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희석법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대용량 회전기의 전기절연 진단 시험기술

  • 조연옥;류희석
    • 전기의세계
    • /
    • v.38 no.11
    • /
    • pp.11-20
    • /
    • 1989
  • 고압회전기의 고정자권선에는 열, 전기 및 기계적, 환경적 스트레스가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가해지며, 이러한 응력들은 기기의 크기, 정력, 동작상태 등에 따라서 변화된다. 따라서 주기적인 절연진단 시험을 통하여 절연상태를 평가하고 그 변화추이를 검토하여 잔여수명을 예측함으로써 보수 및 교체시기를 계획하여 절연파괴로 인한 대형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회전기의 정지기간 동안 실시하는 진단시험 및 열화상태 판정법등에 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 PDF

폴리프로필렌 중공사막의 용융방사

  • 김진호;강민수;김성수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75-76
    • /
    • 1996
  •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용매교환법을 대신하여 내용매성,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매우 뛰어난 고분자를 소재로하여 다공성 고분자막을 만드는 열유도 상분리법(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TIPS)이 개발되었다. TIPS공정에서는 주로 고분자/희석제 system의 열역학적인 불안정성에 의하여 polymer-rich phase와 polymer-lean phase로 상이 분리되는 liquid-liquid phase separation과 결정성 고분자의 결정화에 의한 solid-liquid phase separation을 주로 상분리 mechanism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위에 언급된 TIPS 이론에 근거한 melt spinning 공정에 의하여 PP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는데 wet spinning 공정에 의한 용매 교환법에 비해 비교적 공정이 단순하고 다공도를 조건하기가 용이하며 구조 및 성능면에서도 높은 재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우수한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절절한 용매의 부재로 용매교환법에서 사용할 수 없었던 폴리올레핀계, 나일론계, 방향족출합계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소재의 폭이 넓어졌다는데에 가장 큰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P중공사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용융 방사장치를 제작하였고 melt spinning 공정에 의해 막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방사조건들을 확립한 후 결정된 방사조건에 의해 얻어진 PP 중공사막의 구조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PVDF-DBP Materials for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열유도상분리법 적용을 위한 PVDF-DBP 소재의 특성평가)

  • Kim, Se Jong;Lee, Jeong Woo;Nam, Sang Yong
    • Membrane Journal
    • /
    • v.26 no.6
    • /
    • pp.449-457
    • /
    • 2016
  • In this study,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membrane with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resistance was prepared and characterized for the application of water treatment. Dibutyl-phthalate (DBP) was used as a diluent for making a membranes through temperature induced phase separation (TIPS) method, and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melting point, cloud point and SEM image were observed with different ratio of diluent in polymer/diluent mixture.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melting point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the content of polymer, while the cloud point temperature decrease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stable membrane could be manufactured at a polymer content of 62 wt% and a temperature $125^{\circ}C$ using the phase diagram of PVDF/DBP mixtures with temperatures.

Preparation and Fundamental Characterization of EVOH Hollow Fiber Membranes vi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TIPS) (열유도상분리법을 이용한 EVOH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 및 기본 특성)

  • Hou, Jian;Yun, Jaehan;Jeon, Sungil;Chung, Kun Yong;Byun, Hongsik
    • Membrane Journal
    • /
    • v.28 no.6
    • /
    • pp.395-405
    • /
    • 2018
  • Poly(ethylene-co-vinylalcohol) EVOH hollow fiber membranes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via 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TIPS) method. It was observed that all membranes fabricated under different spinning conditions had interconnected and bicontinuous structures through liquid-liquid phase separation. Glycerol and poly(ethylene glycol) 200 were used as diluents for the TIPS method. Glycerol was used as a mixing component in quenching bath to control por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Hot quenching bath with a mixing component to generate large por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The effects of polymer concentration, diluent and quenching bath on the morphologies, water permeabili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EVOH hollow fiber membranes we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permeability, mechanical properties and spinning conditions was discussed in detail.

Hierarchical Smoothing Technique by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경험적 모드분해법에 기초한 계층적 평활방법)

  • Kim Dong-Hoh;Oh Hee-Seok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9 no.2
    • /
    • pp.319-330
    • /
    • 2006
  • A signal in real world usually composes of multiple signals having different scales of frequencies. For example sun-spot data is fluctuated over 11 year and 85 year. Economic data is supposed to be compound of seasonal component, cyclic component and long-term trend. Decomposition of the signal is one of the main topics in time series analysis. However when the signal is subject to nonstationarity, traditional time series analysis such as spectral analysis is not suitable. Huang et. at(1998) proposed data-adaptive method called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EMD) . Due to its robustness to nonstationarity, EMD has been applied to various fields. Huang et. at, however, have not considered denoising when data is contaminated by error. In this paper we propose efficient denoising method utilizing cross-validation.

