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상처리 기술

Search Result 2,789,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Noise Removal using Fuzzy Mask Filter (퍼지 마스크 필터를 이용한 잡음 제거)

  • Lee, Sang-Jun;Yoon, Seok-Hyun;Kim, Kwang-Bae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11
    • /
    • pp.41-45
    • /
    • 2010
  • Image processing techniques are fundamental in human vision-based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There have been widely studied areas such as image transformation, image enhancement, image restoration, and image compression. One of research subgoals in those areas is enhancing image information for the correct information retrieval. As a fundamental task for the image recognition and interpretation, image enhancement includes noise filtering techniques. Conventional filtering algorithms may have high noise removal rate but usually have difficulty in conserving boundary information. As a result, they often use additional image processing algorithms in compensation for the tradeoff of more CPU time and higher possibility of information lo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Fuzzy Mask Filtering algorithm that has high noise removal rate but lesser problems in above-mentioned side-effects. Our algorithm firstly decides a threshold based on fuzzy logic with information from masks. Then it decides the output pixel value by that threshold. In a designed experiment that has random impulse noise and salt pepper noise, the proposed algorithm was more effective in noise removal without information loss.

프랙탈 기법의 영상처리에의 응용

  • 최윤식
    • 전기의세계
    • /
    • v.43 no.3
    • /
    • pp.3-9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여러가지 다른 경우에 혼돈되어 사용되어지는 프랙탈의 정의를 정리해 보고, 이들 개념을 이용한 연ㄱ 중, 특히 영상처리 및 이해 부분에 적용되어진 사례를 고찰해 봄으로써, 관련 기술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 PDF

Vision-Based Driver Monitoring Technology Trend for Takeover in Autonomous Vehicles (자율주행자동차에서의 제어권전환을 위한 영상 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기술 동향)

  • Lee, Dong-Hwan;Kim, Kyong-Ho;Kim, Do-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1090-1093
    • /
    • 2020
  • 운전자가 아닌 자율주행 시스템이 운전을 주도하기 위한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많은 기업이 노력 중이다. 특히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운전자와 자율주행 시스템 간의 제어권전환이 중요하다. 운전자의 주행과 관련 없는 행동은 제어권전환 상황에서 운전자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으므로 제어권전환을 돕기 위한 운전자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운전자 모니터링 기술은 주로 생체 정보, 차량 정보, 영상을 사용하여 운전자의 상태와 부주의 행동 등을 감지하는 기술이다. 최근 머신 러닝, 딥 러닝을 사용한 영상처리 및 인식 기술 등의 발전으로 영상을 사용한 운전자 모니터링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기술 동향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다. 특히 운전자의 부주의 행동 중 졸음은 운전자가 주행 상황을 전혀 인지하지 못하게 할 수 있어 더욱 위험한 행동이다. 따라서 영상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기술을 졸음 인식과 그 외의 행동 인식으로 분류하여 동향을 정리하였다.

비주얼 서보잉 기술의 동향

  • Lee, Sang-Hyeop;Jeong, Seong-Chan;Jwa, Dong-Gyeong
    • ICROS
    • /
    • v.22 no.2
    • /
    • pp.22-28
    • /
    • 2016
  • 최근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데이터 처리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짐에 따라 영상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카메라 영상을 활용한 로봇과 무인 시스템의 연구 개발 또한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적 한계에 부딪혀 검증되지 못했던 기존의 많은 이론들이 검증되어가고 있다. 본 기술논문에서는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로봇 제어 기술, 즉 비주얼 서보잉(visual servoing) 기술에 대하여 소개하고 앞으로의 기술 발전 방향에 대하며 고찰한다.

An Object Tracking Technique on OpenCV-based CMT Algorithm Using Raspberry Pi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한 OpenCV 기반 CMT 알고리즘의 객체 추적 기법)

  • Song, Gi-Beom;Yang, Yong-Jun;Lee, Sa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895-898
    • /
    • 2017
  • 동영상 플랫폼 확산에 따라 영상 콘텐츠 수요와 공급이 폭발적으로 성장하여 영상 콘텐츠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콘텐츠 확산으로 인해 전문가의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 제작 기술이 일반적인 기술의 범주로 인식될 만큼 영상 처리 및 제작에 대한 기술의 발전이 나날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람의 수작업을 통해서만 영상을 조절하던 과정 또한 객체 추적 기술을 활용함에 따라 자동화 과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객체 추적 알고리즘 중 특징 점을 키포인트로 나눠 객체를 추적하는 OpenCV 기반 CMT 알고리즘으로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하여 객체를 추적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본 시스템은 방송용 카메라의 객체 추적에 잘 활용될 수 있다.

