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엽폭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28초

매실나무 201점의 엽형 특성 (Leaf Type Characteristics of Prunus mume (201 Trees) in Korea)

  • 강희경;김진혁;이자연;주은수;최민경;백인철;하태현;송홍선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29
    • /
    • 2020
  • 본 연구는 현재 공주대학교 포장에 보존되어 있는 식용, 약용, 관상용 등의 매실나무 유전자원에 대한 외부 형태적 특성평가를 통하여 향후 우수한 종자원 확보와 양묘생산의 토대 및 육종을 위한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매실나무의 엽형은 난형에 가까웠는데, 엽장은 평균 76.9±9.7mm (최소 52.0mm, 최대 102.0mm)이었으며, 엽폭은 평균 41.9±6.4mm (최소 27.0mm, 최대 60.0mm)이었고, 엽병장은 평균 9.5±2.6mm (최소 4.0mm, 최대 24.0mm)이었다. 이들 형질의 변이계수는 엽병장이 27.7%로서 가장 높아 엽장과 엽폭에 비해 진폭이 컸으며, 다음으로 엽폭 (15.3%), 엽장 (12.6%) 순이었다. 매실나무 엽장은 71~80mm에서 가장 높은 비율 (50.3%)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81~90mm (21.9%), 61~70mm (12.4%), 91mm 이상 (8.0%), 60mm 이하 (7.4%) 순이었다. 엽폭은 41~50mm에서 가장 높은 비율 (45.8%)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31~40mm (41.8%), 51mm 이상 (7.4%), 30mm 이하 (5.0%) 순이었다. 엽병장은 6~10mm에서 가장 높은 비율 (72.6%)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11~15mm (22.4%), 16mm 이상 (3.0%), 5mm 이하 (2.0%) 순이었다. 엽형 형질 간의 상관계수는 모두가 0.2 이하로 상관관계가 약하였으나 표본수가 많아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엽장과 엽폭이 0.24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엽장과 엽병장 (0.173), 엽폭과 엽병장 (0.001) 순이었다.

  • PDF

상수 엽면적의 간이측정법 (Measurement of Leaf Area of Mulberry Trees)

  • Chang, Kwon-Yawl;Han, Kyung-Soo;Ahn, Jung-Jun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8권
    • /
    • pp.27-34
    • /
    • 1968
  • 상수의 엽면적은 상엽의 수획량 즉 수량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그의 간이측정법은 매우 의의 깊은 일이므로 상전에서 생체대로 엽면적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간이측정법을 고안하였다. 우리나리 상수의 주요품종인 개량서반, 일지뢰, 노상 그리고 수원 제4호의 4개품종을 재료로 절위별로, 지조별로 엽면적과 엽장, 최대엽폭과의 관계를 조사 실험하였으며 공시 엽수는 개량서반 741문, 일지뢰 853문, 노상 507문, 수원제4호 441문, 도합 2,542문이었다. 5개열엽으로 엽형이 비슷한 개량서반과 일지뢰의 2개품종의 엽면적은 (엽장$\times$최대엽폭)$\times$0,643, 단엽인 노상과 수원제4호의 2개품종의 엽면적은 (엽장$\times$최대엽폭)$\times$0,735에 의해서 구할 수 있음을 알았다. 즉 개량서반과 일지뢰는 엽장에 최대엽폭을 곱한 적에 계수 0.634를 곱함으로써 전처리엽에서 planimeter에 의한 엽면적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때의 상관계수의 평균을 개량서반에 있어서는 r=0.931, 일지뢰에 있어서는 r=0.960이었다. 노상과 수원상4호는 엽장에 최대엽폭을 곱한 적에 계수 0.735를 곱함으로써 전처리엽에서 planimeter에 의한 엽면적과 또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때의 상관계수의 평균을 개량서반에 있어서는 r=0.931, 일지뢰에 있어서는 r=0.960이었다. 노상과 수원상 4호는 엽장에 최대엽폭을 곱한 적에 계수 0.735를 곱함으로써 전처리엽에서 planimeter에 의한 엽면적과 또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 때의 상관계수 r의 평균을 노상에 있어서는 r=0.999, 수원상 4호에 있어서는 r=0.996이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체대로 쉽게 엽면적을 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PDF

