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문표기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3초

영문판 전자지도서비스를 위한 지명 영문표기의 세부기준과 원칙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Principles to Transcribe Geographical Names in English for English Version Electronic Map Service)

  • 이미숙;안종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5호
    • /
    • pp.53-61
    • /
    • 2013
  • 본 연구는 영문판 전자지도 서비스를 위한 지명 영문표기의 세부기준과 원칙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지명의 영문표기를 위해 활용하고 있는 지침과 국외 전자지도서비스에서의 한국지명의 영문표기 현황을 살펴보았다. 현황조사 결과 국내 외에서 지명의 영문표기방식이 통일되어 있지 않아 혼란을 야기함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혼용되고 있는 지명의 영문표기 방식 중에서 외국인이 이해하기 쉽고 선호하는 표기방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외국인을 대상으로 지명의 영문표기방식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외국인은 로마자만 표기하는 것보다는 로마자와 의미역을 병기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호도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명을 자연지명, 인공지명, 행정지명으로 구분하여 각 지명별로 영문표기의 기준과 원칙을 제시하였다.

구글사의 위성영상과 미국의 지명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나는 지명 비교연구-한국과 대만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Gazette Comparison of Google Earth and US Data base -in case of Korea and Taiwan-)

  • 박경;장은미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3-211
    • /
    • 2007
  • 세계화의 빠른 진행과 더불어 외국에 대한 정확한 인식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아직도 사실적 오류와 더불어 국제관계에서의 위치 때문에 많은 오류가 남아 있는 점도 사실이다. 그 가운데 미국의 위성영상서비스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구글사의 검색서비스와 미국지리정보국의 지명데이터베이스에 관한 내용을 분석함으로서 문제의 뿌리가 어디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미 구글에 관련된 논문은 Science Direct 검색결과 69개가 검색되고 있을 만큼 전세계적 문화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전 세계의 지명을 영어로 서비스하고 있는 구글사와 미국의 지명 DB내에 있는 오류사례를 찾아내고, 그 유형을 분석하고, 특히 일제의 강점을 당했던 한국과 대만사례를 비교하는 데 있다. 대만 역시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으로 인해 일본의 영향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지명에도 일본의 영향이 크게 남아 있을 것으로 보고 앞서 나온 유형대로 몇 개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을 들면, 경상남도 남해군 일원의 위성영상을 보면 최소한 3개의 일본식 지명이 나타난다. 우선 해양지명으로 미조만은 Mijo-wan으로 앵강만은 Oko-wan으로 표시되어 있고, 천황산은 Tenno San이라는 지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제주도의 한라산을 지칭하는 표준어는 Halla-san으로 등재되어 있으나 이명으로 소개되어 있는 것이 무려 11개나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Halla-san에 대한 미국의 NGA(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의 지명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앞의 간라산 또는 간다산 등은 일본식 표기임이 확실하며 여기에 오크랜드산(Auckland, Mount)이라고 또한 표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대만의 경우 총 1,280개의 산악명과 산맥명이 등재되어 있으니 일본어 표기는 하나도 없으며, 영어로 Central Mountains와 Seaboard Mountains두개만 영문표기 지명이 등재되어 있을 뿐이며, 그 가운데 12개는 한자로 표기되어 있다. 국내의 지명이 모두 영문 알파벳으로 표기된 것과는 달리 대만의 경우 한자지명이 그대로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되어 있다. 하천의 경우를 분석해보면 1485개의 지명이 등록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24개는 한자지명으로 표기되어 있다. 유형별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가 올바른 지명 찾기에 기여하고, 독도와 백두산에 국한된 지명논쟁의 근간을 공고히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인명의 로마자표기 형식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Format for Romanization of Korean Personal Name)

  • 김성원;김정우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2호
    • /
    • pp.199-222
    • /
    • 2012
  • 한국인들의 국제활동 증대에 따라 외국인들과의 접촉이 증가하였으며 활동의 주체인 한국인 개인을 외국인이 식별해야 하는 필요가 증대되고 있다. 개인을 식별해주는 것은 개인의 이름(personal name)이며, 한글(Hangeul, Korean alphabet)을 모르는 외국인이 한국인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려면 한국인명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음성번역(phonetic translation)이 필요하다. 한국인명의 로마자표기 실태를 보면 다양한 형식이 혼용되고 있어 혼돈이 벌어지고 있다. 한국인명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혼돈은 크게 한국인명을 표기하기 위한 로마자 자모의 선택과 표기형식의 상이함에서 비롯된다. 본 연구는 한국인명의 로마자표기를 위한 형식을 검토하여 최적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서구간의 인명 구조와 사용관행의 차이를 살펴보고, 한국인명의 로마자표기의 의미와 관련쟁점을 정리하였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표기형식을 유형화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인명의 로마자표기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식을 검토하고 최적안이라 판단되는 표기형식을 제안하였다.

한글 문자의 로마문자 표기에 대한 제안 (A Proposal for Roman Representation of Hangul Characters)

  • 강주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89년도 한글날기념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0-14
    • /
    • 1989
  • 한글문자를 기계화하기 위하여 로마문자로 표기하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한다. 현재 남한안이나 북한안은 서로 이견을 보이고 있어서 국제적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제안에서는 남, 북한 안과는 달리 영문자의 대문자와 소문자를 모두 활용하며 다양한 모음의 구성에서 음성학적으로 표기한다. 이 표기법은 자체의 합리성, 국제표준과의 호환성 판독의 편리성, 음성인식에의 이용성등에서 기존 표기체계보다 유리하다.

