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염습의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1초

섬진강 하구 염습지 갈대군락의 생산성과 토양양분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in the Productivity and Soil Nutrients of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in the Salt Marsh of the Sumjin-River Estuary)

  • Oh, Kyung-Hwan;Ihm, Byung-Suh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2호
    • /
    • pp.90-97
    • /
    • 1983
  • Seasonal changes of the soil nutrient contents and aboveground biomass,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nutrients and the productivity, and the net efficiencies of solar energy conversion were studied in two reeed communities (Phragmites communis Trin.) at the salt marsh in the estuary of the Sumjin-River from April 30 to October 9, 1981. The inorganic nutrients such as exchangeable sodium and potassium of soil were decreased during growing season. The amounts of organic matter, exchangeable sodium and potassium, total nitrogen, and available phosphorus in stand $\prod$ were much more than those of stand $\coprod$ . Productivity of Phragmites communi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oil nutrients such as available phosphorus, exchangeable potassium and total nitrogen. The maximum dry matter productions of the aboveground parts in stand $\prod$ stand $\coprod$ were $ 1, 120g/m^2; and; 843g/m^2$ in August, and the net coversion efficiencies of PhAR based on growing season (April to September) were 1.77% and 1.33%, respectively.

  • PDF

우리나라의 고기후 복원을 위한 습지 퇴적물의 안정동위원소 분석 가능성 연구 (The Applicability of Stable Isotope Analyses on Sediments to Reconstruct Korean Paleoclimate)

  • 박정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77-494
    • /
    • 2008
  • 호수나 습지 퇴적물을 대상으로 동위원소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들은, 다양한 해석들을 통해 고기후를 복원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호소퇴적물의 경우 보통 유기 무기 탄산염 등을 추출하여 산소 탄소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게 된다. 산소동위원소 분석은 과거의 기온과 습도 변화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복원하는데 이용되며, 탄소동위원소 분석결과는 호수의 주위환경 변화나 인간의 영향 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그리고 고산습지의 피트 층에 존재하는 반부패상태의 물이끼는 탄소동위원소분석의 좋은 시료이며 기온, 대기 중 이산화탄소압 등 고기후 정보를 제공해준다. 해안의 염습지나 염하구 등의 습지지역에서는 육상기원의 유기물과 해상기원의 유기물이 서로 탄소동위원소비율값에서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이용하여 해수면 상승에 관한 연구를 할 수 있다. 또한 탄소동위원소비율이 상이한 C4 식물과 C3 식물이 염도에 따라 분포가 변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몬순과 관련된 연구를 할 수도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동위원소분석방법을 이용한 고환경 연구들이 활성화되어있지 않은 상태이며, 이는 연구방법에 대한 관심 부족과 국내에서는 적절한 시료 채취에 어려움이 존재한다는 점에 기인한다. 제주도의 하논, 무제치늪이나 용늪 같은 고산습지, 그리고 해안의 염습지 등에서 얻은 퇴적코어들에 동위원소 분석을 시행하면, 우리나라 고환경 연구에 도움이 되는 흥미로운 결과가 산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부산광역시 해안사구의 식물다양성과 식생 특성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Plant Diversity of Coastal Sand Dune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박지원;이승연;이응필;김의주;박재훈;이정민;김민주;노재영;한동욱;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6-72
    • /
    • 2020
  • 해안사구는 해양생태계와 내륙생태계의 전이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내재하고 있지만, 간척, 매립, 관광객 증가 등의 서식처 교란으로 인해 고유생태계가 크게 훼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7개 해수욕장에서 식물상, 식생을 조사하고 경관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산시 해안사구의 관속식물상은 57과 140속 162종 15변종 1품종의 17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7개 해수욕장 중 4개(57%)에서 자연식생이 전혀 발견되지 않을 정도로 식생경관이 훼손되어 있었다. 해안사구식생은 좀보리사초군락, 통보리사초군락이 우점하였다. 염생식물과 귀화식물은 각각 18분류군(전체 출현종 10%), 40분류군(전체의 22%)이었다. 가장 넓은 면적을 이루는 식생은 염습지의 갈대군락이었고, 염생식물 종수는 습지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것은 이 지역의 고유한 식물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염습지의 유지와 관리가 중요함을 뜻한다.