열유도 상분리 공정 및 연신 공정을 이용한 중공사막의 제조

  • 유종범;김진호;김성수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10a
    • /
    • pp.79-80
    • /
    • 1997
  • 1. 서론 : 열유도 상분리법(TIPS)은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적정용매가 없는 고분자 소재를 아용하여 고분자-희석제 2성분계의 혼합물을 적절한 냉각 속도로 상분리 온도 이하로 급냉시켜 연속상과 분산상의 상분리를 일으킨 후 matrix전체에 다공성을 부여하여 분리막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를 중심으로 나일론11. 폴리카보네이트, PVC, ABS 수지 등을 소재로 plasmapheresis, 인공심폐기, breathing wear 등의 용도로 많이 응용되어 왔으며 현재 한외여과나 정밀여과 등 수투과 공정 및 battery separator 등으로의 응용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TIPS공정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분리막은 기존의 분리막에 비해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여러 가지 다양한 변수로 부터 막의 미세구조를 조절할 수 있어 기공의 크기 및 모양이 조절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TIPS 공정을 이용한 고분자 분리막의 제조시 take-up speed와 air gap 등을 변화시켜 이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고 또한 cold stretching에 의한 구조변화를 알아보았다.

  • PDF

Effect of Coagulation Heat Capacity on the PVDF Membrane via TIPS Method (열유도상분리법을 이용한 응고조의 열용량에 따른 PVDF 분리막의 구조 분석)

  • Lee, Jeong Woo;Nam, Sang Yong
    • Membrane Journal
    • /
    • v.27 no.4
    • /
    • pp.350-357
    • /
    • 2017
  • In this study, we used TIPS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for the application of water treatment membrane, and observed the change in morphology of separation membrane due to the change of solidification temperature and heat capacity. For manufactured membrane, PVDF and silica with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resistance were used, and DOP (dioctyl phthalate), DBP (dibutyl phthalate) were used as the diluent. Using the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morphology of each different coagulation solutions of heat capacity change was observed. As the heat capacity increased, the crystallization rate of PVDF was decreased and showed large pore. In contrast, It also confirmed that the smaller heat capacity, the faster the crystallization rate and make smaller pores.

Effects of Solvent-Based Dilution Condition on CNT Dispersion in CNT/Epoxy Composites (용매를 이용한 에폭시 희석 조건이 CNT 에폭시 복합재료 내 CNT 분산도에 미치는 영향)

  • Kwon, Dong-Jun;Shin, Pyeong-Su;Kim, Jong-Hyun;Lee, Hyung-Ik;Park, Jong-Kyoo;Park, Joung-Man
    • Composites Research
    • /
    • v.29 no.4
    • /
    • pp.125-131
    • /
    • 2016
  • In case of CNT mixing with epoxy, epoxy matrix needs to be diluted. This work studied the effect of the dilution condition of epoxy on CNT dispersion. The optimum solvent condition using acetone and DMF was found via mechanical and solubility methods which affects, the epoxy performance. The dispersion using acetone was better than the DMF and thus higher mechanical properties. Four mixing types of CNT particle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s of each step between dilution and dispersion, the dispersion between epoxy and CNT was evaluated via the electrical resistance and optical methods. The optimum dispersion was obtained via mechanical test and thermal analysis by DSC. Among four types, the best was to disperse CNT after epoxy and hardeners were diluted respectively.

GMAW of 6K21-T4 Aluminum Alloy for Tailor Welded Blank(TWB) (TWB 적용을 위한 6천계열 알루미늄 합금의 GMA용접)