콩 유전자원의 소엽형질 변이와 농업형질과의 관계 (Variation of Leaflet Traits and Their Association with Agronomic Traits of Soybean Germplasm)

  • 이영호;황영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40-646
    • /
    • 1997
  • 엽장, 엽폭, 엽의 크기와 엽형지수 등 소엽(leaflet) 형질의 변이와 8개 농업형질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도 대만에서 가을에 재배된 콩 유전자원 884 품종의 특성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던 바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 유전자원들의 소엽 형질들의 변이를 보면 엽장은 4.3~14.7cm, 엽폭은 2.8~9.7cm에 분포하였으며, 엽의 크기(엽장$\times$엽폭)는 12.1~124.6$\textrm{cm}^2$ 였다. 2. 엽장, 엽폭과 엽의 크기의 절대적 변이는 단일에 따른 영양생장량의 제한 때문에 크지 않았다. 또한 국제식물유전자원위원회(IBPGR)의 기준에 따른 분류시 엽의 크기가 대에 속하는 것은 없었다. 3. 엽형지수는 1.21~3.06의 변이를 보였으며 3품종은 피침형에 속하였고 나머지는 모두 난형 또는 중간형에 속하였다. 4. 엽장, 엽폭, 엽의 크기, 엽형지수의 범위와 평균은 온대품종군과 열대품종군간과 품종군내에서 차이가 있었다. 5. 엽장, 엽폭, 엽의 크기와 엽형지수는 100립중을 제외한 7개 형질과 고도로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고 100립중과는 엽장, 엽의 크기 및 엽형지수와 고도로 유의한 부상관을 보였다. 6. 소엽 형질들의 농업형질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소엽 형질간에 변이가 컸으며 엽장, 엽폭과 엽의 크기는 개화일수, $R_1$기 와 $R_8$기의 경장, 개체당협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고 엽형지수는 다른 형질보다 100립중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 PDF

잎담배 수량에 관여하는 가지를 중요형질간의 상관관계 (Studies of correlations among various characters which affect to yield of leaf tobacco)

  • 허일;이은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5-68
    • /
    • 1969
  • 잎담배의 다수성품종 육성의 선택에 앞서 각형질상호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 이들 형질이 수량에 어떻게 관여하는가를 분석함으로써 다수성 계통을 용이하게 선택할수 있겠으므로 이들 주요형질을 고찰한바 잎담배 수량에 직접상으로 관여하는 것은 황색종에서는 엽폭, 엽면적이었고 양건종에서는 간주, 엽수, 엽장, 엽면적이며 음건종에서는 간주, 엽수, 엽장, 엽폭, 엽면적이었다. 종류를 막론하고 엽폭과 엽면적이 수량에 크게 작용하며 이중 가장 측정이 용이하고 실제 다수성개체선택에 효과적인 형질은 엽폭이라 할 수 있다.

  • PDF

재래종 수집대두계통의 엽면적 (Leaf Area of Korean Local Soybean Collection)

  • 권신한;임건혁;김재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9권
    • /
    • pp.47-51
    • /
    • 1975
  • 중부이남 각지역에서 수집한 727계통의 재래종에 대한 1엽당 엽면적을 측정하고, 이 형질과 이이외의 몇가지 형질들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1. 엽면적, 엽장, 엽폭 그리고 엽형지수이전계통에 대한 평균치는 각각 111.4$\textrm{cm}^2$, 12.2cm, 9.1cm, 그리고 1.35이였으며, 이들의 분포는 정규분포에 극히 유사하였다. 2. 엽면적과 엽장, 엽폭, 초장 그리고 종실의 크기와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에 있고, 분지수와는 부의 상관이였고, 절수와 수량과의 상관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엽형지수와 엽면적, 엽장, 그리고 수량간에는 상관이 없었으나, 엽폭과는 고도의 상관관계에 있으므로 엽형은 엽장보다 엽폭변이에 의존하는 것 같다.3. 공시집단을 대엽군과 소엽군으로 분류하고 양군간에 종실수량, 초장 및 절수를 비교한즉 차이가 없었으나, 종실종, 분지수 그리고 엽형지수는 양군간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

