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염산용액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3초

Li(I), Mn(II) 및 Ni(II)를 함유한 폐리튬 이온 배터리의 염산침출용액에서 Co(II) 및 Cu(II)의 용매 추출 (Solvent Extraction of Co(II) and Cu(II) from Hydrochloric Acid Solution of Spent Lithium-ion Batteries Containing Li(I), Mn(II), and Ni(II))

  • 르민난;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9권5호
    • /
    • pp.73-80
    • /
    • 2020
  • 폐리튬이온전지에 함유된 유가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리튬(I), 망간(II), 니켈(II)을 함유한 합성 염산용액에서 구리(II)와 코발트(II)의 분리를 위한 용매추출실험을 수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Alamine 336과 Aliquat 336을 추출제로 사용했으며 염산과 추출제의 농도에 따른 금속의 추출거동을 조사했다. 염산농도가 금속의 추출거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염산농도가 1 M인 조건에서는 구리(II)만 추출되었으나, 염산농도 5 M 이상의 조건에서는 구리(II)와 코발트(II)가 선택적으로 추출되고 리튬(I), 망간(II), 니켈(II)은 추출여액에 남았다. 염산농도를 조절하면 구리(II)와 코발트(II)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령토 침출용액으로부터 고순도 염화알루미늄 결정화 분리 (Crystallization and high purification of aluminium chloride hexahydrate from kaolin leaching solution)

  • 김우식;장희동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84-594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고령토 침출용액으로부터 고순도의 염화알루미늄 결정을 분리하고자 침출용액의 용존 염화알루미늄의 농도, 결정화 온도 및 염소가스 주입속도 등의 결정화 조건이 염화알루미늄 결정의 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정의 순도는 침출용액의 염화 알루미늄의 과포화 농도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결정화의 조건에 따라 염화알루미늄의 과포화 농도가 낮게 형성되면 철이온의 함유가 낮은 고순도의 염화알루미늄 결정이 생성되었다. 침출용액 내의 과포화 농도 수준은 용액 내의 용존 염화알루미늄의 농도, 염산 농도, 결정화 온도 등에 의해 결정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정화 조건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염화알루미늄의 결정 모양은 침상형으로 일정하게 나타났다. 고령토 침출용액의 염산농도 측정을 위하여 Shank [9]가 제시한 Oxalate 적정법을 적용하였으며 고령토 침출용액과 같은 다성분 이온 용액에서도 정확한 염산 농도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염산산성(鹽酸酸性) 용액(溶液)중에서 알루미늄에 의한 주석(朱錫)의 치환반응(置換反應) (Cementation of Tin by Aluminium from Hydrochloric acid Solution)

  • 안재우;소순섭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7권2호
    • /
    • pp.70-75
    • /
    • 2008
  • 폐전자스크랩, 함주석 폐액 등에서 주석 성분을 회수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주석이 함유된 염산용액에서 알루미늄 분말을 이용한 치환반응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석이온의 치환 반응에 미칠 수 있는 용액의 pH, 알루미늄 분말 첨가량, 반응온도, 반응시간, 염소이온($Cl^-$) 농도, 불순물 농도 둥에 대해 고찰하였다. 치환실험 결과 알루미늄 분말의 첨가량. 반응온도, pH 및 염소이온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주석이거 치환속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알루미늄 금속분말을 이용한 금속 주석의 치환 및 회수에 관한 최적 조건을 제시하였다.

금과 은 금속혼합물의 침출 (Leaching of the Mixture of Metallic Gold and Silver)

  • 행위동;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2호
    • /
    • pp.39-45
    • /
    • 2017
  • 양극흙에서 금의 불균일 분포에 따른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금과 은 금속혼합물을 사용하여 염산과 산화제(질산, 과산화수소,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혼합용액, thiourea 및 thiosulfate에 의한 침출실험을 수행했다. 염산에 산화제로 질산이나 과산화수소를 첨가한 용액에서 금은 모두 용해되었으나, 은의 침출율은 1% 정도이었다. Thiourea와 thiosulfate용액에서 금은 전혀 용해되지 않았다. 산성의 thiourea용액에 제 2철이온을 첨가하면 은의 침출율이 상승했으며 제 2철이온과 황산의 복합효과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Ammoninm Cobalt Thiocyanate 용액의 안정도 및 Perthiocyanuric acid의 생성반응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ability of ammonium cobalt thiocyanate solution and the formation of perthiocyanuric acid)

  • 최종인
    • 약학회지
    • /
    • 제7권2_3호
    • /
    • pp.36-41
    • /
    • 1963
  • Cobalt thiocyanate ion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Cobalt ion이 $NH_{4}CNS$ 용액에 의해서 생성되는 ion의 색의 transmittance는 확산에 의하여 적어지며, 황산존재하에서는 황산의 양과 Transmittance 사이에 비례적 관계가 있다. 염산 및 질산도 역시 Transmittance의 값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나 염산의 경과에는 이 착 ion이 황산존재하보다 다소 불안정하며 질산에 의해서는 안정화가 극히 적어서 단시간내에 Perthiocyanuric acid로 인정되는 물질로 분해한다. 또한 그 Transmittance가 과량의 광산존재하에서 적어지는 현상으로 부터 $Co(SCN)^{2-n/_{$ n/의 n의 값이 커지는 것은 ether에 이행하는 SCN-을 Volhard 씨법으로 정량함으로서 확증하였다.