  • Kim, Yong;Yang, Hyun-Seok;Park, Ki-Young;Seo, Jong-Dock;Choi, Won-Ho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50-5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차체 부품의 경량소재 대체에 따른 Panel Assembly Rear Seat Back 부품 제작에 최신 저입열 미그용접공정을 적용한 TWB(Tailor Welded Blank) 공정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최적 용접조건 도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용접 후 성형이 이뤄지는 제조공정의 특성 상 성형강도에 중점을 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각 와이어에 따른 용접부의 기계/금속학적 특성이 평가되었다. 대상 시편은 6천계열 열처리형 합금이며, 두께는 각각 1.6t, 1.4t로 이를 맞대기 용접 후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용접은 저입열 GMA용접 공법 중 하나인 CMT 용접법(Cold Metal Transfer)을 사용하였으며, 평가 대상 와이어로는 4043, 4047, 5183 및 5356이 사용되었다. 특성평가는 마크로 및 마이크로 조직, 경도, 인장강도, 기공 및 결함, 성형강도 등에 대해 이뤄졌으며, 희석된 와이어의 조성이 용접부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검토되었다. 실험 결과, 5천계열 와이어가 성형강도에 비교적 더 강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성형강도는 용접조건 및 초기 갭에 대한 영향은 받았으나, 비드형상과 강도간의 연관성은 찾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TWB 적용을 위한 와이어로는 5356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Preparation of Polyolefin Hollow Fiber Membranes and Their Applications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중공사막의 제조 및 응용)

  • 김진호;박민수;장문석;김성수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11a
    • /
    • pp.154-154
    • /
    • 2003
  • 세계의 특허동향을 분석해 보면 수처리용 MF/UF 분리막의 제조 및 응용에 관한 연구개발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다국적 기업들의 적극적인 마케팅과 분리막 공법의 우수한 처리효율이 인정되면서 90년대 후반부터는 수십만톤/일 규모의 징수처리 및 하수고도처리 분야에까지 MF/UF 분리막이 괄목할만한 수요의 증대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다. 고분자재료를 이용하여 MF/UF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보편적으로 첫째, 고분자를 용매에 녹인 후 용매와 비 용매간의 상호교환을 유도하여 분리막을 제조하는 상전이법(Phase Inversion). 둘째, 고분자를 고온에서 희석제와 melt-blending 한 후 가해진 열을 제거하면서 상분리를 일으켜 다공성을 부여하는 열유도 상분리법(TIPS,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셋째, 결정성 고분자를 용융, 압출 및 냉각하여 결정화도가 매우 높은 전구체를 제조한 후 연신에 의해 비결정 영역을 개열시켜 기공을 형성하는 연신법(Stretching process)이 있다. 이 중 물성이 매우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결정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은 열유도 상분리법 및 연신법에 제한된다. 본 연구 발표에서는 세계적으로도 극소수의 기업들만이 보유하고 있으며 고도로 축적된 노하우를 필요로 하는 열유도 상분리법 및 연신법에 의하여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공사막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 두 가지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중공사막의 구조, 물성 및 수투과 성능 그리고 KMS 중공 사막의 응용사례를 통한 실제 운전특성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좋은 결과를 가져다 주는 술식으로 판단되었다.결과를 이용하여 향후 전개될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및 관련시장의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 이에 따른 기업이나 정부차원의 대응전략을 파악하고자 한다.육구에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p<0.05). 운동과 비운동시킨 참돔의 지질 함량의 변화는 운동시킨 참돔은 운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로 인하여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r=-0.35), 비운동사육구에서는 절식으로 인하여 지질함량이 감소하였다(r=-0.38). 파괴강도와 가장 밀접한 영향을 가지는 콜라겐은 운동과 비운동 모두 사육기간동안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초기의 파괴강도값은 1.45±0.02kg(운동사육구), 1.36±0.18kg(비운동사육구)이였으며 사육기간동안 운동사육구는 파괴강도값이 증가한 반면, 비운동수조에서는 참돔의 파괴강도는 사육기간동안 큰 유의차가 없었다. 각 성분간의 상관도를 살펴보면, 수분함량과 파괴강도는 상관성을 가졌으며, 지질함량과 파괴강도도 같은 경향은 나타내었다. 운동기간동안의 파괴강도와 콜라겐 사이에는 상관성의 거의 없었다. 이는 운동기간에 따른 파괴강도의 증가가 콜라겐의 함량의 증가보다는 지질함량의 감소와 수분함량의 증가와 같은 성분과의 상관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는, 운동횟수에 의한 영향으로써 운동시간을 1일 6시간으로 설정하여, 운동횟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오전, 오후에 각 3시간씩 운동시키는 방법과 오전부터 6시간동안 운동시키는 두 방법을 이용하여 품질을 비교하였다. 각 조건에 따라 운동시킨 참돔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2회(오전 3시간, 오후 3시간)에 나누어서 운동시키기 위한 육의 수분함량은 73.37±2.02%를 나타냈으며, 1회(6시간 운동)

  • PDF