해안 식물의 무기 및 유기용질 양상 (Inorganic and Organic Solute Pattern of Costal Plants, Korea)

  • 최성철;배정진;추연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6호
    • /
    • pp.355-361
    • /
    • 2004
  • 염습지와 사구지역에 생육하는 해안식물의 생리생태학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무기이온($Ca^{2+},\;Na^+,\;K^+,\;Mg^{2+},\;Cl^-$)과 유기용질(수용성 당, glycine betaine)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명아주과 식물(가는갯능쟁이, 퉁퉁마디, 솔장다리, 나문재, 칠면초)은 $K^+$이온 대신에 $Na^+$이온과 $Cl^-$이온을 축적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교란지에 서식하는 좀명아주는 다른 명아주과 식물에 비해 $Na^+$이온 대신에 높은 $K^+$이온을 함유하였다. 조사된 대부분의 명아주과 식물은 체내 수용성 $Ca^{+2}$이온의 함량이 낮고, 비교적 소량의 수용성 당을 함유하였으며, glycine betaine을 다량 함유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단자엽에 속하는 벼과(갯쇠보리, 갈대, 갯잔디)와 사초과(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의 식물은 $Na^+$$Cl^-$이온을 효과적으로 배제하여 체내 낮은 함량을 유지하였으며, 또한 $K^+$이온을 선호하며, 명아주과 식물보다 더 많은 당을 삼투물질로 축적하였다. 결론적으로, 명아주과식물은 무기이온과 glycine betaine을 축적하고, 단자엽식물은 $K^+$이온과 수용성 당을 축적하는 효과적인 이온조절을 통해 염습지 및 사구지역에 적응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반도 중서부 지역의 후빙기 식생 변천사 (Postglacial Vegetation History of the Central 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 장병오;양동윤;김주용;최기룡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6호
    • /
    • pp.573-580
    • /
    • 2006
  • 한반도 서해안 중부 지역의 식생 변천사 규명을 위해 천리포 수목원 퇴적물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과 화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약9,300 yr BP 이후 현재까지 식생 변천사를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하여 바닥층부터 표층까지 4개의 주요한 화분대가 설정되었다. : Zone CHL-I, Quercus stage(ca. 9,300$\sim$6,200 yr BP); zone CHL- II, Quercus-Pinus stage(ca. 6,200$\sim$4,600 y BP): zone CHL-III, Pinus-Quercus stage(ca. 4,600$\sim$1,160 yr BP); zone CHL-IV, Pinus stage(ca. 1,160 yr BP-present). 홀로세초기 약9,000$\sim$B,500 yrBP동안 한랭한 기후의 영향으로 냉온대 북부/고산지형 침엽-낙엽혼합림의 단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 8,500$\sim$6,000 yr BP 동안 Quercus를 중심으로 한 냉온대 중부/산지형 낙엽활엽수림이 절대적으로 우세한 식생이 유지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식생형의 완성 시기는 약 6,500 y BP 전후로 판단된다. 천리포 수목원 주변에 Pinus가 생육하기 시작한 시기는 약 5,700 yr BP 이후로 사료된다. 약 1,100 yr BP 이후 Pinus의 증가와 비수목화분의 갑작스러운 증가는 인간의 간섭에 의한 식생 ,변화로 보인다. 염습지의 주요한 표징종인 Chenopo-diaceae화분 동태를 통하여 염습지에서 담수호로 변화한 시기는 약 6,500 yr BP이후인 것으로 추정된다.

"정조국장도감의궤"를 중심으로 한 염습의대 고찰 (Study on Burial Dressing of King based on "Jeong-jo Gukjang Dogam Euigwe")

  • 고영
    • 복식
    • /
    • 제61권5호
    • /
    • pp.147-163
    • /
    • 2011
  • King Jeong-jo (正祖) was the 22nd king of Joseon dynasty (朝鮮王朝), who led the golden age of Korean culture during his ruling. This study is on the burial dressing of King Jeong-jo based on the publications during his ruling; such as "Gukjo Sangrye Bopyeon (國朝喪禮補編)", "Chungwan Tonggo (春官通考)", Jeong-jo "Gukjang Dogam Euigwe (國葬都監儀軌)", "Jeongjo Binjeon Honjeon Dogam Euigwe (正祖殯殿魂殿都監儀軌)" and "Jeong-jo Sillok (正祖實錄)", "Gukjo Sangrye Bopyeon (國朝喪禮補編)" was published in 1758. It compiled the funeral protocols of royal court, com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protocol documents published till then. "Chungwan Tonggo" was published in 1788, compiling all the protocols and customs practiced during Joseon dynasty in an organized manner. "Jeong-jo Gukjang Dogam Euigwe" and "Jeongjo Binjeon Honjeon Dogam Euigwe", record the burial dressing and the state funeral of King Jeong-jo in detail based on the contents of above protocol publications. In addition, the 'Daeryeom Euidae ', 'Soryeom Euidae', 'Seup Euidae' and 'Mokyok Euidae' that had been actually practiced were studied in detail based on the records in June/July, 1800 in Book 54 'Jeong-jo'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timing of King Jeong-jo's state funeral was when the most elaborated and complete protocol books of Joseon dynasty had been published.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solemn and magnificent funeral culture and King's burial dressing in late Joseon dynasty by way of King Jeong-jo's burial dressing.