  • PDF

염산 수용액 거동에 대한 가변 외부 자기장의 적용과 영향: 실험 연구 및 Taguchi 법을 이용한 모델링 (Influence and Application of an External Variable Magnetic Field on the Aqueous HCl Solution Behavior: Experimental Study and Modelling Using the Taguchi Method)

  • 하셰미자데 아바스;아메리 모하마드;아미샤히디 바바크;골리자데 모스타파
    • 공업화학
    • /
    • 제29권2호
    • /
    • pp.215-224
    • /
    • 2018
  • 염산 5, 10, 15 wt% 용액(1.5, 3.0, 4.5 M; 석유정 산성화에 사용되는 범위)에 대하여 여러 가지 조건에서 자기장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자화된 염산의 pH 변화를 정상적인 염산과 비교하였다. Taguchi 실험 설계법을 사용하여 자장강도, 농도, 유속, 온도 및 시간의 영향을 모델링하였다. 실험 결과 자화에 따라 염산의 $H^+$ 농도가 42%까지 감소하였다. 자장 강도(기여도 28%), 염산의 농도(기여도 42%), 유속이 커지면 자기장 적용의 효과가 증가하였다. 염산에 대한 자기장의 영향은 용액의 유속과 가열에 의하여 영향받지 않았으며 시간에 따른 자기장 메모리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H^+$ 농도 변화에 대한 최적의 조합은 10% 염산 용액 및 4,300 Gauss일 때로 얻어졌다. 자화 과정 중 염산의 반응 속도가 감소하므로 자화된 염산은 탄화수소(원유 및 천연가스)정의 매질 산성화에 대한 대체 지연제로 비용면에서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방법이 될 것으로 제안한다.

염산용액에 의한 블랙드로스의 침출 (Leaching of Black Dross by Hydrochloric Acid Solutions)

  • ;;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6호
    • /
    • pp.58-64
    • /
    • 2017
  • 블랙드로스에 함유된 유가성분을 회수하기 위한 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염산용액으로 침출실험을 수행했다. 블랙드로스와 물로 처리한 잔사의 침출거동을 비교했다. 본 연구의 실험범위에서 블랙드로스에 함유된 성분중 $TiO_2$를 제외한 모든 성분이 염산에 용해되었다. 물로 블랙드로스를 처리하면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실리카의 침출율이 저하되었으며, 침출반응을 고찰했다. 3M의 염산과 반응온도 $90^{\circ}C$에서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실리카의 침출율은 85, 100, 40%이었다.

염산-불산-과산화수소 혼합용액에 의한 스테인레스강의 산세 특성 (Acid Pickling Characteristics of Stainless Steel by the Mixed Solution of Hydrochloric acid, Hydrofluoric acid and Hydrogen Peroxide)

  • 전희동;최상교
    • 청정기술
    • /
    • 제11권1호
    • /
    • pp.21-28
    • /
    • 2005
  • 스테인레스강의 산세공정에서 사용하는 질산으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질산을 포함하지 않는 새로운 산세용액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산세용액의 반복 사용 시의 산세성능과 모재의 침식 정도를 기준으로 연구한 결과, 산 1%, 불산 및 과산화수소 각 2% 의 조성을 갖는 용액이 기존의 질산-불산 용액과 유사한 수준의 우수한 산세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산세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염산 대비 과산화수소의 비율을 0.5 이상 유지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염산용액에서 Cyanex 572에 의한 희토류 원소(La, Ce, Pr, Nd, Sm)의 용매추출 (Solvent Extraction of Rare Earth Elements (La, Ce, Pr, Nd, Sm) from Hydrochloric Acid Solutions using Cyanex 572)

  • 조연철;강명식;안재우;이진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5권6호
    • /
    • pp.50-57
    • /
    • 2016
  • 염산용액에서 Cyanex 572에 의한 La, Ce, Pr, Nd, Sm의 추출 및 탈거 거동을 조사하여 PC88A를 추출제로 사용한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평형 pH, 추출제 농도, 탈거제 농도 변화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추출율, 분배계수, 탈거율 및 분리계수 값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Cyanex 572를 사용하였을 경우 PC88A 보다 희토류 원소들의 추출 시에 $pH_{50}$ 값이 더 높았고, 추출제 농도가 증가할수록 분배계수 값이 증가하였다. 희토류 원소가 추출된 유기상에서 염산용액으로 탈거 시 Cyanex 572의 경우는 탈거율이 85 ~ 95%로, PC88A의 탈거율 80 ~ 87%보다 높았고, 2성분계 혼합용액에서 Ce/La, Ce/Pr, Pr/Nd, Nd/Sm의 분리계수 값이 Cyanex 572를 사용한 경우가 PC88A에 비해 1.0 ~ 5.0 정도 커서 분리성이 개선되었다.

염산용액(鹽酸溶液)에서 코발트(II)와 망간(II)의 이온 평형(平衡) 및 Alamine336에 의한 용매추출(溶媒抽出) 비교(比較) (Ionic Equilibria and Comparison of Solvent Extraction of Cobalt(II) and Manganese(II) from HCl Solution by Alamine336)

  • 이만승;신선명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9권4호
    • /
    • pp.29-34
    • /
    • 2010
  • 염산 용액에서 코발트(II)와 망간(II)의 이온평형을 해석하여 염산농도에 따른 착물의 농도분포를 구했다. 염산농도 4에서 10 M 사이의 범위에서 코발트의 대부분은 $CoCl_2$로, 망간은 $MnCl_{3}^-$$MnCl_2$로 존재한다. Alamine336에 의한 코발트와 망간 추출반응의 평형상수를 이용하여 두 금속의 등온추출곡선을 구했다. 망간 추출반응의 평형상수가 코발트의 평형상수보다 크나, 등온추출곡선을 비교하면 동일한 추출조건에서 코발트가 망간보다 Aalmine336에 효율적으로 추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