  • PDF

대두 엽형에 관한 유전연구 제4보 엽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포상태 (Genetic Studies on Leaf Shapes in Soybeans IV. Diallel Cross Analysis on Gene Distributions Concerned with Some Characters of Soybean Leaf Parts)

  • 장권열;신두철;김석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2-336
    • /
    • 1981
  • 대두의 엽형에 관한 유전연구의 일환으로 엽장이 친 품종, 엽폭이 긴 품종, 엽장과 엽폭이 짧은 7품종들을 문배친으로 하여 이들 품종간의 이면문잡에 의한 21개잡종 F$_2$세대와 교배친을 재료로 엽병장, 주소엽병장, 주소엽장, 주소업폭, 측소엽장, 측소엽폭 등의 엽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포상태를 본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병장은 주소엽병장보다 길고 전체적으로 평균 5배정도였고, 주소엽장은 측소엽장보다 길며, 엽장은 엽폭보다 길었으나, 주소엽폭보다 측소엽폭이 도리어 긴 경향이었다. 2. 조사 측정된 6개형질 모두 부분우성으로 유전되고 회귀계수가 낮은 것으로 보아 비대립 유전자의 관여가 큰 것을 알 수 있였다. 3. 엽병장에는 A품종(선비잡이콩)과 B품종(동산6002)에, 엽장에는 A품종과 C품종(경남002), 엽폭에도 A품종과 B정종에 우성유전자가 많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고, G품종(D69-7816)과 F품종(D62-7816)에는 각 형질에 열성유전자가 많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대두엽형에 관한 유전연구 제 1보 엽부위별 각형질의 평균치, 분산, 유전력 그리고 상관 (Genetic Studies on Leaf Shapes in Soybeans I. Means, Variances, Heritabilities and Correlations between Characters of Leaf Parts)

  • 장권열;김석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8-83
    • /
    • 1979
  • 대두의 엽부위별 각 형질의 평균치, 분산, 유전력을 추정하고 각 형질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본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병장, 주소엽엽병장, 주소엽장, 주소엽폭, 주소엽면적, 측소엽장, 측소엽폭, 측소엽면적 등 제형질은 품종에 따라 평균치가 다르며 이들 형질도 품종의 한 특성이 될 수 있었다. 2. 엽형을 구성하는 제형질 중에서 엽병장의 유전력은 낮고. 엽장보다 엽폭의 유전력이 높았으며, 엽면적에 있어서는 주소엽과 측소엽의 엽면적의 유전력은 모두 높았다. 3. 각형질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본바 엽병장과 타형질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보이지 않고, 주소엽이나 측소엽에 있어서 엽장과 엽폭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엽장과 엽면적간, 엽폭과 엽면적간에는 주소엽, 측소엽을 불문하고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보아 대두의 복엽중 1수의 주소엽의 면적과 2수의 측소엽의 면적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엽면적은 엽장과 엽폭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엽면적의 광협, 엽장과 엽폭의 장단은 품종의 특성으로서도 중요하므로, 이들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수, 유전자의 지배가에 대한 유전연구는 남은 중요과제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

  • PDF

참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엽형변이(葉型變異) (Variation of Leaf Form of Leaf Variabilities of Natural Population of Quercus spp.)