A Study of Fast 4K/8K JPEG 2000 Compression for Ultra High Definition Resolution (초고화질 해상도용 4K/8K JPEG 2000 고속 압축 처리를 위한 연구)

  • Baek, Bongjin;Ryu, Joonho;Kim, Cheong Ghil;Lee, Sang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77-80
    • /
    • 2014
  • 멀티미디어 기술의 보급 확산 및 급속한 발전으로 새로운 영상 압축 기술인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고화질 영상 압축 표준을 탄생시켰으며, 사용자 또한 대형 화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 결과 기존의 HD급 영상보다 4배 이상, 16배까지 선명한 초고화질 UHD(Ultra High Definition) 영상 서비스가 차세대 방송기술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또한 JPEG 2000 압축도 기존 처리된 $4096{\times}4096$ 픽셀 이미지를 넘어 초고화질 해상도 이미지(8K : $7680{\times}4320$ 혹은 $8192{\times}4320$ 픽셀)를 처리 지원을 하고 있다. 따라서 초고화질 이미지의 획득 및 저장을 위해서는 고속의 처리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초고화질 해상도 이미지의 고속 처리를 위한 병렬처리 기술에 대해 단계적 연구를 실행하며, 이를 위하여 1차적으로. JPEG 2000의 처리 과정을 살펴보고 전처리 단계인 색공간 변환 알고리즘 적용을 위하여 사용자 정의의 쓰레드 기반 고속처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의 처리보다 사용자 정의 기반 쓰레드 고속처리가 초고화질 해상도 이미지(UHD 8K : $7680{\times}4320$)를 기준으로 최대 15배의 성능 향상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CCITT의 영상정보 통신기술 표준화 활동

  • 이종수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15 no.2
    • /
    • pp.1-5
    • /
    • 1988
  • 광대역 전송선로가 요구되는 영상정보 통신 서어비스가 최근의 영상정보 압축 부호화기술 및 영상정보 처리 H/W 기술 등의 발전으로 협대역 디지털 공중망에서 실시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영상정보 통신 서어비스를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들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국제전신전화 자문기구인 CCITT에서의 영상정보 통신기술 표준화 활동에 관하여 알아본다.

  • PDF

고화질 PDP 구현을 위한 신호 및 영상 처리 기술 동향

  • Park, Seung-Ho;Kim, Chun-U
    • Information Display
    • /
    • v.3 no.6
    • /
    • pp.24-29
    • /
    • 2002
  • PDP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은 PDP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들 중의 하나이다. PDP에서의 화질은 주로 PDP 구동방식, 셀의 구조, 사용되는 방전가스 및 형광체의 특성, 표시 가능 화소수 등과 같은 PDP 구성 요소들에 의해 좌우된다. 이와 같은 PDP의 구성 요소들을 개선함으로서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미 구성 요소들이 결정되어져 있는 경우 신호 및 영상 처리 방법들을 적용함으로서 PDP에서의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소고에서는 PDP에서의 고화질 구현을 위한 신호 및 영상처리 기술들을 소개하기로 한다.

Vector Quantization for MC-SVD Image Coding (MC-SVD영상 부호화에서의 벡터양자화의 검토)

  • Doh, Jae-Soo;Jang, Ik-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757-760
    • /
    • 2004
  • 동영상은 포함하고 있는 정보량이 아주 많기 때문에, 영상처리기술 중에서도 데이터 압축기술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DCT 이 외의 수법을 이용할 때의 동영상의 부호화에 대하여 검토하고, 특이값 전개에 주목한다. 이 방식이 DCT가 갖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방식에서의 영상부호화의 가능성을 보이고자 한다.

  • PDF

Plenoptic Image Processing Technology Trends (플렌옵틱 영상처리 기술동향)

  • Son, W.H.;Jang, H.W.;Bae, S.J.;Park, S.J.;Kim, J.W.;Kim, D.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4
    • /
    • pp.1-12
    • /
    • 2016
  • 깊이감, 시점 등의 3차원 영상정보 제공 방법에는 양안 시차에 의한 스테레오 방식, 다시점 기반의 스테레오 방식, 라이트필드 기반의 스테레오 방식, 체적 내에 실제 발광점들을 물리적으로 형성하는 체적형 방식, 빛의 간섭과 회절현상을 이용하여 실제 물체의 파면을 재현하는 홀로그래피 방식 등이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3차원 영상기술로써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플렌옵틱 영상기술의 개념을 다시점 영상생성 및 재초점 기능의 관점에서 소개하고, 동시에 관련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플렌옵틱 영상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최신 연구개발 이슈 및 응용 가능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해 탐구해 봄으로써, 향후 플렌옵틱 영상처리 기술의 발전 및 활용도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