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염증지표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7초

양파 추출물의 in vivo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Allium cepa Extract in Vivo)

  • 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7-277
    • /
    • 2020
  • 이 연구는 설치류에서 양파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대조군(control)과 양파추출물 투여군(ACE)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ACE그룹은 대조군에 비해 적혈구(RBC), 헤모글로빈(HGB), 헤마토크릿(Hct) 수준이 약간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p<0.05). 반면, 헤모글로빈, 단핵구, 림프구 및 호중구는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경우 유의미한 변화(p<0.05)가 없었다. GO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및 GP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수준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ACE그룹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당, 총단백질, HDL-콜레스테롤은 ACE 그룹에서 약간 높았고, 트리글리세라이드, 총콜레스테롤 수치는 대조군에 비해 ACE그룹에서 더 낮았다(p<0.05). 간 조직과 혈액의 면역과 염증에 관련된 사이토카인(인터루킨 1알파(IL-1α), 인터루킨 1베타(IL-1β),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인터루킨 6(IL-6), 인터루킨 10(IL-10), 인터페론감마(INF-γ), 인터루킨 18(IL-18), 인터루킨 2(IL-2), 과립구 대식구 집락자극인자(GM-CSF)) 수준은 모두 정상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고농축 식이성 양파추출물은 혈액학적 지표와 면역 기능에 독성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기초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폐암 환자에서 혈청 soluble ICAM-1농도의 변화 (Changes of Serum soluble ICAM-1 level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 류완희;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4호
    • /
    • pp.527-535
    • /
    • 1996
  • 연구배경 : 내피세포와 백혈구 및 상피세포에서 주로 발견되는 sICAM-1은 백혈구 표면의 배위자인 (ligand)인 LFA-1과 결합함으로서 염증성 질환 이외에 악성 종양의 전이와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혈청내 sICAM-1의 농도가 악성 흑세포종의 전이와 비례하여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또한 sICAM-1의 이형이 여러 질환에서 발견되고 이들의 혈청 농도의 증가는 위암, 대장암, 담낭암, 췌장암의 간전이와 관련되며, 악성 흑세포종 환자의 생존율의 감소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나 폐암에서는 이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이에 저자들은 폐암 환자의 혈청에서 sICAM-1을 측정하여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와 진행 및 전이의 정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 폐암의 진단적 가치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6년 3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폐암을 진단 받은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상 대조군은 비슷한 연령의 다른 질환을 갖고 있지 않은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조직 생검이나 경피적 세침 흡입술을 이용하여 확진을 하였으며, 각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진행정도를 알기 위하여 TNM system 을 이용하여 분류하였고, 소세포 폐암은 limited stage와 extensive stage로 분류하였다. Genzyme사의 Predicts sICAM-1 ELISA kit를 이용하여 혈청 sICAM-1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1. 소세포 폐암군에서 혈청 sICAM-1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가 없었으나, extensive stage군에서 limited stage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2. 편평상피암군에서 혈청 sICAM-1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stage IIIa기 이하군에 비해 stage IIIb기 이상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 선폐암 환자군에서 혈청내 sICAM-1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결론 : 혈청 sICAM-1농도의 변화는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폐암의 전이 및 진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폐암 환자에서 혈청 sICAM-1농도의 측정은 폐암에서 진행의 정도를 평가하는 데 지표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상백피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천식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asthma Effect of Morus Bark Water Extracts)

  • 김정미;백종미;김현숙;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263-1269
    • /
    • 2010
  • 상백피의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백피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in vitro에서의 항천식 효과를 확인하였다. 항산화 측정 결과는 총 페놀함량은 35.2 mg/g로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35.3~59.8%,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62.1~78.8% 범위로 높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 DNP-IgE와 HSA로 활성화된 RBL-2H3 세포에서의 항천식 효과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beta$-hexosaminidase를 감소시켰으며, 염증성 cytokine인 IL-4, TNF-$\alpha$ 사이토카인 분비량 또한 유의적(p<0.05)으로 감소시켰다. 결과적으로 상백피는 높은 항산화력을 가지며, 항천식과 관련된 지표들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천식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무모 마우스 피부에서 모자반 추출물의 자외선비(ultraviolet B)에 의해 유도된 광노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ojaban (Sargassum fulvellum) extract on ultraviolet B-induced photoaging in hairless mouse skin)

