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 발생

Search Result 5,46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udden Increase in Combustion Pressure of Gas Generator of Ducted Rocket by Thermal Choking (열 질식에 의한 덕티드 로켓 가스 발생기의 연소 압력 상승)

  • Kim, Doyeong;Shin, Kyung-Hoon;Lee, Ch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3 no.8
    • /
    • pp.684-691
    • /
    • 2015
  • A sudden increase in combustion pressure is observed in the ducted rocket combustion test equipped with pipe shaped and converging nozzle exhaust tub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hysical mechanism of abrupt change in combustion pressure using thermal choking in the exhaust tube. Results confirmed that the thermal choking of the flow inside the exhaust tube was responsible for the sudden increase in combustion pressure. Also, high pressure exponent of solid propellants is critical sensitive to the occurrence of thermal choking exhaust pipe. Additionally, numerical simulation showed that the sudden increase in combustion pressure was less possible in diverging pipe because thermal choking is more reluctant to occur.

The effects of thermal expension properties of flexible metal substrates on the Si thin film (금속 연성기판재의 열팽창 특성이 Si 박막 층에 미치는 영향)

  • Lee, Min-Su;Yim, Tai-H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367-369
    • /
    • 2009
  • 플렉서블 태양전지용 연성기판재에는 플라스틱재와 금속재가 있다. 기존의 연성기판인 플라스틱의 경우 열과, 내구성, 화학약품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금속기판은 높은 생산원가, 박판화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판재와 cell을 구성하는 반도체 층의 열팽창 거동 차이에 의한 열 변형이 태양전지의 공정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cell을 구성하는 반도체 층과 열팽창 거동이 유사한 금속기판재의 적용이 필요하다. Si 박막 태양전지의 경우 Si 열팽창 거동과 비슷한 특성을 갖는 기판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전주법을 적용하여 조성이 다른 Ni계 합금의 열팽창 거동을 TMA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전산해석 Tool을 활용하여 가상의 Si 박막 태양전지 제조공정을 설정하고 고온 공정온도에서 상온으로 냉각시 발생되는 층간 열변형 연구를 수행하였고 열팽창 거동이 다른 합금 상에 Si층을 증착하여 열 충격에 의한 결함 발생여부를 관찰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Crime Prediction using Time Series Models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범죄예측 사례연구)

  • Joo, Il-Yeob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30
    • /
    • pp.139-16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scientific policing policies through deriving the time series models that can forecast the occurrence of major crimes such as murder, robbery, burglary, rape, violence and identifying the occurrence of major crimes using the model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re were performed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Generation of Time Series Model(C) for identifying the forecasting models of time series, Generation of Time Series Model(C) and Sequential Chart of Time Series(N) for identifying the accuracy of the forecasting models of time series on the monthly incidence of major crimes from 2002 to 2010 using IBM PASW(SPSS) 19.0.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murder, robbery, rape, theft and violence crime's forecasting models of time series are Simple Season, Winters Multiplicative, ARIMA(0,1,1)(0,1,1), ARIMA(1,1,0 )(0,1,1) and Simple Season. Second, it is possible to forecast the short-term's occurrence of major crimes such as murder, robbery, burglary, rape, violence using the forecasting models of time seri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have to suggest various forecasting models of time series continuously, and have to concern the long-term forecasting models of time series which is based on the quarterly, yearly incidence of major crimes.

  • PDF

Study of sound radiation from coupled oscillations of a line array of bubbles (선배열 기포의 결합진동에 의한 음향방사에 관한 고찰)

  • 최복경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469-472
    • /
    • 1998
  • 수중에서 발생된 기포들의 상화작용에 의한 방출주파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선배열 기포에 대해 이론적으로 연구하였다. 기포들의 결합진동에 의한 방출주파수는 가능한 가장 저주파수의 음파가 발생됨을 설명하였으며, 일부의 기포가 음원역할을 하는 실제적인 선배열 기포의 경우는 방출주파수가 기포의 총 개수보다는 음원기포의 개수와 기포간 거리에 좌우됨을 밝혔다. 이러한 이론결과는 참고문헌[6]의 실험결과에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이것은 기포간의 결합진동은 기포들의 초기 발생조건에 따라 이론적으로 다르게 다루어야 함을 의미한다.

  • PDF

Binary Sequence Generator with a Large Number of Output Sequences (다수열 출력 이진 수열 발생기)

  • 이훈재;문상재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7 no.3
    • /
    • pp.11-22
    • /
    • 1997
  • The number of output sequence was proposed as a characteristic of binary sequence generators for cryptographic application, but in general most of binary sequence generators have single number of output sequ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types of binary sequence generators with a large number of output sequences. The first one is a Switched-Tap LFSR (STLFSR) and it applies to the generalized nonlinear function and the Geffe's generator as example. The other is a generalized memory sequence generator(GMEM-BSG) which is an improved version of the Golic's memory sequence generator (MEM-BSG) with a large number of output sequences, and its period, linear complexity, and the number of output sequence are derived.