다산의 악수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osu Theory of Tasan Chung, Yak-yong)

  • 임영자;순남숙
    • 복식
    • /
    • 제50권2호
    • /
    • pp.5-13
    • /
    • 2000
  • Woosu is the last process in the preparation of the deceased for burial. There are tow hypotheses on the purpose of Woosu. One is that it is to cover hands. The other is that it connects both arms of th body. The pattern of Woosu is 1 cheok 2 chon in length and 5 chon in width. The length is divided intc 3 parts equally with 4 chon. And then, it will be cutted 1 chon both sides of the middle part in Woosu. So, the width of middle part become 3 chon. Regarding the string used in soosu, two applications have been hypothesised . One is that each string is at both sides, the other is that each string ist at 4 edge respectively. Also there are two hypotheses about number of strings in Woosu. One is that total number of Woosu is one. The other is that the total number of Woosu is two. During th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it is acknowledged that Sagye Kim, Jang-Saeng insisted that string of woosu is at one by one at both arms and hands respectively to be useful to cover hands of the body. But again the great scholar Tasan Chung, Yak-young pointed out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on the explanatory notes and annotations of Sasangrye which ar quoted by Sagye Kim. Jang-Saeng. He insisted that the purpose of Woosu is to connect both arms using one string. Therefore, I will explain the intrinsic nature of Woosu by researching Tasan Chung , Yak-yong's Woosu theory.

  • PDF

새만금 간척지일대 염습지 생태복원을 위한 식생학적 연구 - 염생식물 발아 전략 및 특성 - (Studies on Vegeta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alt Marshes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 Germination Strategies and Character of Halophytes -)

  • 김창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51-462
    • /
    • 2009
  • A study on vegetation in the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basins and the surrounding regions of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was conducted in a series of efforts to determine the expected ecological changes in the salt marshes, to restore their vegetation, to explore the restoring force of halophyte, to examine the community mechanism and, ultimately, to rehabilitate marshy land vegetation along the lakeside, coastal dune and salt marshes of the Saemangeum Project Area.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ve species such as Suaeda japonica, Salicornia herbacea, Atriplex gmelini, Aster tripolium and Suaeda asparagoides that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estuary of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mechanism of halophyte to maintain their community. To find out the strategies of plants for survival and the cause of forming community structure, a research was made as for appearance ratio of young sapling. From the results of laboratory analysis into dynamics of the saplings of halophyte, it was revealed that the germination ratio of the dry area and submerged area decreases in the order of Suaeda asparagoides, Suaeda japonica, Salicornia herbacea, Atriplex gmelini and Aster tripolium.

청주 출토 한산이씨묘(1712-1722) 유물의 특징에 대하여 (The Study on the Excavated Geogories in Lady Lee(From HanSan)'s Tomb)

  • 장인우
    • 복식
    • /
    • 제57권10호
    • /
    • pp.60-73
    • /
    • 2007
  • This Study is on the excavated clothing from lady Lee' tomb in spring 2003, on Chungjoo Province. These are significant as the 18th century's real clothing, we examine the real Jegories as possible and the results shows there are two group in sizes. we regard the large Jegori is for the dead as a shroud, the small one is for daily. it shows that Jegori for the dead is about 1.3 larger than a daily one, we can see Jegori for the dead was going to be large from the 18th century, and it's needlework was not fine than daily one, but the Color and the material on should look like as daily in this time, and the motif is cloud pattern, we can see two changes in daily Jegori that one thing is to be short and narrow, the other is to be curve at the corner of collar(Gitmuri), the corner of edge(supco), the below line of sleeve(baerae) in the daily Jegori.

안치실 및 염습실 종사자의 감염예방 가이드라인 연구 (Prevention Guidelines for Infection-associated funeral directors in Korea)

  • 황규성;정유진;김정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4호
    • /
    • pp.103-106
    • /
    • 2015
  •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장례종사자들의 질병감염에 대한 위험성과 감염예방의 중요성이 심도있게 연구되어 이에 관련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국내에서 장례종사자의 건강관리는 장례업자나 종사자 개인의 노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매우 열악하며, 장례종사자의 감염에 대한 연구 및 역학 조사 등이 매우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장례지도사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노출가능성이 높은 질병, 개인위생, 물질적 및 공간적 관리에 대한 한국형 장례종사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모형을 제시하여 장례식장내 효율적 감염관리 및 장례종사자의 감염예방을 이루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