  • 임동빈;김창희;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67-475
    • /
    • 2020
  •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은 피부 주름 형성과 피부 건조를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의 주요 원인이다. 모자반과(Sargassaceae)에 속하는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은 항염증, 항산화, 항아토피 활성을 갖고 있다. 특히, 모자반은 인간 각질세포(keratinocyte)와 실험동물의 피부에서 UVB에 의한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모자반 추출물의 광노화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광노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UVB를 SKH-1 무모 마우스의 등 부분에 8주간 처리하였으며, 동시에 모자반 추출물을 300 mg/kg의 농도로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현상학적으로, 모자반 추출물은 주름 형성, 홍반 및 피부 두께를 감소시켰으며, 피부 탄력을 증가시켰다. 모자반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 유전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콜라겐의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 함량을 증가시켰다. 추가적으로, 모자반 추출물의 경구 투여는 무모 마우스의 피부 수분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경피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을 감소시켰다. 모자반 추출물은 각질세포막 형성에 관여하는 involucrin, loricrin, transglutaminase의 발현과 자연보습인자 관련 생체지표인 filaggrin 및 caspase-14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종합적으로, 모자반 추출물은 피부의 콜라겐 손실과 건조를 완화함으로써 광노화 억제 활성을 제공하였다. 모자반 추출물은 피부 광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녹차추출물 성분 catechin이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에 미치는 영향 (Protective Effect of Green Tea Extract, Catechin on UVB-Induced Skin Damage)

  • 이은희;이종권;홍진태;정경미;김용규;이선희;정수연;이용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7-124
    • /
    • 2001
  • 녹차의 주요 성분인 catechin은 항돌연변이, 항종양, 항균, 항바이러스 활성 및 콜레스테를 저하, 혈압 상승 억제, 해독, 방사선 차단 작용 등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작용들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 환경 오염의 급증으로 인한 오존층의 파괴로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이 증가됨에 따라 피부노출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피부암의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역학적 및 실험실적 연구에서 자외선 조사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atechin이 UVB에 의해서 손상된 피부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고 광발암과정에서 catechin의 억제효과가 apoptosis에 어떤 영향을 주어 작용하는지를 in vivo hairless mouse skin에서 연구하였다. 녹차잎에서 추출한 catechin을 hairless mouse를 대조군, catechin을 처리한 군, 자외선을 처리한 군, catechin과 자외선을 처리한 군으로 나누었으며 catechin의 농도는 3mg/mouse로 피부에 도포한 후 자외선을 100 mJ/$ extrm{cm}^2$ 조사하였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조직에 미치는 catechin의 영향을 H&E stain을 실시하여 확인하였고, apoptosis에 미치는 catechin의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DNA laddering 형성 여부와 TUNEL assay로 확인하였으며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apoptoic activity와 관련된 단백질인 p53연구하였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세포증식에 미치는 catechin을 영향을 bromodeoxyuridine(BrdU) 면역염색방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 자외선에 의하여 피부는 진피층의 교원섬유의 증가가 정상피부보다 2~3배 비후되었고, 염증세포의 침윤과 섬유화세포 등이 관탈되었으며 표피층은 두꺼워졌으나 상피세포가 소실되어 1~2층으로 되었다. UVB조사와 catechin을 2주간 처리한 후의 mouse의 피부는 표피층이 9~12층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세포의 핵은 과염색성을 보이며 커져있어 손상된 표피층 상피세포가 재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poptosis에 미치는 결과에서 UVB 조사군은 apoptosis의 대표적 특징인 DNA fragmentation이 관찰되었고, UVB와 catechin을 처리한 군에서는 생성되지 않아 뚜렷한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TUNEL assay를 실시한 결과 UVB군과 catechin 군을 비교하였을 때 UVB+catechin군에서 apoptotic cells이 유의성 있는 차이(p<0.05)를 보였다. Apoptosis 관련 단백질인 p53발현을 살펴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해볼 때 UVB군과 UVB와 catechin을 처리한 군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자외선에 의한 세포증식에 미치는 catechin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BrdU에서는 UVB군과 UVB+catechin군을 비교하였을 때 UVB+catechin군에서 BrdU 세포수가 유의성 있는(p<0.05)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해 녹차의 주요성분인 catechin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증식 및 apoptosis를 억제하고, 세포손상, 세포증식 및 apoptosis를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 PDF

