막 세포 특성에 의한 영상인식에 관한 연구)

  • Cho, Jae-Hyun;Kim, Do-Hyeo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393-397
    • /
    • 2007
  • 최근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인공망막 모델 구현에 관한 연구 중 시피질 자극기 기술은 시각 자극 전달의 중간 단계를 생략하고 직접 뇌세포를 자극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망막에서 시각 피질로 시각정보를 전달할 때 발생하는 시각 피질의 특성, 즉 방향성에 대한 반응 특성을 특징 데이터로 구성하여 인식함으로써 인간 시각 정보 처리와 유사한 영상 추출 및 인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영상의 특징을 추출 한 후 Delta-bar-delta 기반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영상의 특징들을 인식한다. 제시된 방법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숫자 패턴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망막 세포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방향성에 대한 민감성을 고려하여 영상의 특성을 추출하여 인식하는 모델이 기존의 영상 추출 및 인식 모델보다 인식률에 있어서는 별 차이가 없지만 다양한 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인간 시각과 같이 인식 성능이 민감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Nonlinearity in the Somatosensory Cortex Response to Vibrotactile Stimulator in fMRI (기능성 자기공명영상에서 진동자극에 대한 감각피질의 비선형성)

  • Lee, Hyun-Sook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17 no.3
    • /
    • pp.159-166
    • /
    • 2006
  • The nonlinearity of hemodynamic response in the somatosensory cortex was investigated with vibrotactile stimulation. The stimuli consisted of a train of 25 Hz, each tasting five different duration periods, 2 s, 4 s, 8 s 12 s, or 16 s with 20 sec periods of no vibration in a pseudo-random ord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nearity on the change of stimulus duration for somatosensory cortex, two different tests- checking the linearity of system and finding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from gamma-variate function were applied to analyze the hemodynamic response functions. They have produced nearly same results. The BOLD response in the somatosensory cortex Is nonlinear for stimuli of less than 8 seconds, but nearly linear for stimuli greater than 8 seconds. The amplitude, area, TTP, and FWHM as functions of the stimulus duration were calculated and showed a significant downward trend with Increasing stimulus duration for the amplitude and the area. It supports the ranges of nonlinearity are less than 8 seconds.

  • PDF

Comparisons of functional brain mappings in sensory and affective aspects following taste stimulation (미각자극에 따른 감각 및 감성적 미각정보 처리과정의 기능적 매핑 비교)

  • Lee, Kyung He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5 no.4
    • /
    • pp.585-592
    • /
    • 2012
  • Food is crucial for the nutrition and survival of humans. Taste system is one of the fundamental senses. Taste cells detect and respond to five basic taste modalities (sweet, bitter, salty, sour, and umami). However, the cortical processing of taste sensation is much less understood. Recently, there were many efforts to observe the brain activation in response to taste stimulation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magnetoencephalography (MEG), and optical imaging. These different techniques do not provide directly comparable data each other, but the complementary investigations with those techniques allowed the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sequence of events with the dynamics of the spatiotemporal pattern of activation in the brain in response to taste stim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understanding of the brain activities to taste stimuli in sensory and affective aspects and the reviewing of the recent research of the gustotopic map by functional brain mapping.

  • PDF

Development of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Navigation System (경두개 자기 자극의 응용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 개발)

  • An, Hyo-Jin;Ahn, Se-Jong;Shin, Sung-Wook;Seo, Young-Heon;Yoon, Se-Jin;Chung, Sung-Tae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244-247
    • /
    • 2011
  •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TMS) Navigation System은 자기 자극을 이용한 비 침습적 방법으로 통증 없이 뇌 기능의 활성화 및 재활에 필요한 자극, 자극의 위치, 환자의 모션 등을 3차원 뇌영상에 제공한다. 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Talairach 좌표를 적용하여 재구성된 MR 영상을 3차원으로 제공하며, 이를 이용하여 자극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한다. 또한 환자의 모션이나 자극 트랜스듀서의 위치를 Talairach 좌표 매핑 소프트웨어 제공하기위해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확한 좌표를 획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시스템 개발을 통해 뇌질환 연구와 치료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및 확산텐서영상을 이용한 전음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군의 비교 연구: 예비 결과

  • 이재준;황문정;이영주;김인성;배성진;장용민;이상흔;우성구;강덕식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3.10a
    • /
    • pp.94-94
    • /
    • 2003
  • 목적: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확산텐서영상기법을 이용하여 전음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에서의 뇌활성화 양상 그리고 청신경경로상의 차이점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음성 난청군 (n=4)과 감각신경성 난청군(n=5) 그리고 정상군(n=5)에서의 기능적 자기 공명영상과 확산텐서영상을 획득하였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경우 1.5T Siemens MR scanner에서 BOLD 기법을 이용하여 500 Hz 순음 청각자극에 대한 뇌활성화 영역을 검출하였고 영상촬영시 발생하는 기계적 소음을 차폐하기 위한 청각자극기를 특별히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뇌백질신경로를 영상화하는 확산텐서영상은 3.0T GE whole body MR scanner를 사용하였으며 미세한 확산운동을 검출하기 위해 초고속 영상기법인 EPI 기법을 사용하였다. 영상의 화질을 높이기 위해 공간적으로 25개의 다른 방향으로 확산경사자장을 가하였다. 청신경로의 비등방성 영상, 신경로 방향 영상등을 구현하기 위해 획득한 확산영상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과정을 시행하였다.

  • PDF

ANS responses in Negative Emotions Induced by Audio-visual Film Clips (시청각 동영상에 의해 유발된 부정적 감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 Lee, Young-Chang;Jang, Eun-Hye;Chung, Soon-Cheol;Sohn, Jin-Hu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3
    • /
    • pp.471-480
    • /
    • 2007
  • Negative emotions play an important function as to human's existence. In this research, we employed the audio-visual film clips to induce negative emotions and examined the classified responses i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ANS) due to each negative emotion.30 adults(22.6 years $old{\pm}1.24$, 15 males and 15 females) took part in this experiment. Through the preliminary experiment, 2 minutes film's stimuli were selected as the emotion-induced stimuli. During the period when participants were viewing and listening to the selected movie, EDA and ECG were examined as soon as one stimulus was displayed, participants were tested by completing the psychological appraisals of their experienced emotion due to each emotional stimulus.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sychological responses, each negative emotion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induced its target emotion. While concerning the result of analyzing ANS responses, each negative emotion induced its respective activation in ANS. What is more, compared with other types of negative emotional stimuli, the scaring stimulus induced higher activation of the sympathetic nervour system(SNS) as to the indexes in EDh and ECG. This research made segmentation of ANS responses to each negative emotion, which has its signific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