  • 김지문;권기원;문흥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82-89
    • /
    • 1985
  • 수종간(樹種間), 집단간(集團間), 집단내개체간(集團內個體間)의 변이(變異)를 밝히기 위(爲)해 신갈나무 10개(個) 천연집단(天然集團)과 졸참나무 9개(個) 천연집단(天然集團)의 엽형질변이(葉形質變異)를 조사(調査)하였다. 엽신장(葉身長)/최대엽폭(最大葉幅),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 엽신장(葉身長)/엽맥수(葉脈數), 상(上)1/3엽폭(葉幅)/최대엽폭(最大葉幅), 상(上)1/3엽폭(葉幅)/하(下)1/3엽폭(葉幅)의 5개(個) 엽형지수(葉型指數)와 엽병장(葉柄長), 엽맥수(葉脈數)가 본(本) 연구(硏究)에 포함(包含)되었다. 졸참나무의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을 제외(除外)한 조사(調査)된 모든 엽형질변이(葉形質變異)는 집단간(集團間), 집단내개체간(集團內個體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를 보였다.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다같이 엽신장(葉身長)/최대엽폭(最大葉幅),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 엽신장(葉身長)/엽맥수(葉脈數)의 지수(指數)에서 남부집단(南部集團)과 북부집단간(北部集團間)에 다른 엽형(葉型)을 나타냈다. 그리고 북부집단(北部集團)의 엽형(葉型)은 신갈나무의 독특(獨特)한 특성(特性)들과 더 유사(類似)하고 남부집단(南部集團)은 졸참나무의 독특(獨特)한 특성(特性)을 더 많이 지니고 있었다. 집단내개체목간(集團內個體木間)에 변이(變異)는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 엽병장(葉柄長)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우리나라 중부(中部)에 하는 속(屬)하는 계룡산집단내(鷄龍山集團內)에서 더욱 현저(顯著)했다.

  • PDF

한국재래생강(韓國在來生薑)에 있어서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의 유전변이(遺傳變異), 상관(相關) 및 경로분석(經路分析) (Genetic Variability,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for Yield Components in Korea Domestic Ginger)

  • 장원석;김정선;최재을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6-10
    • /
    • 1997
  • 초장, 엽수, 경수, 경직경, 엽장, 엽폭, 근경생산량을 평가하기위하여 수집 한 94 clone은 경수와 근경생산량에서 유용한 변이를 보여주었다. 초장, 엽수, 엽장, 엽폭, 경직경은 약간의 변이가 관찰되었다. 작물학적 특성간의 단순상관은 근경생산량과 정의 상관을 보여주었고 엽수, 초장, 경직경은 근경생산량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경로계수분석을 통하여 경수, 엽수, 경직경순으로 근경생산에 직접효과를 준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엽수를 통한 초장의 간접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엽수를 통한 엽장, 엽폭과 경직경을 통한 초장, 엽장, 엽폭에서도 간접효과가 관찰되었다. 선발의 관점에서 볼 때, 초장, 엽수, 경수와 같은 특성들은 좋은 유전형을 선발하기에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 PDF

수집 쑥속 자원의 생육특성 모형 (Growth Characteristic Models of Collected Artemisia Resources)

  • 유주한;조흥원;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67-373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쑥속 자원에 대한 생육인자간 상관성 구명과 생육인자 모형 개발을 위해 수행하였다. 생육인자의 특성에서 초장 초폭, 엽병장, 엽록소량은 더위지기, 엽장은 넓은잎외잎쑥, 엽폭은 쑥, 줄기직경은 뺑쑥, 엾두께는 더위지기, 쑥, 산쑥, 넓은 잎외잎쑥, 그늘쑥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생육인자 간 상관분석 결과 사철쑥은 엽폭과 줄기직경, 산쑥은 초장과 초폭, 넓은잎외잎쑥은 초장과 엽폭, 나머지 종들은 엽장과 엽폭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생육인자 모형 분석 결과 사철쑥은 약 $79.4\%$, 쑥은 약 $91.7\%$, 산쑥은 약 $70.3\%$, 더위지기는 약 $49.0\%$, 넓은잎외잎쑥은 약 $72.5\%$, 그늘쑥은 약 $75.0\%$, 뺑쑥은 약 $60.4\%$, 덤불쑥은 약 $54.4\%$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