흰쥐의 악안면 통증에서 아사이베리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caiberry in Formalin-Induced Orofacial Pain in Rats)

  • 김윤경;현경예;이민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40-24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formalin으로 유발된 악안면 염증성 통증모델에서 acaiberry의 진통작용과 항산화작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의 악안면 통증은 수염부에 5% formalin ($50{\mu}l$)을 주입하여 유발하였고 45분간 행위반응을 측정하였다. Acaiberry의 통증행위반응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formalin 주입 30분 전 실험동물에게 복강투여 하였다. Acaiberry의 통증행위반응조절에 대한 생리적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항염증과 항산화의 지표인 p38 MAPK의 활성 및 NOX4의 발현을 단백정량분석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Acaiberry (16, 80, 160 mg/kg)의 복강투여는 실험동물의 통증행위반응을 대조군($290{\pm}17.4$)에 비해 농도 의존적($205.3{\pm}21.8$, $137.8{\pm}21.8$, $53.5{\pm}30.2$)으로 감소시켰다. 이러한 통증행위반응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를 나타내었다. Formalin의 주입으로 인한 통증행위반응은 15분 이후부터 증가하여 25분, 30분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0분까지 지속되다가 45분에 감소되었으며, 15~40분에서 증가되었던 통증행위반응은 acaiberry의 복강투여로 인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acaiberry의 복강투여는 실험동물의 연수와 부신에서 p38 MAPK활성 및 NOX4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Acaiberry은 포르말린으로 유도한 악안면 통증에서 실험동물의 통증행위반응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는 p38 MAPK 및 NOX4 경로의 조절을 통한 항염증 및 항산화 작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속립성 결핵에서 $Ga^{67}$ 주사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Gallium^{67}$ Scan in Miliary Tuberculosis)

  • 김향인;진춘조;용석중;신계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5호
    • /
    • pp.558-564
    • /
    • 1993
  • 연구배경 : 속립성 결핵은 진단에 있어서 단순 흉부 X-선 사진에서 특징적인 미만성 결절을 보이나 조직학적인 확진이 없을때 이와 같은 미만성 결절을 보이는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요한다. 그러므로 속립성 결핵의 진단을 위한 그 보조적인 수단으로 임상중상, 이학적 소견, 혈청내 Adenosine deaminase, High-resolutional computerized tomogram 등이 이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속립성 결핵의 임상적 정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일반적으로 염증성 질환에서 양성으로 나타나는 $Ga^{67}$ 주사가 속립성 결핵의 진단에 유용하며 $Ga^{67}$ 주사의 흡수율 정도가 속립성 결핵의 임상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방법 :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속립성 결핵 환자를 대상으로 $Ga^{67}$ 주사, 단순 흉부 X-선 사진 및 동맥혈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1) 속립성 결핵환자 10예에서 폐의 $Ga^{67}$ 섭취율이 정상보다 모두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단순 흉부 X-선사진에서 등급이 높을수록 $Ga^{67}$ 주사의 등급도 증가되어 이 둘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3) $Ga^{67}$ 주사의 섭취율이 높은 환자일수록 동맥혈검사상 저산소증이 더 심한 것이 관찰되므로 $Ga^{67}$ 주사의 등급이 속립성 결핵의 임상 정도와 비례함을 보였다. 결론 : 단순 흉부 X-사진상 미만성 결절을 보이는 경우 $Ga^{67}$ 주사는 속립성 결핵에서 모두 $Ga^{67}$ 섭취율이 증가되었을 뿐만 아니라 $Ga^{67}$ 섭취율에 따른 등급은 임상정도를 반영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패혈증에서 혈중 Endothelin-1 및 Interleukin-8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Endothelin-1 and Interleukin-8 in Sepsis)