  • PDF

통일 국호 'COREA'를 가정한 국가도메인(ccTLD) 제안 (A Proposal of ccTLD Based on 'Corea', the Name of Our Country United)

  • 홍성환;심재환;최진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D)
    • /
    • pp.571-575
    • /
    • 2006
  • 통일에 대비한 남북한 인터넷 통합을 위한 준비작업으로서 통일 국가도메인 제정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어 왔다. 분단상태의 남북한이 국가 도메인을 하나로 통합하여 공동으로 사용한다는 상징성이 크다는 점에서 남북한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도메인을 제정하는 일은 중요하다. 통일 국가도메인에 대한 기존 제안들은 우리나라의 현 영문 국호인 'Korea'를 전제로 한 것들이었다. 논자는 일제 강점기 이전까지 우리 나라 영문 국호로 'Corea'가 사용되었다는 주장에 근거한 국호 영문표기 변경 논의가 남북 학술대회와 국회 결의안 등을 통해 공론화되어 많은 호응을 얻고 있음에 주목하였고, 남북한 국호의 영문표기 변경 논의와 연계하여 통일 국가도메인 제정을 추진하는 것이 시의적절하고 효율성도 높다고 판단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통일국가 도메인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검토하고 유사국가들의 국가도메인(ccTLD) 등록 사례를 통해 통일 국가도메인의 등록 가능성을 탐색한 후 통일 국가도메인명으로서 '.uc'(United Corea)를 최종 제안하였다.

  • PDF

<2>인쇄매체에 잘못 표기되는 외래어 언제까지 이대로 둘것인가

  • 박도영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24호
    • /
    • pp.106-109
    • /
    • 2004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꼬미, 베다,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필자는 자신들의 영역에서 외래어를 순화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을 보면서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는 것은 가슴아픈 일이다. 뿐만 아니라 영문 발음과 한글 표기가 정확하지 않은 것도 많다. 이에 시급히 바꾸어야 할 용어를 정리해 본다. 용어의 나열은 가 나 다 순으로 하되 먼저 잘못 표기된 용어를 적고 이어서 시정 또는 권장 용어를 나타내었다.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내용 설명을 덧붙였다.

  • PDF

해외에서의 한국지명 표기 실태 분석 (Analysis on Romanization of Korean Geographical Names in Foreign Countries)

  • 김선희;박경;이해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06-722
    • /
    • 2009
  • 본 연구는 해외에서의 한국지명 표기실태를 분석하여 오류시정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해외지명사전, 지명데이터베이스, 온라인 지도서비스 사이트 등에 수록된 한국지명을 분석한 결과 상당수 표기상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주요 표기상의 문제점으로는 이명표기, 종속병기, 중복표기, 철자문제, 행정단위오류, 위치오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오류형태와 방식은 보다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오류시정을 위한 대응방안으로 오류지명에 대한 적극적인 시정노력과 지속적인 모니터링, 민 관의 합의에 의한 한국지명의 영문표기 표준화 구축, 지명정보의 신속한 업데이트와 홍보, 미등재 또는 미표기 지명목록 작성 및 우선적 등재노력, 지명관리 주체의 단일화와 독립성 등이 요구된다.

한글문자의 로마문자 표기코드 (A Roman Representation Code System of Hangul Characters)

  • 강주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5년도 제7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91-101
    • /
    • 1995
  • 한글문자를 기계화하기 위하여 로마문자로 표기하는 코드체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 표기코드는 로마문자의 대문자와 소문자를 이용하며 영문 OS 상에서의 한글사용, 음성학적 연구, 합리한 한글자판, 한글고어 연구 등에서 다른 코드보다 합리적이다. 또한 이 코드체계는 새로운 표준코드로서도 우수한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 PDF

<3>인쇄매체에 잘못 표기되는 외래어 언제까지 이대로 둘것인가

  • 박도영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25호
    • /
    • pp.126-130
    • /
    • 2004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꼬미, 베다,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필자는 자신들의 영역에서 외래어를 순화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을 보면서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는 것은 가슴아픈 일이다. 뿐만 아니라 영문 발음과 한글 표기가 정확하지 않은 것도 많다. 이에 시급히 바꾸어야 할 용어를 정리해 본다.

  • PDF

패턴생성을 통한 인터넷 문서의 한글-영문용어 추출 (Mining Korean-English Terminologies by Pattern Generation in Internet)

  • 강재호;김종성;류광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1)
    • /
    • pp.148-150
    • /
    • 2003
  • 전문용어의 가짓수가 많고 생성빈도 또한 높은 분야에서 고품질의 정보검색과 기계번역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당 분량의 번역용어사전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분야에서 번역용어사전을 수작업으로 구축하는 것은 큰 부담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 알고 있는 용어(원어)와 번역용어를 말뭉치에서 함께 표기한 부분을 찾아 패턴화하는 작업과, 생성된 패턴으로 추가의 용어-번역용어를 추출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번역용어사전을 자동으로 구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인터넷 문서를 대상으로 본 제안방법을 적용해 본 결과 상당분량의 유효한 한글-영문용어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