Optimal design and analysis of a Class IV Flextensional Transducer (Class IV Flextensional 트랜스듀서의 최적설계 및 특성해석)

  • Kang Kuk-jin;Roh Yongrae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11-31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저주파 대역에서 고출력 수중 음향센서로 사용되는 Class IV Flextensional 트랜스듀서의 여러 설계변수들에 따른 음압 변화 및 열 발생 경향성을 유한요소 해석법으로 해석하였다. 나아가 해석되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최대 음압을 구현하고, 열 발생이 최소인 중심 주파수 1 kHz를 가지는 Class W Flextensional 트랜스듀서의 최적구조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최적구조는 기본모델에 비해 음압이 2배 이상 크고, 열 발생은 아주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다양한 중심 주파수 및 최대 음압을 구현하고 열 발생이 최소인 Class W Flextensional 트랜스듀서를 설계함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Pseudo-random bit sequence generator based on dynamical systems (동역학계를 이용한 난수열 발생 시스템)

  • 김재겸;조성진;김한두;이경현;손호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4 no.2
    • /
    • pp.182-188
    • /
    • 2001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pseudo-random bit sequence generator based on the concept of n-dimensional cellular automata which is a method of analyzing dynamical systems. The proposed generator is designed for using and disusing key. And the key size is variable from 128 bits to 256 bits. The generator was estimated to generate 380Mbits/sec under Pentium MMX 200MHz (64M RAM, Windows 98).

  • PDF

Simulation Study for Engine Friction Reduction through the Enhancement of Temperature Distribution along Cylinder Liner in a Heavy Duty Diesel Engine (대형 상용 디젤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 온도 분포 개선을 통한 엔진 마찰 저감 - 해석적 연구)

  • Park, S.Y.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6 no.6
    • /
    • pp.11-18
    • /
    • 2012
  • 대형 상용 엔진에서 발생하는 유효 도시 마력의 약 4~15%는 마찰 손실을 통해서 사라지며 마찰 손실 중 약 40~55%는 엔진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여, 엔진 전체에서 발생하는 마찰 손실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엔진 실린더 라이너의 온도 분포 개선을 통해 라이너를 따라 유막을 형성하고 있는 윤활유의 적정 점성을 유지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피스톤-라이너에서 발생하는 마찰 특성은 피스톤의 행정 위치에 따라서 접촉 마찰과 유막에 의한 마찰로 구분되며 이에 따라 요구되는 윤활유의 점성 특성 또한 달라진다. 먼저 해석 모델을 통하여 실린더 라이너 내부 온도 분포 특성을 확인한 후 피스톤 마찰 특성을 고려한 적정 온도 분포를 고찰하며 실린더 라이너에 열저항 코팅을 통해서 이를 구현하였다. 또한 실린더-피스톤 간의 마찰/윤활 해석을 통하여 열저항 코팅의 마찰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얇은 layer가 존재하는 접촉표면의 열적 거동에 대한 연구

  • 안효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8.11a
    • /
    • pp.35-48
    • /
    • 1988
  • 상대 접촉하고 있는 물체에 미끄럼 운동이 가해질 경우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거의 모든 에너지는 열로써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마찰열은 주로 adhered junctions의 파괴 및 표면돌기(surface asperities)들의 소성 변형에 의한 열역할적 비가역 반응의 결과로 발생된다. 접촉부위의 발생열은 양 접촉제의 접촉면에 전달되어 접촉표면 온도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하며 그 결과로 여러가지 surface phenomena, 즉 마찰, 마모, 산화(oxidation), 부식 및 구조적 열화(structural degradation) 금속학적 상변화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딸서 볼 및 로울링 엘레먼트 베어링, 기어, 캠과 태핏, 브레이크 등 기계요소의 설계를 위한 주인자로서 근래에 들어 접촉표면의 온도가 주목받고 있다. 표면에 존재하는 layer로서는 금속표면에 응착시킨 coating layers, contaminant films, physisorbed 또는 chemisorbed films, oxide layers 또는 마찰열에 의해 형성되는 경도가 아주 높은 내마모층(hard wear-resistant layers) 등이 고려될수 있다. 낮은 열전도성을 가진 oxide film이 접촉 표면이 온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이 Jaeger에 의해 지적되었으며 Ling과 Lai는 moving heat sjource가 가해지는 layered surface의 표면온도분포를 구하면서 substrate와 thermal property가 다른 layer가 존재하게 되면 그 두께가 아주 얇더라도 (1 마이크론 정도) 표면온도는 크게 변화됨을 보였다.

  • PDF

양극으로의 에너지 플럭스 유입을 고려한 대기압 아르곤 자유연소아크 해석

  • Lee, Won-Ho;Lee, J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498-498
    • /
    • 2012
  • 직류 아크 토치를 이용하여 열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전극의 구성에 따라 크게 비이송식(non-transferred)과 이송식(transferred)의 2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1950년대 H. Maecker 등에 의해 이론적 기초가 형성되기 시작한 이송식 아크 플라즈마 발생장치는 처리 대상물질을 전극으로 사용하여 양극에서의 에너지 전달을 직접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열효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고출력 토치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압 아르곤 자유연소아크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열플라즈마의 열유동 특성을 수치적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아크 기둥의 온도, 압력 및 속도 특성을 Navier-Stokes 방정식과 Maxwell 방정식을 연계 계산하였다. 또한 아크-전극 상호작용(arc-electrode interaction) 모델링을 통한 양극(anode)인 처리 대상물질로의 에너지 플럭스 유입을 고려하여 전극 내부의 온도분포를 계산하였다. 해석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음극과 양극 사이 플라즈마 기둥(column)의 중심축 온도는 Haddad & Farmer(1984)의 실험데이터와 비교하였고, 양극으로의 에너지 플럭스 및 온도분포 데이터는 Bini 등(2006)의 실험 및 해석데이터와 비교하여 만족스런 일치를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