  • 박광주;최영인;오윤정;최영화;황성철;이이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3호
    • /
    • pp.300-309
    • /
    • 2001
  • 배 경 : 패혈증의 병태생리에는 많은 인자들이 관여를 한다. 이중 ET-1은 혈관수축 및 다장기 부전 등을 초래하고 IL-8은 호중구 매개성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임상적 지표로서도 유용성이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패혈증 환자에서 ET-1과 IL-8의 혈중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변화 양상과 상호 관련성을 평가하고 임상적인 의의를 조사하고자 한다. 방 법 : 패혈증 환자 19예에서 1일, 3일, 7일, 14일에 연속적으로 채혈을 하였고 APACHE III 점수를 측정하였다. 혈청 검체에서 ET-1과 IL-8의 농도를 immunoassay 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패혈증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혈청 ET-1이 유의하게 높았다. 패혈증 환자에 있어서 1일 및 7일 ET-1은 생존군보다 사망군에서 더 높았다. 패혈성 쇼크를 동반한 군에서 1일 ET-1이 높았으며, 혈청 ET-1은 혈청 creatinine과 1일, 7일, 14일에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혈청 ET-1과 IL-8 농도는 14일에 서로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났다. 결 론 : 패혈증에 있어서 혈청 ET-1은 예후, 패혈성 쇼크, 신부전 등과 관련성이 있었고 IL-8과도 상관성을 보여 임상적인 평가 및 예후 인자로서 유의성을 보였다.

  • PDF

삼출성흉수에서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 1 Proteion의 진단적 유용성 (Diagnostic Utility of Pleural Fluid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 1 Protein in Patients with Exudative Pleural Effusion)

  • 심윤수;이진화;천은미;장중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6호
    • /
    • pp.499-505
    • /
    • 2007
  • 배 경: TREM-1은 중성구, 단핵구, 대식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세포표면수용체로, 세균에 의해 그 발현이 증가하여 여러 염증전달물질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삼출성흉수를 가진 환자의 혈청과 흉수에서 soluble (s) TREM-1을 측정하여 흉수의 원인진단에 대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3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삼출성흉수로 입원한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여, 혈청과 흉수에서 human sTREM-1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점적법(immunoblot assay)으로 sTREM-1을 측정하였다. 원인질환에 따라 결핵성, 부폐렴성, 악성흉수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 과: 혈청 sTREM-1은 원인질환 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흉수 sTREM-1은 원인질환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1), 특히 부폐렴성흉수의 sTREM-1이 결핵성흉수와(p<0.05) 악성흉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부폐렴성흉수를 진단하는 데 흉수 sTREM-1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ROC 곡선을 그린 결과 곡선밑면적은 0.818이고 (p=0.001), 흉수 sTREM-1의 cutoff 값을 103.5pg/mL로 하였을 때 민감도가 73%, 특이도가 81%이었다. 결 론: 흉수의 sTREM-1은 삼출성흉수 중 부폐렴성흉수를 진단하는 유용한 지표로 판단된다.

포도가지 추출물의 산화방지, 항염증 및 항가려움 효과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pruritic effects of grape branch extract)

  • 조병옥;윤홍화;체 데니스 창;김상준;유철;장선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90-59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캠벨어얼리 포도 품종에서 포도가지를 대상으로 산화방지, 항염증 및 항가려움증 효과를 검증하고 활성물질을 나타내는 지표물질을 추적 조사하였다. 그 결과 포도가지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01.42{\pm}4.16$$11.85{\pm}0.44mg\;GAE/g$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캠벨어얼리 포도가지 추출물의 ABTS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각각 $45.60{\pm}0.09$ ($IC_{50}$)과 $299.13{\pm}0.22$ ($IC_{50}$)으로 나타나 산화방지 활성이 우수하였다. 게다가 캠벨어얼리 포도가지 추출물은 지방질다당류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전염증성 매개물인 산화질소와 프로스타글란딘 $E_2$를 iNOS와 COX-2 분자 발현 억제를 통하여 억제하였고,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류킨-1베타와 인터류킨-6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이 있었다. 더욱이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와 calcium ionophore A23187로 활성화된 인간 유래 비만세포인 HMC-1 세포에서 종양괴사인자-알파와 인터류킨-6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Compound 48/80으로 유도되는 마우스 가려움증을 캠벨어얼리 포도가지 추출물은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캠벨어얼리 추출물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추적한 결과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캠벨어얼리 포도가지 추출물은 아토피 질환에서 나타나는 염증과 가려움증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소재임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